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서울 2025. 3. 1.자 유․초등학교 교사 전보 발령

유치원 교사 268명, 초등교사 4,545명 정기전보 시행


▢ 서울시교육청(교육감 정근식)은 2월 6일(목)에 각 교육지원청별로 ‘2025. 3. 1. 자 유·초등학교 교사 정기전보’를 시행했다. 이번 전보 대상자는 △공립 유치원 교사 268명 △공립 초등교사 4,545명이다. 

▢ 유․초등교사 전보 업무를 주관한 중부교육지원청(교육장 강삼구)은 전체 교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작년 전보에 대한 설문 결과와 11개 교육지원청 교육장의 합의 내용을 바탕으로 전보 원칙을 수립하고, 그 원칙에 따라 전보 대상자를 각 교육지원청에 배정하였다. 이후 교육지원청 교육장은 배정된 전보 대상자들을 관내 유치원과 학교로 배정하였다. 

 〇 유치원 교사 전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유치원 교육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 2025학년도 신설되는 공립 유치원에 전보 희망자를 우선 배정하고, 학급 감축 현황을 고려하였다. 보행상 장애가 있는 장애인인 교사에 대한 전보 우대를 시행하고, 관내 전보 시 거주지, 도로망, 경력, 근무 유치원 등을 고려하여 유치원 교육의 성과를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〇 초등학교 교사 전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번 전보에서는 그 동안 개정되어 온 전보 원칙의 큰 틀을 유지하고 학교의 교육력을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교사의 순환근무 원칙에 따라 비전산 전보 가능 비율을 전년과 같은 10%로 유지하였고, 관내 전보는 거주지와 도로망, 근무학교 등을 고려하여 전산배정하였다. 올해부터 교육지원청 배정 기준 순위가 변경되었고, 강남서초교육지원청 초등교사 공석을 완화를 통한 전보 대상자의 수급 불균형 해소 및 원활한 순환근무를 도모하기 위한 비정기 전보를 새롭게 시행하였다.

▢ 이번 전보 발령과 함께 일선 학교에서는 새로 전입해 오는 교사들을 포함해서 전 교원이 참여하는 ‘신학년 집중준비기간’을 운영할 예정이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나이스 겸임처리와 함께 학교별 (유치원별)로 자율적으로 3∼5일간 기간을 정해서 교원학습공동체 직무연수, 교과협의회, 학년(부서)협의회, 워크숍 등을 통해 새 학년을 준비한다.

▢ 서울시교육청은 공정하고 합리적인 교사전보로 교사의 근무 안정을 기하고 학생의 꿈, 교사의 긍지, 부모의 신뢰를 바탕으로 미래를 여는 협력교육이 실현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예정이다.

붙임  1. 2025. 3. 1. 자 유치원 교사 전보 현황 1부
      2. 2025. 3. 1. 자 초등학교 교사 전보 현황 1부.  끝.


  1. 2025. 3. 1. 자 유치원 교사 전보 현황

 

         2025. 3. 1. 자 유치원 교사 전보 결과 교육지원청별 전·출입 현황

전입

전출

동부

서부

남부

북부

중부

강동

송파

강서

양천

강남

서초

동작

관악

성동

광진

성북

강북

합계

동부

6

0

0

0

1

2

0

1

1

4

0

15

서부

0

14

2

1

1

1

4

1

1

1

1

27

남부

1

0

10

0

1

1

4

0

1

0

1

19

북부

1

0

0

10

0

0

0

1

2

0

3

17

중부

0

0

0

0

4

0

1

1

1

0

0

7

강동송파

1

0

0

0

0

10

0

3

0

2

0

16

강서양천

0

4

3

0

1

1

15

0

2

0

0

26

강남서초

1

0

0

0

1

4

1

8

2

0

0

17

동작관악

0

1

7

1

0

2

1

3

11

0

1

27

성동광진

1

1

0

0

0

4

1

0

1

8

0

16

성북강북

3

2

0

0

0

0

0

1

0

2

4

12

본청

0

0

0

1

0

0

0

1

0

0

0

2

합계

14

22

22

13

9

25

27

20

22

17

10

201


       
붙임 2. 2025. 3. 1. 자 초등학교 교사 전보 현황

          2025. 3. 1. 자 초등학교 교사 전보 결과 교육지원청별 전·출입 현황

 

전입

전출

동부

서부

남부

북부

중부

강동

송파

강서

양천

강남

서초

동작

관악

성동

광진

성북

강북

합계

동부

63

3

7

10

1

66

2

37

1

11

15

216

서부

3

256

13

0

9

16

20

19

2

3

6

347

남부

1

13

192

1

2

24

37

29

24

1

4

328

북부

13

8

5

224

7

17

3

16

0

3

18

314

중부

2

16

4

3

34

20

4

31

9

2

1

126

강동송파

124

1

13

3

22

278

1

0

1

16

33

492

강서양천

0

9

20

1

3

9

335

13

5

1

2

398

강남서초

38

6

47

1

54

7

5

96

21

11

24

310

동작관악

0

4

13

0

2

10

4

23

145

0

0

201

성동광진

6

3

4

2

1

45

1

27

0

117

7

213

성북강북

13

18

8

16

9

44

8

27

3

9

96

251

본청

2

7

2

4

2

3

0

2

3

1

4

30

합계

265

344

328

265

146

539

420

320

214

175

210

3,226 

 초빙교사, 전입요청 및 전보유예 제외

초등, 특수, 보건, 영양, 사서, 상담교사 포함 전산전보 통계자료임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초고령사회, 살던 곳에서 돌봄을... 의정부시,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본격 추진
의정부시(시장 김동근)는 9월부터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정부의 지역 통합돌봄 정책에 따라 시가 조직 개편과 협력망 구축, 자원 조사 등을 진행해 온 과제다. 우리나라 노인 인구는 지난해 이미 1천만 명을 넘어섰으며, 의정부시 역시 7월 말 기준 노인 인구가 9만594명으로 전체의 19.6%를 차지한다. 연말에는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되는 만큼, 노인이 병원이나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존엄하게 생활할 수 있는 새로운 돌봄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 신청에서 지원까지, 통합돌봄의 전 과정이번 시범사업은 일상생활 유지가 어려운 65세 이상 노인이 병원이나 시설에 의존하지 않고, 살던 곳에서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통합판정을 통해 개인별 건강‧요양‧돌봄 필요도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보건의료‧장기요양‧일상생활 지원‧주거 지원 서비스를 맞춤 연계한다. 사업 주요 절차는 ▲통합지원 신청 ▲통합판정 조사 ▲통합판정회의 ▲서비스 제공 ▲모니터링의 단계로 운영된다. 먼저 동 주민센터에 설치된 통합지원창구에서 대상자 또는 보호자가 신청을 하면, 국민건강보험공단 의정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