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7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농축산식품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가격지수 전월 대비 0.8% 하락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2년 4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59.7포인트) 대비 0.8% 하락한 158.5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지난달 우크라이나 사태 등의 영향으로 상승한 곡물과 유지류의 가격지수가 다소 하락하였으나, 육류, 유제품, 설탕의 가격지수는 상승하였다.

   *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조사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작성, 발표(2014-2016년 평균=100)
  ** (`21.4월) 122.1 → (9월) 129.2 → (`22.1월) 135.6 → (2월) 141.1 → (3월) 159.7 → (4월) 158.5

  2022년 4월 곡물 가격지수는 2022년 3월(170.1포인트)보다 0.4% 하락한 169.5포인트를 기록하였다. 밀은 우크라이나의 수출항구 봉쇄가 계속되면서 가격 상승세가 유지되었으나, 인도 등의 수출 증가로 상승 폭은 제한적이었다. 옥수수는 남미에서 수확이 진행되면서 가격이 하락하였다. 쌀은 아시아 지역 수요 증가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였다.

  유지류의 경우, 전월(251.8포인트)보다 5.7% 하락한 237.5포인트를 기록하였다. 팜유는 중국 등의 수요가 감소하며 가격이 하락하였으나, 인도네시아의 수출 감소 우려로 인해 하락 폭은 제한적이었다. 해바라기씨유, 대두유는 최근의 가격 상승에 따라 수요가 감소하며 가격이 하락하였다. 유채씨유는 공급 부족이 계속되며 가격이 상승하였다.

  육류의 경우, 전월(119.3포인트)보다 2.2% 상승한 121.9포인트를 기록하였다. 돼지고기는 서유럽의 공급 부족과 주요 생산국의 국내 수요 증가에 따라 상승세가 지속되었다. 가금육은 우크라이나의 수출 장애, 북반구의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증가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였다. 쇠고기는 도축용 소 공급 부족이 지속되며 가격이 상승하였다.

  유제품의 경우, 전월(145.8포인트)보다 0.9% 상승한 147.1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서유럽과 오세아니아를 중심으로 우유 생산량 부족이 지속되었으며, 버터는 공급 부족과 더불어 해바라기씨유의 대체재로 수요가 증가하면서 가격이 상승하였다. 탈지분유와 치즈는 유럽 국가들의 수요가 지속되면서 가격 상승세가 유지되었다.

  설탕의 경우, 전월(117.9포인트)보다 3.3% 상승한 121.8포인트를 기록하였다. 브라질의 에탄올 제조용 사탕수수 수요 증가, 헤알화 강세에 따라 설탕 가격이 상승하였으나, 주요 수출국인 인도의 생산량 증가 전망으로 상승 폭은 크지 않았다.

  FAO는 2021/22년도 세계 곡물수급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망하였다. 2021/22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799.3백만 톤으로 2020/21년도 대비 0.8%(22.6백만 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생산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520.8백만 톤(0.7%↑) / 잡곡 1,501.9(1.3%↑) / 밀 776.6(0.01%↓)

  2021/22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784.9백만 톤으로 2020/21년도 대비 0.9%(26.0백만 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소비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520.7백만 톤(1.8%↑) / 잡곡 1,498.9(0.8%↑) / 밀 765.2(0.7%↑)

  2021/22년도 세계 곡물 기말 재고량은 855.9백만 톤으로 2020/21년도 대비 2.8%(22.9백만 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재고량 전망치(전년대비): 쌀 192.7백만 톤(1.2%↑) / 잡곡 358.9(2.4%↑) / 밀 304.3(4.2%↑)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에 따른 가격 상승, 수급 불안 가능성에 대비하여 관련 업계와 일일 단위로 주요 곡물 재고 및 시장동향을 점검하고 대응 조치를 논의하고 있다.
 
   *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영향으로 2~3월 중 밀․콩․옥수수 선물가격이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나 4월 이후 투자자 차익 실현 매도 등으로 소폭 하향 조정 후 등락 반복 중

  국내 관련 업계(제분․사료․전분당․대두가공)는 7~9월 중 사용물량까지 재고를 보유하고 있으며(계약물량 포함 시 ’22.9월~’23.1월), 추가 소요 물량도 입찰을 통해 확보해 나가고 있다.

