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김태효 의원, 부산시 지방세 징수 과연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의문 가져

·세원관리 취약분야 일제조사 결과, 매년 비슷한 금액의 탈루세원 징수가 이루어져 의문 제기
·세무조사에 의한 낮은 징수액과 징수율, 고액체납자 증가와 결손처분액 높아...
·지방세 과소과다 부과 사례 철저 점검 주문



□ 부산시의회 기획재경위원회 김태효 의원(국민의힘, 해운대구3)은 제310회 정례회 재정관 행정사무감사에서 부산시 지방세 징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 지방자치단체는 지방세기본법과 지방세징수법에 근거하여 공정한 과세를 추구하며, 지방자치단체 주민들이 납세의무를 원활히 이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지방재정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세 징수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 마련은 매우 필수적이다.
□ 하지만 김태효 의원은 부산시에서 제공한 자료만을 보고 판단했을 때 부산시가 과연 효율적으로 지방세 징수가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했다. 
□ 먼저, 부산시는 숨은세원 발굴을 위하여 매년 세원관리 취약분야에 대한 일제조사를 통해 탈루세원을 추징하는데, 매년 약 75억 정도의 비슷한 금액으로 징수가 이루어지고 목표달성율이 100%를 상회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명확한 지방세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고 이 부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했다.
□ 그리고 법령에 의하여 세무조사를 실시하고 징수를 할 수 있는데 2021년 세무조사에 대해 징수액과 징수율이 줄어들고 있다며, 명확한 설명과 관리 강화를 당부했다.
□ 또한, 매년 고액체납자의 인원이 증가하고 세액은 2018년 대비하여 100억원 가까이 증가함과 동시에 결손처분액도 높다고 대책을 강구해주길 강조했다.
□ 김태효 의원은 지방세의 과소부과는 공평 과세의 원칙에 어긋나고, 과다부과는 납세자의 조세행정의 신뢰성을 어기는 일이라며 과소과다 부과 사례를 철저하게 점검하고 결손처분액을 줄일 수 있도록 지방세 징수의 효율적 운영에 더 많은 신경을 써주길 요구했다.
□ 이에 부산시는 세원관리 강화를 통해 안정적 세입확보와 공평과세 확립을 위해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지방세 운영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참고 자료

                 
세원관리 취약분야에 대한 일제조사 추진 실적(2018~2021)
                                                                                                    (단위 : 백만원)                                                                                               

연도

연간 목표액

(A)

실적액(징수액)

(B)

목표달성율

(B/A)

비 고

2018

7,000

7,473

106.8%

취득세 6,913

재산세 등 560

2019

7,200

7,629

106.0%

취득세 6,330

지역자원시설세 등 1,299

2020

7,400

7,434

100.5%

취득세 6,321

재산세 등 1,113

2021

7,500

7,606

101.4%

취득세 7,543

재산세 등 63

              
 법인에 대한 세무조사 실적(2018~2022)
                                                                                                                          (단위 : , 억원)

연도

목표액

추진실적

징수액

대상법인

금액

2018

92

221

116

116

2019

95

241

75

73

2020*

80

62

39

34

2021

80

175

151

98

2022

50

94

60

59

합계

793

441

380

* ’20년 추징실적 : 조사유예 이전 추징실적 및 ’20년 조사유예 제외 법인(신청법인, 부과제척기간 청산 종료 임박 법인         등에 대한 추징액임


고액체납자 현황(2018~2022)


                                                                                                                             (단위 : , 백만원)

연도

15천만원

51억원

1억원 이상

인원

세액

인원

세액

인원

세액

인원

세액

2018

1,415

32,269

1,316

24,408

68

2,456

31

5,405

2019

1,371

32,565

1,292

24,235

55

2,626

24

5,704

2020

1,424

32,977

1,354

25,605

44

2,331

26

5,041

2021

1,488

35,049

1,408

26,322

59

3,908

21

4,819

2022.8월까지

1,664

43,369

1,558

28,612

69

4,436

37

10,321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경기도의회 정윤경 부의장, “경기농업인 여러분이 농촌을 든든히 지탱하는 버팀목이며, 바로 대한민국 농업의 미래, 강조”
경기도의회 정윤경 부의장(더불어민주당, 군포1)은 9월 4일(목) 이천시 예스파크에서개최된 제64주년 한국농촌지도자 경기도대회행사에 참석했다. 정윤경 부의장은 축사를 통해 “농촌 발전을 위해 헌신해온 농업인들의 노고에 감사와 존경을 전하며, “농업인 여러분이 바로 대한민국 농업의 미래이며, 우리 농촌을 든든히 지탱하는 버팀목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경기도의회의 역할도 소개했다. 정운경 부의장은 “스마트농업 확대, 친환경 농산물 유통망 강화, 청년·여성 농업인 지원 등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농업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기후위기, 인구 감소, 유통 구조 변화, 디지털 전환 등 변화 속에서, 농업과 농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혁신과 도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대회는 농업 현장의 지혜를 모으고 경험을 공유하며, 미래 농업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였다. 정윤경 부의장은 마지막으로 “오늘의 만남이 경기도 농업의 새로운 도약과 농촌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여는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사천시, 2025년 양펑평등진흥 유공 기관 여성가족부 장관 표창 수상
대한민국 우주항공수도인 사천시가 남성과 여성이 서로 동등하게 존중받고 차별없이 자신의 능력과 꿈을 실현할 수 있는 양성평등 도시로 인정받았다. 사천시는 9월 4일 서울 피스앤파크컨벤션에서 열린 양성평등주간 기념식에서 양성평등진흥 유공 여성가족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사천시가 ▲일·가정 양립 환경 조성 ▲양육 친화적 조직문화 확산 ▲양성평등 의식 강화 ▲안전한 근무환경 마련 등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은 결과다. 시는 임신·출산·육아에 대한 친화적인 조직문화를 정착시키고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을 적극 독려해 왔다. 그 결과 2021년 대비 2024년 남성 육아휴직자가 180% 증가하는 등 가족의 돌봄을 사회와 조직이 함께 책임지는 문화를 확산시켰다. 더불어, 권장연가 일수 지정, 유연근무제 도입, 가족사랑의 날 운영 등 다양한 정책을 실천하여 직원들의 일·생활 균형과 재충전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또한, 시는 여성 관리자 비율 확대, 성인지 교육 강화, 4대 폭력 예방교육 및 상담센터 운영 등으로 조직 내 성평등과 직장 내 안전망을 강화했다. 특히, 2024년 신규로 시작한 ‘우리동네 젠더스쿨’ 사업을 통해 읍·면·동 리더 및 마을 이장을 대상으로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