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양식장 병원균 증식 억제하는 친환경 생물제제 기술 민간에 이전

-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코미팜에 항생제 대체 친환경 생물제제 기술이전 계약


  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12월 19일 동물의약품 및 백신 제조기업인 ㈜코미팜과 수산 양식장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신종 박테리오파지 3종에 대한 특허 기술이전 계약을 코미팜 본사(경기 시흥시 소재)에서 체결한다고 밝혔다.

  박테리오파지는 세균만을 공격하는 바이러스로, 이번에 기술 이전되는 신종 박테리오파지 3종*은 광어, 새우 등 양식 생물에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비브리오균 등의 병원균을 표적 삼아 증식을 억제한다. 
 * 엠에스01(vB_VhaS-MS01), 엠에스02(vB_VpaP-MS02), 엠에스03(vB_VhaS-MS01)※ 코드명으로 불리는 이유는 박테리오파지가 생물로 분류되지 않은 바이러스이기 때문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연구진은 이 박테리오파지 3종으로 ‘파지테라피(박테리오파지 바이러스를 활용하여 유해 세균을 제어)’ 기술을 개발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지난해 5월부터 7월까지 관련 기술 특허 3건*을 연이어 출원했다. 
* 신규한(새롭다는 뜻의 업계 조어) 시포비리대 박테리오파지 기술(제10-2023-0063349호, 제10-2023-0095156호), 신규한 포도비리대 박테리오파지 기술(제10-2023-0063355호) 

  연구진은 이 파지테라피 기술이 기존의 수산용 항생제를 대체하는 친환경 생물제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코미팜은 이번 기술을 기반으로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과 협력하여 어류 질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친환경 파지테라피 제품 개발에 착수하며, 내년 상반기 중으로 현장 적용 실험을 실시할 예정이다. 

  조용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경영관리본부장은 “이번 기술이전은 민간기업과 협력해 실질적인 산업화로 이어진 모범 사례”라며, “앞으로도 생물자원의 활용 가치를 높여 바이오산업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기술이전 체결식 개요.
2. 설명자료.
3. 관련 기술 설명.  끝.


붙임 1

 

    기술이전 체결식 개요


□ 행사개요
 o 일  시 : 2024. 12. 19.(목), 14:00 ~ 15:00
 o 장  소 : ㈜코미팜 (경기도 시흥시)
 o 참석자 
   -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조용환 경영관리본부장, 유강열 도서생물연구본부장, 최경민 도서생물융합연구실장, 이환휘 환경소재연구부장, 류상돈 전임연구원, 이영경 전임연구원
   - (㈜코미팜) 문성철 대표이사, 안경진 본부장, 안도일 주임
□ 주요 기술이전 계약내용
 o 실시권 허여기관 : ㈜코미팜
 o 실시권 형태 : 전용실시권
 o 실시권 대상  
   - 신규한 시포비리대 박테리오파지 기술(제10-2023-0063349호, 제10-2023-0095156호)
   - 신규한 포도비리대 박테리오파지 기술(제10-2023-0063355호)
 o 실시권 기간 : 기술이전 계약서에 준함(’24.12.19. ~ 특허만료일 까지)
□ 세부일정

일 정

행사명

내 용

14:00 ~ 14:15

15

개회

· 사회 : 코미팜 안경진 본부장

14:15 ~ 14:30

15

참석자 소개 및 인사말

· 경영관리본부장, 코미팜 대표이사

14:30 ~ 14:55

25

기술이전 체결

· 기술이전 목적 소개

· 기술이전 계약서 서명 및 교환

14:55 ~ 15:00

5

기념촬영 및 폐회

· 기념촬영 및 폐회



붙임 2

 

     설명자료


<대상 업체 설명>
㈜코미팜: 1972년 설립된 동물의약품 및 백신 제조 기업으로, 혈청검사와 유전자검사 등 연구 용역을 수행하며, 유전자 재조합 백신 개발과 암세포 표적 항암제 연구를 통해 바이오산업을 선도하고 있음
<용어설명>
파지테라피(Phage therapy): 박테리오파지를 활용하여 유해 세균을 제어하는 기술
박테리오파지: 박테리아(세균 및 고세균)를 숙주세포로 하는 바이러스를 통칭하는 말
비브리오 균(Vibrio spp.): 수생태계에서 빈번히 발견되는 식중독의 주요 원인 세균, 이 중, 비브리오 파라헤몰리티쿠스(Vibrio parahaemolyticus), 비브리오 하베이(Vibrio harveyi) 두 종은 어류 집단 폐사 등 양식장의 금전적 피해를 야기한다.
리스토넬라 안귤라룸(Listonella anguillarum): 주요 어병 원인균으로, 감염된 어류는 피부 및 아가미에 궤양 또는 출혈을 일으켜 폐사를 일으킬 수 있다.
<박테리오파지 분류 설명>
시포비리대(Siphoviridae): 박테리오파지의 한 과로, 긴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꼬리는 유연하고 선 모양(flexible, non-contractile tail)을 가짐. 꼬리 길이가 길기 때문에 숙주 세포의 표면에 도달하여 DNA를 전달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
포도비리대(Podoviridae): 짧고 딱딱한 꼬리를 가지고 있다(short, non-flexible tail). 꼬리가 짧아 숙주 세포 표면에 직접적인 접촉과 빠른 DNA 주입에 적합하다.