  농식품부는 국제곡물 가격 상승으로 인한 농가, 소비자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원료구매자금(사료 647억 원, 식품 1,280억 원) 금리를 2.5~3.0%에서 2.0~2.5%로 인하(3월)하였다. 사료곡물 대체 원료에 대해 무관세가 적용되는 할당물량을 증량(4월, 겉보리 6만 → 25만 톤, 소맥피 3 → 6만 톤)하였으며, 우크라이나 사태 등 현지 혼란에 따라 통관 서류를 갖추지 못한 긴급 수입 물량에 대해 사후 검사 등으로 절차를 보완하여 통관을 지원하는 조치도 실시 중이다.

  단기 조치 이외에도, 중장기적으로는 안정적 식량 공급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①밀․콩을 중심으로 국내 자급기반 확충, ②비축 확대, ③민간 기업을 통한 해외 곡물 공급망 확보 등 대책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앞으로도 추가적 가격 상승 가능성이 상존하는 만큼, 농식품부는 업계와 긴밀히 소통하면서 시장 상황을 점검하고,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재정․세제지원 등 추가적 조치도 적극 강구할 계획이다.

붙임 1. 식량가격지수 그래프(연도별, 품목별)2. 식량가격지수(2013~2022)

붙임1

 

     식량가격지수 그래프(연도별 품목별)



 


<연도별 식량가격지수)>

 

<품목별 가격지수>

 


<명목 및 실질 식량가격지수)> 


붙임2

 

       식량가격지수(2013~2022)


연도

식량가격지수

육류

유제품

곡물

유지류

설탕

2013

120.1

106.2

140.9

129.1

119.5

109.5

2014

115.0

112.2

130.2

115.8

110.6

105.2

2015

93.0

96.7

87.1

95.9

89.9

83.2

2016

91.9

91.0

82.6

88.3

99.4

111.6

2017

98.0

97.7

108.0

91.0

101.9

99.1

2018

1

96.8

95.6

106.0

95.2

98.3

87.2

2

97.9

97.0

108.8

98.4

95.6

83.9

3

99.0

97.2

111.3

101.8

95.4

80.9

4

98.6

95.9

110.0

104.0

94.0

76.8

5

98.7

95.3

111.4

105.5

92.2

76.4

6

97.0

95.1

112.3

100.8

89.3

77.4

7

95.1

94.6

110.1

98.7

86.9

72.5

8

96.0

95.8

108.5

103.5

84.4

68.6

9

94.2

94.1

108.3

100.3

82.3

70.4

10

93.3

92.3

102.8

100.9

81.3

76.5

11

92.2

92.9

100.0

99.6

76.6

79.9

12

92.2

92.9

97.8

101.1

76.8

78.3

(평균)

95.9

94.9

107.3

100.8

87.8

77.4

2019

1

93.3

92.3

100.9

101.8

80.3

79.3

2

94.0

93.1

103.8

100.7

81.8

80.3

3

93.2

94.6

105.6

97.5

78.4

78.7

4

93.6

97.8

106.1

94.6

79.1

79.3

5

94.3

100.5

106.6

94.4

78.5

76.7

6

95.4

101.2

102.9

99.2

77.5

79.9

7

95.1

102.4

101.1

97.6

78.1

79.4

8

94.1

102.3

100.3

92.6

82.6

76.2

9

93.4

101.0

99.6

91.8

83.9

73.5

10

95.2

101.6

100.8

96.0

84.1

77.8

11

98.6

106.5

102.5

95.6

93.2

79.2

12

101.0

106.6

103.5

97.4

101.5

83.0

(평균)

95.1

100.0

102.8

96.6

83.2

78.6

2020

1

102.5

103.6

103.8

100.7

108.7

87.5

2

99.4

100.5

102.9

99.6

97.6

91.4

3

95.2

99.4

101.5

98.0

85.4

73.9

4

92.5

96.9

95.8

99.6

81.2

63.2

5

91.1

95.4

94.4

98.0

77.8

67.8

6

93.3

94.8

98.3

97.3

86.6

74.9

7

94.0

92.2

101.8

97.3

93.2

76.0

8

95.9

92.2

102.1

99.2

98.7

81.1

9

98.0

91.5

102.3

104.3

104.6

79.0

10

101.4

91.8

104.5

112.1

106.5

84.7

11

105.6

93.3

105.4

114.8

121.9

87.5

12

108.6

94.8

109.2

116.4

131.2

87.1

(평균)

