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31 (월)

  • 구름많음동두천 6.8℃
  • 구름많음강릉 8.7℃
  • 맑음서울 7.9℃
  • 맑음대전 8.8℃
  • 구름많음대구 10.2℃
  • 구름많음울산 6.8℃
  • 맑음광주 7.8℃
  • 구름많음부산 7.7℃
  • 맑음고창 4.5℃
  • 흐림제주 9.1℃
  • 구름조금강화 3.2℃
  • 구름조금보은 6.0℃
  • 맑음금산 6.3℃
  • 맑음강진군 7.1℃
  • 흐림경주시 6.9℃
  • 구름많음거제 6.4℃
기상청 제공

전국 479곳 정수장 위생관리 실태, 관계기관 합동으로 점검

- 3월 31일부터 5월 9일까지 수돗물 유충 예방 등 위생관리 실태 선제적 점검


  환경부(장관 김완섭)는 수돗물 유충 발생 예방 등 정수장 위생관리 상태를 확인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3월 31일부터 5월 9일까지 전국 479곳의 정수장을 대상으로 관계기관 합동 실태점검을 실시한다.

  이번 점검은 평년 대비 봄철 기온이 대체로 높을 것이라는 기상청 전망*을 고려하여 본격적인 여름철을 앞두고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실시하는 것이다.
 * (’25년 3~5월 기후전망, ’25.2.24) 3~5월 기온이 평년(5.6∼17.6도)보다 높을 확률(54~73%)

  실태점검은 환경부 주관으로 7개 유역(지방)환경청*과 한국수자원공사 4개 유역수도지원센터(한강, 금강, 낙동강, 영산강·섬진강)를 비롯해 지역별 전문가 및 지자체가 합동 점검단을 구성하여 진행한다.
 *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유역환경청, 원주·대구·전북지방환경청

  합동 점검단은 전국 479곳의 정수장을 방문하여 △수돗물 생산 과정에서 유충의 유입·유출 및 서식 가능성 차단, △정수처리 공정별 운영·관리 등 위생관리 전반에 대해 집중적으로 확인한다. 

  아울러 정수처리 환경이나 위생관리 실태가 미흡하거나 수돗물을 공급받는 가정집에서 유충이 발견될 우려가 있는 정수장은 기술지원을 병행하여 개선의 실효성을 높일 예정이다.

  한편, 환경부는 2021년부터 2년간 총 1,942억 원을 투입하여 정수장에 유충 유입을 방지하는 미세차단망 등을 설치하는 위생관리 개선사업을 시행한 바 있다. 

  또한 2년(2023년)전부터 올해(2025년)까지는 98곳의 지자체를 대상으로 976억 원을 지원하여 수돗물 공급과정 내 소형생물 차단설비(마이크로 스트레이너, 정밀여과장치 등) 설치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환경부는 이번 실태점검을 통해 각 지자체별로 추진하고 있는 소형생물 차단설비 설치사업이 적기에 완료될 수 있도록 독려하여 수돗물 유충 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계획이다.

  김효정 환경부 물이용정책관은 “여름철 유충발생 취약시기 이전에 위생관리 실태를 선제적으로 점검하여 시설개선이 필요하거나 운영·관리가 미흡한 정수장을 개선함으로써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 공급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붙임  1. 전국 정수장 위생관리 실태 합동점검 계획 개요.
      2. 소형생물 차단설비 개요.  끝.


붙임 1

 

전국 정수장 위생관리 실태 합동점검 계획 개요


1. 배경 및 목적 
 ㅇ ’20년 이후 수돗물에서 여름철을 전·후로 소형생물 유충 발생이 지속
   * ’20년 인천·제주, ’21년 제주, ’22년 창원·수원 등 유충 민원에 따른 사회적 이슈 발생

 ㅇ 또한, 기후위기 영향으로 여름철 평균 기온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어, 수돗물 유충 발생 및 오염사고 예방하기 위한 위생관리 점검을 추진하여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 공급 도모

