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TI, 전력 및 데이터 전송·신호 품질·회로 보호 기능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USB 타입-C 및 PD 3.0 제품 출시


10G USB 데이터 및 비디오 전송이 가능한 업계 최초의 USB 타입-C 
과전압 포트 보호기 및 유일의 리드라이버를 통해 시스템 성능 극대화

2016년 10월 27일 다양한 USB 호환 IC 제품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고 있는 TI가 5종의 새로운 USB 타입-C 및 PD (Power Delivery) 제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들 신제품은 개발자들이 보다 우수한 신호 품질을 제공하고 시스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USB 타입-C 전자제품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TUSB1046 선형 리드라이버 제품군은 업계 최초로 10G USB 데이터 및 DisplayPort™ 1.4 비디오를 전송할 수 있고 신호 무결성 저하 없이 더 빠른 전송이 가능하다. TPD8S300 제품군은 현장에서의 까다로운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업계 최초로 USB 타입-C 및 PD 시스템을 과전압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단일칩 솔루션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TPS65983B USB PD 3.0 컨트롤러는 내장된 파워스위치와 신속한 롤스왑 기능과 인증 기능 및 표준화된 전압을 지원하여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전력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완벽한 시스템 설계를 구현할 수 있다(보다 자세한 정보는 www.ti.com/usbtypecpd2016-pr-kr 참조). 

◇보다 빨라진 데이터 및 비디오 전송 

신제품 TUSB1046 및 TUSB1002 리드라이버는 현행 5G USB 솔루션 대비 두 배의 데이터 대역폭을 지원함으로써 최대 8K 해상도로 10G 데이터 및 비디오를 전송할 수 있고, 10G USB 속도에서 335mW의 유효 전력만을 소모한다. 이들 제품은 긴 거리의 트레이스나 케이블로 전송될 때 최대 14.4dB의 채널 손실을 보상할 수 있다. 또한, 16개의 이퀄라이저(Equalizer) 레벨은 부호 간 간섭(ISI: Inter Symbol Interferecne) 지터와 신호 감쇠를 보상함으로써 성능을 최적화하여 다른 디바이스들과 보다 우수한 상호운용성과 커넥티비티를 달성할 수 있다. TI의 10G 선형 리드라이버 제품군은 5G USB 디바이스와 핀투핀 호환이 가능하여 기존 설계에서 매끄러운 속도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다. 

◇과전압 포트 보호 

TPD8S300 및 TPD6S300을 사용하면 디스크리트 구현에 비해 최고 75%까지 보드 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CC(configuration channel) 및 SBU(sideband use) 핀 상의 20V 버스 전압(Vbus) DC 단락에 의해 발생하는 과전압 손상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고 신호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다. 포트 보호기는 저전압 클램핑을 지원하는 트랜션트 전압 억제(TVS, 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다이오드를 통합하여IEC 61000-4-2 규격의 ESD(electrostatic discharge) 보호 요건을 충족하고 하위 PD 컨트롤러의 보호가 가능하다. 

◇완벽한 전원 경로 관리 

TPS65983B 단일칩 디바이스는 완벽하게 전원 경로를 통합하였을 뿐만 아니라 과전류, 과전압, 역 전류 및 열 보호 기능을 갖춘 업계 유일의 USB PD 3.0 컨트롤러이다. 이 컨트롤러는 싱크 또는 소스기능의 롤스왑을 빠르게 할 수 있어 개발자들에게 최대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최신 USB 규격 준수 

이들 신제품은 새로운 USB 타입-C, USB 3.1 Gen 2, PD 3.0 규격을 준수함으로써 기존 규격보다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고 슬림한 디자인, 견고한 전력 전송, 범용 커넥터 및 케이블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또한, 전력 및 시그널 체인, 회로 보호 기능의 제품들을 통해 개발자들은 좀더 완벽하게 동작하는 USB 타입-C 및 PD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패키지, 공급 및 가격 

TI의 이 새로운 USB 타입-C 및 PD 제품은 하기에 명시된 패키지와 가격으로 공급되고 있다. TUSB1002, TUSB1046, TPS65983B는 TI Store와 공인 대리점을 통해 구입 가능하며 TPD8S300과 TPD6S300 보호 디바이스는 TI.com과 공인 대리점을 통해 시제품 샘플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평가 모듈(EVM)을 사용하여 엔지니어들은 보다 빠르고 쉽게 디바이스 성능을 평가하고 제품을 개발할 수 있다. 

