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이 대한민국 물산업을 세계적 수준으로 육성하기 위한 마중물 역할에 강한 의지를 보이며 국내 물분야 우수 기업들과 함께 미래 물관리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는 3월 19일부터 21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2025 워터코리아(국제물산업박람회)’에서 국내 물산업 우수 중소기업 21개 사와 함께 ‘K-water 공동기업관’을 운영하며 대한민국 물기술의 최신 성과를 선보였다.
이 자리에서는 디지털트윈, 인공지능(AI) 정수장, 스마트 관망 관리 등 한국수자원공사의 물관리 3대 초격차 기술*을 소개하고, 가상현실(VR) 체험 부스를 운영하며 방문객들의 참여와 호응을 끌어냈다.
* ① 물관리 디지털트윈 : 댐 상·하류를 가상공간에 복제하여 댐 운영 의사결정 지원, ② 인공지능(AI) 정수장 : AI 알고리즘 분석으로 정수장 자율 운영, ③ 스마트 관망 관리(SWNM) : 사물인터넷(IoT) 등 활용 누수 저감·관로 안정화
또한, ‘K-water 공동기업관’ 운영을 통해 함께 참여한 21개 기업은 모두 한국수자원공사의 중소기업지원제도 대상 기업 등 협력관계에 있는 기업들로, 이번 박람회에서 자신들의 최신 기술을 선보이며 수출상담회 등 해외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특히, 지난 1월 미국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의 기술 박람회인 CES 2025에서 ‘혁신상’을 수상한 국내 기업인 이노셉과 화우나노텍 등 혁신 기술을 보유한 물기업들이 참여하여 점차 해외시장에서도 혁신성을 인정받고 있는 대한민국 물산업의 현재와 미래 전망을 선보였다.
한편, 윤석대 사장은 이날 행사에서 ‘K-water 공동기업관’ 전시 부스를 일일이 찾아 국내 물산업의 혁신 성과를 직접 점검하고, 이들 기업과 해외시장 진출 지원 및 동반성장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며 대한민국 물산업 육성에 협력을 다짐했다.
윤석대 사장은 “기후위기와 반도체 등 첨단산업의 성장으로 물수요는 증가하나 확보는 쉽지 않은 상황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물관리 기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라며, “물관리 전문기관으로서 기술적, 제도적으로 적극 지원하여 민간 분야의 혁신 역량과 결합한 지속가능한 협력 모델을 만들어 물산업이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서 기후위기 대응을 선도해 나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관련 사진 2매(별첨). 끝.
붙 임 | | 관련 사진 |

[사진] 1.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사진 오른쪽에서 두 번째)이 2025년 3월 21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2025 워터코리아’에서 한국수자원공사의 관로시설 점검용 드론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이번 행사에서 대한민국 물기술의 미래 청사진을 선보이고자 국내 물산업 우수 중소기업 21개 사와 함께 ‘K-water 공동기업관’을 운영하여 참여했다.

[사진] 2.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사진 앞줄 왼쪽)이 2025년 3월 21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2025 워터코리아’에서 K-water 공공기업관 참가 기업 중 하나인 이노셉의 정수 시스템을 살펴보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이번 행사에서 대한민국 물기술의 미래 청사진을 선보이고자 국내 물산업 우수 중소기업 21개 사와 함께 ‘K-water 공동기업관’을 운영하여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