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6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농축산식품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가격지수 0.6% 하락

- 곡물, 유지류 등 대부분 품목군 가격 하락, 설탕 가격은 상승 -


□ 2023년 2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29.8포인트로 전월(130.6) 대비 0.6% 하락하면서 2022년 3월 최고점 이후 11개월 연속 하락을 유지

□ 곡물 가격은 0.1% 하락(147.5→147.3), 유지류는 3.2% 하락(140.4→135.9), 육류는 0.1% 하락(112.1→112.0), 유제품은 3.6% 하락(135.0→131.3)하였으나 설탕 가격은 6.9%(116.8→124.9) 상승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3년 2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30.6포인트) 대비 0.6% 하락한 129.8포인트**를 기록하였다. 곡물을 비롯한 대부분 품목군의 가격이 하락하였으나 설탕 가격은 상승하였다.

   *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조사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작성, 발표(2014-2016년 평균=100)
  ** (’22.8월) 137.6 → (9월) 136.0 → (10월) 135.4 → (11월) 134.7 → (12월) 131.8 → (’23.1월) 130.6 → (2월) 129.8

  2023년 2월 곡물 가격지수는 1월(147.5포인트) 대비 0.1% 하락한 147.3포인트를 기록하였다. 밀의 경우 미국 주요 생산지의 가뭄과 호주산 밀의 수요 강세로 인해 가격이 소폭 상승하였다. 옥수수는 아르헨티나의 기후 여건 악화, 브라질의 2기작 옥수수 파종 지연으로 가격이 상승하였으나 미국산 옥수수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상승폭은 미미했다. 반면 쌀은 태국 등 주요 수출국에서 달러 대비 환율이 약화되면서 가격이 하락하였다.

  유지류 가격의 경우, 전월(140.4포인트) 대비 3.2% 하락한 135.9포인트를 기록하였다. 팜유는 동남아시아 등 주요 지역 생산량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국제 수요 둔화가 계속되며 가격이 하락하였다. 대두유는 주요 수입국의 구매 감소 및 남미의 생산량 증가 전망 영향으로 가격이 하락하였다. 유채씨유와 해바라기씨유는 수출용 물량이 전세계적으로 충분히 유지되면서 가격이 하락하였다.

  육류의 경우, 전월(112.1포인트) 대비 0.1% 하락한 112.0포인트를 기록하였다. 가금육의 경우, 주요 생산국의 조류인플루엔자 확산에도 불구하고 공급 물량이 충분하고 수요가 둔화하면서 가격이 하락하였다. 반면 돼지고기 가격은 상승하였는데, 유럽의 국내 수요 증가 및 도축용 돼지의 공급 부족이 주요 원인이었다. 소고기의 경우 국제적으로 수요가 공급과 균형을 이루며 가격에 큰 변동이 없었다.

  유제품의 경우, 전월(135.0포인트) 대비 3.6% 하락한 131.3포인트를 기록하였다. 특히 버터와 탈지분유를 중심으로 모든 유제품의 가격이 하락하였다. 최근 동북아시아 지역의 수입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세계적으로 수입 수요 약화가 지속되는 추세이고, 서유럽에서는 버터, 치즈, 탈지분유를 포함하여 유제품 수출 공급량이 증가한 것이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설탕의 경우, 전월(116.8포인트) 대비 6.9% 상승한 124.9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인도의 생산량 전망이 하향 조정되며 가격이 크게 상승하였다. 다만 태국의 양호한 수확 진행 상황, 브라질의 풍부한 강수량, 국제 원유 가격 및 브라질 에탄올 가격 하락 등은 상승폭을 다소 완화시키는 요인이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2022/23년도 세계 곡물수급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망하였다.

  2022/23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773.8백만톤으로 2021/22년도 대비 1.3%(37.3백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생산량 전망치(전년 대비): 쌀 516.6백만톤(1.5%↓) / 잡곡 1,462.5(3.1%↓) / 밀 794.6(2.1%↑)

  2022/23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780.0백만톤으로 2021/22년도 대비 0.6%(17.9백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소비량 전망치(전년 대비): 쌀 520.0백만톤(0.3%↓) / 잡곡 1,480.5(1.5%↓) / 밀 779.5(0.8%↑)

  2022/23년도 세계 곡물 기말 재고량은 844.3백만톤으로 2021/22년도 대비 1.2%(9.9백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재고량 전망치(전년 대비): 쌀 194.4백만톤(0.8%↓) / 잡곡 344.3(5.5%↓) / 밀 305.4(4.1%↑)

붙임 1. 식량가격지수 그래프(연도별, 품목별)2. 식량가격지수(2014~2023)

본 자료는 보도 편의를 위해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발표자료를 요약·정리한 내용이므로 상세 내용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누리집(www.fao.org/worldfoodsituation/foodpricesindex/en) 참조


붙임1

 

    식량가격지수 그래프(연도별 품목별)



 


<연도별 식량가격지수>

 

<품목별 가격지수>

 


<명목 및 실질 식량가격지수


붙임2

 

         식량가격지수(2014~2023)