◇TI의 USB 타입-C 및 PD 제품 관련 링크 

-USB 타입-C 백서: ‘USB 타입-C™의 대체 모드: USB 그 이상의 것’ 및 ‘USB 타입-C™의 회로 보호’ 
-블로그: USB 타입-C 선형 리드라이버의 필요성, USB 타입-C 커넥터 보호 방법, USB PD 3.0의 신속한 역할 전환을 위한 고려사항 
-TI E2E™ 커뮤니티의 USB 포럼에서 솔루션 검색, 지식 공유 및 문제 해결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TI,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개요 

TI는 아날로그 IC 및 임베디드 프로세서 개발을 주도하는 세계적인 반도체 설계·제조업체이다. TI는 세계 최고의 인재들과 함께 혁신을 창조하며 기술의 미래를 이끌고 있다. 오늘도 TI는 10만 이상의 고객들이 또 다른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데 동참하고 있다.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전진선 양평군수... “양평 서부의 미래를 열다”
민선8기 전진선 양평군수가 지난 3년간 양평의 관문인 서부권 도약을 위해 다져온 여정이 가시화되고 있다. 2026년 경기도 정원문화 박람회 대상지로 세미원, 두물머리가 선정되는 쾌거를 통해 국가정원으로 가는 교두보를 마련했고, 양평 최대규모의 국수역세권 도시개발 사업이 경기도의 승인을 얻어 양평 서부권 대전환의 획기적인 계기가 됐다는 평을 받는다. 군은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지역의 여건과 자원을 활용한 맞춤형 전략을 실행해 양평 서부권 지역의 가치를 굳건히 하고 그 입지를 확고히 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양평군수 세미원, 국가정원 향해 뛴다… 양평군 글로벌 정원도시 비전 가동 경기도 최초 지방정원인 세미원이 국가정원으로 도약할 채비를 갖추고 관련 절차 마무리에 하나씩 들어가고 있다. 양평군은 세미원과 두물머리를 거점으로 글로벌 정원관광 도시로 거듭난다는 계획이다. 양평군은 오는 9월까지 1만4천㎡ 규모의 세미원 전면부 시설개선사업을 실시한다. 세미원 주차장과 진입부 노후화에 따른 주민 불편사항을 해소하고 개방형 진입광장과 휴게시설을 조성해 다목적 녹지공간으로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또한, 2027년 내로 두물머리 생태학습장 조성지 및 가정천 일원을 편입하여 정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강수현 양주시장, 수출 제조기업 ‘나비야삭스’ 현장 방문…애로사항 청취 및 지원 방안 논의
양주시(시장 강수현)가 최근 광적면에 위치한 국산양말 수출 전문기업 ‘나비야삭스’(대표 김인숙)를 방문해 현장 간담회를 갖고 기업 운영에 따른 애로사항을 청취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는 나비야삭스와 협력업체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상수도 공급 ▲외국인 근로자 고용 안정화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양말제조 기술이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현안이 논의됐다. 강수현 시장은 “상수도 공급 문제는 도비 확보를 통해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히고, “외국인 근로자의 고용 안정과 관련한 제도 개선 요구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노동자의 기본권과 생명권을 우선시해야 한다”며 “외국인 근로자의 처우 개선과 함께 사업주가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수칙을 철저히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소 제조기업들이 겪고 있는 인력난, 규제 부담, 기술이전의 단절 문제에 깊이 공감하며, 시 차원에서도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한양주시는 기업 현장의 목소리를 시정에 반영하기 위해 지속적인 현장 소통을 이어가고 있으며, 지역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업 맞춤형 지원 정책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