2. 점검개요

 ㅇ (기간) ‘25. 3. 31(월) ~ 5. 9(금), 6주간

 ㅇ (대상) 전국 479개 정수장(광역 39, 지방 440)

 ㅇ (방법) 환경청, 유역수도지원센터, 외부전문가 등 합동 현장점검

 ㅇ (주요점검사항) 정수처리공정 내 유충 서식 가능성 또는 서식 여부 등
     * 주요 공정·시설별 점검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점검·조사 

  ① 최근 관리 또는 조사과정에서 확인된 공정별 유충 취약 요인*에 대해 위생관리 실태 중점점검 및 개선방안 제시
     * 활성탄지·여과지 성충 유입·서식, 산화처리(염소·오존) 부족, 역세척수조 청결미흡 등

  ② 위생관리 실태가 미흡하거나 유충 발생 우려 정수장은 기술지원 병행실시

  ③「’21~‘22년 위생관리 개선사업」시 설치한 시설의 적정 운영여부 확인,「’23~‘25년 소형생물대응체계 구축사업」(여과망 설치 등) 조기시행 독려
      * 소형생물 대응체계 구축사업이 `25년에 종료됨에 따라 유충 발견 및 시설관리가 미흡한 정수장은 사전점검을 통한 시설 보완요청 등

  ④ 「수돗물 유충발생 예방 및 대응방안」매뉴얼을 참고(붙임)하여 정수장 시설 및 운영관리 이행여부

3. 추진 일정
 ㅇ ’25. 3. 31 ~ 5. 30 : 현장점검 실시 및 결과보고(환경청)

 ㅇ ’25. 6. 2 ~ 6. 5 : 미흡사항 조치결과 보고(수도사업자→환경청)
   * 유충이 발견되거나 위생관리가 미흡한 정수장은 추가 점검(6~7월) 예정


붙임 2

 

소형생물 차단설비 개요


소형생물 차단   소형생물 차단설비 설치위치

 


  소형생물 차단설비 세부내용

 

구 분

마이크로스트레이너

여과망

정밀여과장치

설치위치

활성탄지 또는 여과지 지별 유출배관

정수지 유입부

정수지 ~ 최종수용가 사이 관로

내용

· 유출배관에 설치하여 유충·이물질의 정수지 유입 원천 차단

· 유입부에 큐브박스형 스테인레스(STS)등을 설치하여 유충·이물질을 물리적으로 스크린하여 차단

· 관로상 필터가 포함된 덮개(housing) 설치하여 유충·이물질 제거

개념도




설치예시







포토뉴스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수원시 축만제에서 수거한 민물가마우지 폐사체에서 고병원성 AI(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
수원시 축만제 주변에서 수거한 민물가마우지 폐사체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검출됐다. 수원시는 축만제 주변 출입을 통제하고, 검출 지역 주변을 방역했다. 수원시는 3월 24일 축만제 주변(서둔동)에서 민물가마우지 1개체의 폐사체를 수거했고, 즉시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AI 검사를 의뢰했다. 3월 26일 선별검사에서 ‘H5형 AI항원’이 검출됐고, 29일 ‘고병원성 AI’ 판정을 받았다. 경기도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는 초동방역을 지원했다. 검출지 반경 60m 이내를 방역하고, 출입통제 현수막을 설치했다. 수원시는 축만제 산책로, 서호천 진입로를 4월 14일까지 출입통제하고 방역한다. 검출지 반경 10㎞는 야생조수류 예찰 구역으로 설정해 예찰을 강화하고 있다. 또 주변 농장 등을 소독하고, 3월 31일 자로 출입통제명령을 발령했다. 가금 사육 가구에는 AI 발생 사실과 방역 조치 사항을 안내하는 문자메시지를 발송했다. 수원시는 이상 행동을 하는 야생조류와 폐사체 예찰을 강화하고, 폐사체가 발생하면 즉시 수거해 검사를 의뢰할 예정이다. 수원시 관계자는 “AI 확산 방지를 위한 출입 통제 조치에 시민들께서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시길 바란다”며 “저수지나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