연도

식량가격지수

육류

유제품

곡물

유지류

설탕

2014

115.0

112.2

130.2

115.8

110.6

105.2

2015

93.0

96.7

87.1

95.9

89.9

83.2

2016

91.9

91.0

82.6

88.3

99.4

111.6

2017

98.0

97.7

108.0

91.0

101.9

99.1

2018

95.9

94.9

107.3

100.8

87.8

77.4

2019

95.1

100.0

102.8

96.6

83.2

78.6

2020

1

102.5

103.6

103.8

100.7

108.7

87.5

2

99.4

100.5

102.9

99.6

97.6

91.4

3

95.2

99.4

101.5

98.0

85.4

73.9

4

92.5

96.9

95.8

99.6

81.2

63.2

5

91.1

95.4

94.4

98.0

77.8

67.8

6

93.3

94.8

98.3

97.3

86.6

74.9

7

94.0

92.2

101.8

97.3

93.2

76.0

8

95.9

92.2

102.1

99.2

98.7

81.1

9

98.0

91.5

102.3

104.3

104.6

79.0

10

101.4

91.8

104.5

112.1

106.5

84.7

11

105.6

93.3

105.4

114.8

121.9

87.5

12

108.6

94.8

109.2

116.4

131.2

87.1

(평균)

98.1

95.5

101.8

103.1

99.4

79.5

2021

1

113.5

96.0

111.2

125.0

138.9

94.2

2

116.6

97.8

113.1

126.1

147.5

100.2

3

119.2

100.8

117.5

123.9

159.3

96.2

4

122.1

104.3

119.1

126.2

162.2

100.0

5

128.1

107.4

121.1

133.7

174.9

106.8

6

125.3

110.7

119.9

130.3

157.7

107.7

7

124.6

114.1

116.7

126.3

155.5

109.6

8

128.0

113.4

116.2

130.4

165.9

120.5

9

129.2

112.7

118.1

132.8

168.6

121.2

10

133.2

112.0

121.5

137.1

184.8

119.1

11

135.3

112.5

126.0

141.4

184.6

120.2

12

133.7

111.0

129.0

140.5

178.5

116.4

(평균)

125.7

107.7

119.1

131.2

164.9

109.3

2022

1

135.6

112.1

132.6

140.6

185.9

112.7

2

141.2

113.9

141.5

145.3

201.7

110.5

3

159.7

119.3

145.8

170.1

251.8

117.9

4

158.4

121.9

146.7

169.7

237.5

121.5

5

158.1

122.9

144.2

173.5

229.2

120.4

6

154.7

125.9

150.2

166.3

211.8

117.3

7

140.6

124.1

146.5

147.3

168.8

112.8

8

137.6

121.1

143.4

145.6

163.3

110.5

9

136.0

120.3

142.7

147.9

152.6

109.7

10

135.4

116.8

139.3

152.3

151.3

108.6

11

134.7

114.6

137.4

150.1

154.7

114.4

12

131.8

112.4

138.2

147.3

144.6

117.2

(평균)

143.7

118.8

142.4

154.7

187.8

114.5

2023

1

130.6

112.1

135.0

147.5

140.4

116.8

2

129.8

112.0

131.3

147.3

135.9

124.9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보이지 않는 살인자 ‘대기오염’ 해결 머리맞대
충남도가 인류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보이지 않는 살인자 ‘대기오염’ 해결을 위해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댔다. 도는 5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제6회 세계 푸른하늘의 날을 기념해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정책적 관리 강화와 저감 전략’을 주제로 대기환경개선 정책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포럼은 전형식 도 정무부지사와 송민영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김정훈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단체, 기업, 도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유공자 표창 △발제 △종합토론 등 순으로 진행됐다.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을 통해 오존을 생성하기도 하며, 대표적인 물질로는 벤젠, 톨루엔, 프로판, 부탄 및 헥산 등이 있다. 가정이나 세탁소, 주유소, 인쇄업 등 생활 속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만큼 감축 속도는 더디고, 관리 사각지대도 존재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송민영 연구위원은 ‘서울시 휘발성유기화합물 관리 분석과 대응 방안’을 주제로,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현황과 서울시의 배출 관리 정책 및 분석, 관리를 위한 향후 방안에 대해 소개했다. 송 연구위원은 “2022년 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충남연구원, 농정혁신의 패러다임 변화 구상
충남연구원은 5일 “신정부의 농정과 충남 농정의 재구조화”를 주제로 제5차 충남 미래정책 콜로키움을 연구원에서 개최했다. 이번 콜로키움은 최근 국정기획위원회가 발표한 ‘농정 분야’의 핵심 과제인 △국민 먹거리를 지키는 국가전략산업으로 농업 육성 △국가 책임을 강화하는 농정 대전환 등을 중심으로 충남도의 농업·농촌 현실과 과제 점검 등을 통해 미래 정책 방향을 전망하는 자리였다. 발표에 나선 충남연구원 유학열 지역도시문화연구실장은 “새정부의 농정 분야 주요 키워드는 ‘농촌재생’, ‘탄소중립’, ‘청년농업’, ‘스마트농업’, ‘K-푸드’, ‘새대전환’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며 “저성장·인구감소 시대에 기존 농업·농촌 정책만으로는 한계가 분명하기 때문에 충남 농정에도 새정부 기조와 연계해 중장기적 패러다임의 전환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충남 농산업 부문의 재구조화를 위해 △충남형 탄소중립 스마트팜 단지 조성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자원순환 및 바이오에너지플랜트 조성 △충남 농정 데이터플랫폼 구축 △충남형 노지스마트농업 시범단지 조성 △미래형 대체식품 혁신기반 구축 등 새로운 기술 개발과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충남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