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28 (토)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진주시, 도심지 공영주차장 다수 조성으로 주거환경 개선 노력


 진주시는 시민의 생활과 직결되는 주차난을 해소하고, 진주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주차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공영주차장 확보에 두 팔을 걷고 나서고 있다.

▶ 도심 주차 공간 마련으로 주차 불편 해소
 진주시는 도심지 시민들의 주차 공간 마련으로 주차 불편을 해소하고자 중안지구 공영주차타워 건립 및 하대동 동부회관 부근 공영주차장 조성을 추진 중이다.

 연내 준공 예정으로 추진 중인 중안지구 공영주차타워 조성사업은 3층 250면 규모로, 시내를 방문하는 시민들과 관광객들의 주차 편의와 주변 상권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대동 동부회관 부근에 조성 예정인 옛 하대1동 공영주차장 조성사업(가칭)은 약 50면 규모로, 올해 12월 준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구 도심지인 하대동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주차난 해소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현재 추진 중인 가좌동 우수저류시설 상부활용 공영주차장은 120면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다. 가좌동 공영주차장이 준공되면 2022년 준공된 초전지구, 평거지구와 함께 총 254면의 주차 면수를 확보하게 돼 주택 밀집지역의 주차 편의 제고 및 주차환경 개선에 획기적인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 사유지 활용한 주차장 확보 보조사업 추진
 공영주차장 설치사업과 함께 시민 참여형 주차장 조성사업을 통하여 주차난 해소를 위한 노력도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내 집 주차장 갖기 사업, 유휴지 활용 공영주차장 조성사업, 부설주차장 개방 사업이 있다. 

 내 집 주차장 갖기 사업은 내 집 담장을 허물어 주차면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주차면 1면에 최대 200만 원, 2면에 최대 300만 원의 보조금이 지원된다. 2022년 12월 기준 내 집 주차장 갖기 사업을 통해 설치된 주차면 수는 500여 면이다.

 유휴지 활용 공영주차장 조성사업은 도심지 내 유휴지를 소유주의 사용 승낙을 받아 주차장으로 활용하는 사업으로, 부지 소유자에게 재산세 감면 혜택이 제공된다. 2022년 16개소, 310여 면을 조성하여 개방․운영 중이다.

 부설주차장 개방 사업은 이미 설치된 부설주차장을 개방하고 공유하는 사업으로, 2개소 150여 면의 부설주차장을 개방․운영 중이다. 공공기관, 종교시설, 학교 등이 참여 가능하며, 개방으로 인한 시설개선 공사 등이 지원된다.

▶ 현재 도심지 공영주차장 540개소 운영
 시는 현재 노상주차장 261개소 1만 4560여 면, 노외주차장 279개소 8200여 면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 중 64개소 2151면은 유료로 운영되고 있다. 

 2020년 681면, 2021년 528면, 2022년 1095면의 공영주차장을 조성하였으며, 최근 읍면 지역의 소규모 공영주차장 조성을 통해 53면의 주차 면을 확보했다.

 어린이보호구역 해제 후 조성된 노상주차장을 통해 19면을 추가로 설치하여 시민들에게 주차 공간 확보를 통한 주차환경 개선에 노력하고 있다. 

▶ “주차장 확보·주차난 해소 방법 찾기에 최선”
 진주시는 시민 참여형 주차장 조성사업을 적극적으로 홍보, 추진하여 주차 공간을 확보할 계획이며, 공영주차타워 조성사업, 우수저류시설 상부활용 공영주차장 조성사업, 소규모 공영주차장 조성 사업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주차난 해소의 근본 해결책을 제시하여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주차장 확보를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으며 부지 확보를 통한 주차장 조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업을 통해 주차난 해결을 위한 방법을 찾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 .】
  - 초전동 우수저류시설상부활용공영주차장 전경
  - 평거동 우수저류시설상부활용공영주차장 전경
  -유휴지 활용 공영주차장 전경