98.1

95.5

101.8

103.1

99.4

79.5

2021

1

113.5

96.0

111.2

125.0

138.9

94.2

2

116.6

97.8

113.1

126.1

147.5

100.2

3

119.2

100.8

117.5

123.9

159.3

96.2

4

122.1

104.3

119.1

126.2

162.2

100.0

5

128.1

107.4

121.1

133.7

174.9

106.8

6

125.3

110.7

119.9

130.3

157.7

107.7

7

124.6

114.1

116.7

126.3

155.5

109.6

8

128.0

113.4

116.2

130.4

165.9

120.5

9

129.2

112.7

118.1

132.8

168.6

121.2

10

133.2

112.0

121.5

137.1

184.8

119.1

11

135.3

112.5

126.0

141.4

184.6

120.2

12

133.7

111.0

129.0

140.5

178.5

116.4

(평균)

125.7

107.7

119.1

131.2

164.9

109.3

2022

1

135.6

112.1

132.6

140.6

185.9

112.7

2

141.1

113.5

141.5

145.3

201.7

110.5

3

159.7

119.3

145.8

170.1

251.8

117.9

4

158.5

121.9

147.1

169.5

237.5

121.8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보이지 않는 살인자 ‘대기오염’ 해결 머리맞대
충남도가 인류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보이지 않는 살인자 ‘대기오염’ 해결을 위해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댔다. 도는 5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제6회 세계 푸른하늘의 날을 기념해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정책적 관리 강화와 저감 전략’을 주제로 대기환경개선 정책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포럼은 전형식 도 정무부지사와 송민영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김정훈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단체, 기업, 도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유공자 표창 △발제 △종합토론 등 순으로 진행됐다.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을 통해 오존을 생성하기도 하며, 대표적인 물질로는 벤젠, 톨루엔, 프로판, 부탄 및 헥산 등이 있다. 가정이나 세탁소, 주유소, 인쇄업 등 생활 속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만큼 감축 속도는 더디고, 관리 사각지대도 존재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송민영 연구위원은 ‘서울시 휘발성유기화합물 관리 분석과 대응 방안’을 주제로,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현황과 서울시의 배출 관리 정책 및 분석, 관리를 위한 향후 방안에 대해 소개했다. 송 연구위원은 “2022년 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강원특별자치도 북해도 크루즈 시찰단, 도민과 함께 출발!
□ 강원특별자치도(도지사 김진태)는 9월 6일(토) 속초항에서 ‘도민과 함께하는 북해도 크루즈 시찰단’ 발대식을 갖고 7일간의 항해에 나섰다고 밝혔다. - 이번 시찰단은 11만 톤급 대형 국제 크루즈선 코스타세레나호에 승선해 무로란, 삿포로, 쿠시로, 하코다테 등 주요 기항지를 방문하며 관광 활성화와 교류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 시찰단에는 손창환 강원도 글로벌본부장을 비롯해 엄윤순 도의회 농수위원장, 배상요 속초시 부시장 등 주요 인사와 언론사 기자단이 함께 했고, 특히 도민 크루즈 체험단 200명이 동행해 실제 여행 만족도와 개선점을 직접 확인한다. - 이번 크루즈에는 승객 2,315명과 선원 1,000여 명 등 총 3,315명이 탑승했으며, 이 가운데 강원도민은 300여 명이다. □ 당초 김진태 지사, 김시성 도의장 등 시찰단에 동행할 예정이었으나, 강릉가뭄으로 재난사태가 선포되면서 현장 대응에 집중하기 위해 참여하지 못했다. 대신 속초항에서 직접 시찰단을 환송하며, “잘 다녀오시고 크루즈 내에서 많이 체험하고 경험한 내용을 알려주시면 향후 크루즈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당부했다. - 이어, “올해 속초를 기점으로 총 4회 대형 크루즈가 운항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