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담수식물 여뀌바늘에서 항암 효과 발견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여뀌바늘 추출물을 통한 대장암세포 증식 억제 확인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관장 유호)은 자생 담수식물인 여뀌바늘의 세포덩어리(캘러스*) 추출물에서 대장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 식물세포 또는 조직(잎, 줄기, 뿌리) 등을 식물생장호르몬을 포함한 영양배지에서 배양하여 얻은 세포덩어리이며 연구 소재로 주로 활용

  여뀌바늘은 바늘꽃과에 속한 한해살이풀이며 개울이나 강 주변의 습한 곳에서 자라는 식물이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2023년부터 수행하고 있는 ‘조직배양기술을 이용한 유용 담수식물 증식 연구’의 일환으로 여뀌바늘 세포덩어리(캘러스) 추출물을 활용한 세포연구를 수행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의 연구진은 여뀌바늘의 세포덩어리(캘러스) 추출물을 대장암세포에 처리했을 때 무처리군(100%)에 비해 세포 생존율이 50.9%로 나타나, 대장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여뀌바늘 추출물이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항암단백질(p53, NAG-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했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뀌바늘 세포덩어리(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에 대해 이달 중순 특허를 출원했다.
  * 관련 특허: 여뀌바늘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여뀌바늘 조직 유래의 캘러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뀌바늘 캘러스(10-2024-0164890, 2024.11.19.)

  강태훈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이용기술개발실장은 “이번 연구로 자생 담수식물의 안정적인 소재 확보뿐만 아니라 항암 활성 효과도 발견하여 여뀌바늘이 유용한 생물소재로 활용 가치가 높은 것을 확인했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주요연구결과.  
      2. 전문용어 설명.  끝.


붙임 1

 

주요 연구결과


□ 여뀌바늘(Ludwigia epilobioides Maxim.) 기내식물체 확보
  · 여뀌바늘은 바늘꽃과(Onagraceae)의 한해살이풀이며 개울이나 강 주변 습한 곳에서 자라는 식물
  · 여뀌바늘 종자 발아 후 3주된 식물체를 새 영양배지에 옮기고 배양실에서 4주 동안 배양한 오염원이 없는 기내식물체 다량 확보



                                              < 여뀌바늘 기내식물체 확보 >

 여뀌바늘 캘러스 유도

 

 · 여뀌바늘 잎을 이용하여 캘러스 유도 실험을 한 결과, 식물생장호르몬옥신(2,4-D 1mg/L)과 사이토카인(Kinetin 0.5mg/L 및 Zeatin 0.5mg/L)을 처리한 영양배지조건에서 캘러스 생성 확인



                                             < 여뀌바늘 캘러스 유도 조건 >

 

□ 여뀌바늘 캘러스 추출물의 대장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 여뀌바늘 캘러스의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대장암세포주(HCT116)에 대한 여뀌바늘 캘러스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무처리군(100%)에 비해 대장암 세포의 생존율이 51.8%와 50.9%로 나타나 대장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 



                              < 여뀌바늘 캘러스 추출물의 대장암세포 세포생존율 >

 

□ 여뀌바늘 캘러스 추출물의 항암 단백질 발현 확인 
 · 여뀌바늘 캘러스 추출물 처리를 통해 p53 및 NAG-1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여뀌바늘 캘러스 추출물에 의한 암세포의 세포사멸은 항암 단백질 p53 및 NAG-1의 발현 유도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



붙임 2

 

전문용어 설명


 □ 조직배양
○ 식물의 조직이나 기관의 일부를 모체에서 분리해 영양분이 포함된 멸균 배지에서 캘러스를 만들거나 식물체를 분화, 증식시키는 기술로 모개체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 식물개체를 생산할 수 있음
 
□ 기내식물체
 ○ 영양배지 내에서 종자 발아 후 실내 생장실에서 배양한 오염원이 없는 무균상태의 식물체

□ 캘러스
 ○ 식물세포 또는 조직(잎, 줄기, 뿌리) 등을 식물생장호르몬을 포함한 영양배지에서 배양함으로써 생성되는 세포분열 능력이 왕성한 부정형의 세포덩어리

□ 대장암세포주(HCT116)
 ○ 대장암에 걸린 성인 남성의 결장에서 분리한 세포주로 대장암세포의 세포생존율 실험을 통해 추출물이나 유효물질의 항암활성 효과를 검증하는데 사용되는 세포주

□ 항암단백질
 ○ p53은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다양한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시키거나 세포사멸을 직접 매개하는 여러 카스파제(caspase) 효소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발하는 단백질
   * 세포 내에서 DNA의 유전정보가 RNA로 복사되는 과정으로 유전자 발현의 첫단계
 ○ NAG-1  (NSAID-activated  gene) 단백질은 TGF-β super- family 단백질 중 하나로써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항암 활성과 관련이 있는 단백질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경기도, ‘전국 식품안전·노인영양 전문가 포럼’ 열고 식품정책 논의
경기도는 29일 식품안전과 노인영양 분야의 전문가와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명 테이크호텔에서 ‘전국 식품안전·노인영양 전문가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고령화로 인한 노인 영양 및 식생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해법을 모색하고, 동시에 관련 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경기도 홍보대사 설수진의 진행으로 ▲김도균 경기도식품안전정책지원단 단장의 ‘경기도 식품안전 현황 및 연구·사업’ 발표 ▲정희원 저속노화연구소 소장의 ‘저속노화 식습관과 식품산업의 미래’ 특강 ▲임희숙 경희대 교수(어르신 식생활 실태와 식품안전 및 영양 정책 방향), 김진현 ㈜오뚜기 연구소장(식품안전 및 영양정보 서비스 플랫폼 구축과 활용), 오승현 ㈜정식품 수석연구원(고령친화식품 시장의 성장 가능성과 식품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주제 발표 ▲고령친화식품의 현황과 법적 규제를 주제로 한 패널 토론 등으로 구성됐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안전한 식품과 균형 잡힌 영양 섭취는 건강한 노화를 위한 필수 요소”라며 “경기도는 노인 대상 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지원 확대 등 실질적인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지하철 보조배터리 발화, 승객과 역 직원의 침착한 대응으로 큰 피해 막아
서울 지하철 4호선 전동차 안에서 관광객이 소지한 보조배터리에서 갑작스러운 연기와 발화가 발생했으나, 승객과 역 직원의 침착한 대처 덕분에 인명피해 없이 마무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에 따르면, 지난 27일(수) 밤 10시 21분경 불암산역 방면으로 향하던 열차 안에서 일본인 관광객의 에코백 속 보조배터리에서 연기가 새어 나왔다. 순간적으로 위급한 상황이 벌어졌지만, 인근에 있던 한 남성 승객이 열차 내 비치된 소화기를 사용해 보조배터리에 1차 소화를 시도하고, 동시에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승무 직원에게 상황을 알렸다. 신고를 접수한 승무 직원은 즉시 종합관제센터에 보고했으며, 관제센터는 인접한 이촌역에 화재 대응을 지시했다. 이촌역에서는 김태기 부역장과 서동순 차장이 소화기를 들고 현장에 출동, 열차 내부로 진입했다. 이들은 관광객의 짐과 보조배터리를 열차 밖으로 신속히 옮겨 2차 진화를 진행하는 동시에 승객 100여 명을 안전하게 하차시켰다. 이후 김 부역장은 잔여 발화 위험을 막기 위해 보조배터리를 화장실로 옮겨 물에 담가 완전히 진화시킨 뒤 역사 밖으로 이동시켰다.이 과정에서 불길은 관광객의 에코백과 보조배터리에만 국한되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