민선 7기 주택밀집지역 주차 공간 확보 사업과 연계해 추진하는 사업으로 주차시설 확충을 통한 주차난 해소 및 정주 여건을 개선코자 함


   사업개요
  위    치 : 진주시 관내 일원
  사업기간 : 2022 ~ 2024년
  사 업 량 : 87개소, 5,192면 확보
  사 업 비 : 47,729백만원(국비 3,554, 시비 43,7056)

   주차장 현황
                                                                                                            (2022. 12. 31. 현재, 단위 : 대, 면)

구 분

합 계

노상주차장(공영)

노외주차장

부설

주차장

소 계

유료

무료

소계

공영(유료)

민영

개소

15,509

261

50

211

380

279(14)

97

14,868

주차면

312,281

14,562

1,404

13,158

11,253

8,227(747)

3,026

286,466


 노외공영유료주차장 14개소 중 진주성관리사업소 2개소, 도시재생과 4개소 포함
 ※ 주차장확보율 : 175%(전체주차면수 / 총자동차등록대수)

   추진현황

1단계('20)

2단계('21)

2단계('22)

2단계('23)

비고

개소

주차면

개소

주차면

개소

주차면

개소

주차면

개소

주차면

77

2,376

22

681

22

528

28

1,095

5

72

 

 

추진계획

 ❍ 2023.  6. : 노상주차장 조성(평거동, 17면)
 ❍ 2023.  6. : 소규모 공영주차장 조성(금산면, 대곡면 21면)
 ❍ 2023.  6. : 유휴지 활용 공영주차장 조성(평거동, 초전동 52면)
 ❍ 2023. 10. : 우수저류시설 상부활용 공영주차장 준공(가좌동, 120면)
 ❍ 2023. 10. : 월아산 진성 동산지구 공영주차장 조성(산림과, 273면)
 ❍ 2023. 12. : 구)하대1동 공영주차장 조성(하대동, 50면)
 ❍ 2023. 12. : 중안지구 공영주차타워 조성(성북동, 250면)
 ❍ 2023. 12. : 선학산 등산로변 주차장 조성(산림과, 98면)
 ❍ 2023. 12. : 가좌공원 기반조성 사업(공원관리과, 119면)
 ❍ 2023. 12. : 망경공원 기반조성 사업(공원관리과, 51면)
 ❍ 칠암지구 공영주차장 조성 : 부지 검토 중

   기대효과
  주차장 확보 통한 주차난 해소 및 정주여건 개선

교 통 행 정 과

교통시설팀장 김성식(행정)8739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함평군, 벼 무논직파 평가회 개최
전남 함평군이 27일 엄다면 화양리 들녘에서 농업회사법인 수화정 등 벼 재배농가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벼 무논직파 평가회를 개최했다.이 자리에는 이상익 함평군수, 농업정책실장, 농업기술센터 소장, 농협조합장 등이 함께 참석했으며, 무논직파한 벼 재배 현장을 방문해 직파법과 이앙법의 생육 상황을 비교·평가했다. 또한, 농가들이 현장에서 직면한 문제점과 애로사항을 공유하며 개선점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이날 참석자들은 ‘점파기’를 부착한 무논직파 농법 기술이 적용된 벼 재배 현장을 돌아보며, 본 농법이 일손부족 해소와 노동력 절감에 충분한 효과가 있다는 데 공감했다. 연구에 의하면 벼 직파는 무논점파기를 이용할 경우, 관행농법 대비 생산비 31%와 노동력 32%를 절감할 수 있다.한편, 미국과 호주, 태국 등 주요 쌀 수출국들은 대부분 직파재배로 쌀을 생산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충청도와 전라도를 시작으로 점차 무논 직파재배가 확산하고 있다. 과거 직파재배 때와는 달리 최소의 노동력과 비용으로 못자리를 생략하고 5월 말~6월 중·하순까지 직파 파종을 완료해 농업인의 이목을 끌고 있다.이상익 함평군수는 “급격한 농촌 고령화로 노동력 감소와 생산비 증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