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재해·안전·예방

- 공간정보 기반 생활지도 대민서비스 제공 -

부산시, 도시공간정보시스템 고도화 완료


부산시, 도시정보 및 생활지리서비스 재개발 구축한 도시공간정보시스템 고도화사업 완료
2017. 1. 2일부터 업무용 도시공간정보 포탈 및 생활지도 대민포탈 서비스 제공

부산시는 2016년에 추진한 도시 공간정보 업무포탈 및 대민 생활지도 제공서비스를 2017년 1월 2일부터 오픈한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도로, 상하수도 시설물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지금껏 도시정보시스템(UIS)을 사용해 왔으나, 운영 시스템 환경 변화와 시민에게 효율적인 행정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올해 총 18억3천만원의 예산으로 GIS엔진을 업그레이드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도시공간정보 업무포탈 및 생활지도 대민포탈’을 전면 재구축했다.

먼저, 기존 행정업무용으로 C/S와 웹 조회시스템으로 이원화되어 운영되고 있었으나, 이번 전면 재구축을 통해 도시공간정보 업무포탈로 통합되어 조회 및 편집업무에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주요 업무포탈 구축 내용은 △지도서비스 기반으로 도로 및 도로굴착온라인시스템 △상·하수도관리시스템 △지하시설물통합관리 △도시기준점조회 업무를 내부 행정시스템과 연동하여 한번 로그인으로 업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입체정보시스템 및 건물정보를 활용하여 일조분석, 경관분석이 가능하여 관련 인허가업무 처리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부서에서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나만의 지도 제작기능으로 지도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각종 정책지도를 생성하여 보고서 활용 및 시민에게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했다.

행정업무용 뿐만 아니라, 시민이 이용하는 공간정보 서비스 제공분야도 대폭 향상·구축했다. △기존의 생활지리정보시스템(lifemap.busan.go.kr)을 부산시 생활지도 대민포탈로 재구축하여 △배경지도 4종(국토교통부 브이월드 지도, 일반/위성/회색/야간)을 기본으로 제공하며, △공공데이터 공유·개방에도 앞장서서 시민들에게 효율적인 공간정보서비스를 제공한다.

수시로 지진이 발생하여 불안한 요즘, △국민안전처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부산시 지진대피소 현황을 지도기반 서비스로 제작하여 제공하고, 부산지역의 (초)미세먼지 현황(환경공단 제공)도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상수도사업본부와 연계하여 단수지역 안내 및 지도 형태로 조회할 수 있으며, 전화안내시스템을 활용하여 단수정보를 전화로 알려주는 서비스도 함께 제공한다.

이외에도, △아동안전지키미 집 및 어린이 보행사고 다발지역 현황 등 정보 제공, △토지대장, 공시가격, 실거래가 확인 등 부동산 관련 정보를 원클릭으로 한꺼번에 조회 등 지도상에서 아파트를 선택하여 관련 정보를 통합조회 할 수 있는 부동산 관련 정보 지도기반서비스도 제공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도시공간정보 업무포탈과 생활지도 대민포탈 서비스는 연말에 시스템 이관작업을 거쳐 2017년 1월 2일부터 오픈하여 서비스될 예정이며 인터넷 접속 주소(부산시 생활지도서비스-http://lifemap.busan.go.kr)는 기존과 동일하다. 앞으로, 시민들에게 효율적이며 시민생활 전반에서 활용될 수 있는 유용한 공간정보를 계속 추가하여 제공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경기도, ‘전국 식품안전·노인영양 전문가 포럼’ 열고 식품정책 논의
경기도는 29일 식품안전과 노인영양 분야의 전문가와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명 테이크호텔에서 ‘전국 식품안전·노인영양 전문가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고령화로 인한 노인 영양 및 식생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해법을 모색하고, 동시에 관련 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경기도 홍보대사 설수진의 진행으로 ▲김도균 경기도식품안전정책지원단 단장의 ‘경기도 식품안전 현황 및 연구·사업’ 발표 ▲정희원 저속노화연구소 소장의 ‘저속노화 식습관과 식품산업의 미래’ 특강 ▲임희숙 경희대 교수(어르신 식생활 실태와 식품안전 및 영양 정책 방향), 김진현 ㈜오뚜기 연구소장(식품안전 및 영양정보 서비스 플랫폼 구축과 활용), 오승현 ㈜정식품 수석연구원(고령친화식품 시장의 성장 가능성과 식품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주제 발표 ▲고령친화식품의 현황과 법적 규제를 주제로 한 패널 토론 등으로 구성됐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안전한 식품과 균형 잡힌 영양 섭취는 건강한 노화를 위한 필수 요소”라며 “경기도는 노인 대상 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지원 확대 등 실질적인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지하철 보조배터리 발화, 승객과 역 직원의 침착한 대응으로 큰 피해 막아
서울 지하철 4호선 전동차 안에서 관광객이 소지한 보조배터리에서 갑작스러운 연기와 발화가 발생했으나, 승객과 역 직원의 침착한 대처 덕분에 인명피해 없이 마무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에 따르면, 지난 27일(수) 밤 10시 21분경 불암산역 방면으로 향하던 열차 안에서 일본인 관광객의 에코백 속 보조배터리에서 연기가 새어 나왔다. 순간적으로 위급한 상황이 벌어졌지만, 인근에 있던 한 남성 승객이 열차 내 비치된 소화기를 사용해 보조배터리에 1차 소화를 시도하고, 동시에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승무 직원에게 상황을 알렸다. 신고를 접수한 승무 직원은 즉시 종합관제센터에 보고했으며, 관제센터는 인접한 이촌역에 화재 대응을 지시했다. 이촌역에서는 김태기 부역장과 서동순 차장이 소화기를 들고 현장에 출동, 열차 내부로 진입했다. 이들은 관광객의 짐과 보조배터리를 열차 밖으로 신속히 옮겨 2차 진화를 진행하는 동시에 승객 100여 명을 안전하게 하차시켰다. 이후 김 부역장은 잔여 발화 위험을 막기 위해 보조배터리를 화장실로 옮겨 물에 담가 완전히 진화시킨 뒤 역사 밖으로 이동시켰다.이 과정에서 불길은 관광객의 에코백과 보조배터리에만 국한되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