붙임 3

  

     관련 기술 설명

     
신규한 시포비리대 박테리오파지 기술(10-2023-0063349)



Vibrio harveyi 병원균을 억제 시키는 박테리오파지(vB_VhaS-MS01) 형태

Vibrio harveyi 등을 억제 시키는 박테리오파지의 병원균 억제 능력(vB_VhaS-MS01)

     
○ 도면 A: 양식장 주요 병원균인 비브리오 하베이(Vibrio harveyi, 녹색)을 억제 시키는 박테리오파지(vB_VhaS-MS01)의 병원균 생장량(OD) 억제 능력으로 파지를 병원균에 감염시켜 병원균의 뚜렷한 성장 억제 효과를 보임. 해당 박테리오파지는 비브리오 하베이(녹색)에 특이적 억제 반응을 보여, 다른 병원균(비브리오 알기놀리티쿠스/보라색), 리스토넬라 안귤라룸/살구색) 감염 효과 대비 큰 억제 효과를 보임

신규한 포도비리대 박테리오파지 기술(10-2023-0063355)



Vibrio parahaemolyticus 병원균을 억제 시키는 박테리오파지(vB_VpaP-MS02) 형태

Vibrio parahaemolyticus 등을 억제 시키는 박테리오파지의 병원균 억제 능력(vB_VpaP-MS02)


○ 도면 C: 양식장 주요 병원균인 비브리오 하베이(Vibrio harveyi, 오렌지색)을 억제 시키는 박테리오파지(vB_VhaS-MS03)의 병원균 생장량(OD) 억제 능력으로 파지를 병원균에 감염시켜 병원균의 뚜렷한 성장 억제 효과를 보임. 해당 박테리오파지는 비브리오 하베이(오랜지색)에 특이적 반응을 보여, 다른 병원균(비브리오 불니피쿠스/하늘색, 비보리오 알기놀리티쿠스/연파랑색, 리스토넬라 안귤라룸/짙은파랑색) 감염 효과 대비 큰 억제 효과를 보임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김포시 민선8기 3년 ①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철도길 열고 도시개발 회생! 책과 교육의 도시로
김포시 민선8기 시정구호 ‘통하는 70도시 우리김포’ 에서 70은 ‘70만 대도시로 향함’을 뜻한다. 민선8기 김포시는 출범 3년만에 도시의 교통 및 도시개발, 교육 지형을 바꾼데 이어, 시민 일상 속 문화·복지 체감도를 향상시키며 김포의 도시경쟁력을 전국을 넘어 세계에 알리고 있다. 김병수 시장이 이끄는 김포시 민선8기는 전반 2년 동안 지역의 숙원인 5호선 김포연장 및 신도시 확장, 산업기반 마련 등 중앙정부와 함께 해소해야 할 문제에 집중했고, 후반기에는 시민 소통을 확대해나가며 지역의 자원을 발굴해 도시경쟁력으로 전환해나가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획 배포 순서>① (전반 2년)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② (후반 2년) 김포가 가진 것을 기회로 만들다. 김포시가 70만 대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기본 조건은 사통팔달 교통과 공공복리증진 및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도시개발, 우수한 교육환경이다. 이와 같은 조건은 시민들이 김포시에 지속적으로 살고자 하는 정주의식을 키운다. 김포시는 이 세 가지 조건을 22년 출범 이래 2년여 만에 서울5호선 김포연장사업을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본사업으로 반영시켜 확정지었고, 현재 신속예타 결과 발표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연천군, 접경지역 AI 기반 그린바이오 미래 성장 전략 모색
경기도 연천군(군수 김덕현)은 지난 6월 27일 국립 통일교육원에서 개최된 『2025 지리학대회 접경지역 AI 특별 세션』에 참석하여 AI 기술을 활용한 접경지역 전략산업 및 지정학적 재편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특별 세션은 대한지리학회 주관으로 진행되었으며, AI·GIS·그린바이오·안보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인공지능을 활용한 접경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했다. 김덕현 연천군수는 기조 발제를 통해, “연천군은 수도권에 위치하면서도 DMZ 천연자원을 비롯해 임진강·한탄강 등 풍부한 수자원과 드넓은 가용 부지를 보유하고 있어 AI 기반 정밀농업 실행과 그린바이오 산업육성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연천군은 현재 ▲자율주행 트랙터 및 농업용 로봇을 활용한 스마트농업 실증사업, ▲국내 최초 위성 기반 정밀농업 시범사업, ▲연천 BIX 그린바이오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AI 기반 미래 전략산업(그린바이오)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연천군은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 및 DMZ 접경지역의 지리·생태적 강점을 바탕으로 AI 정밀농업 운영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이를 통해 향후 남북 농업협력 방안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이날 세션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