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7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인천시, 역대 최대 국비 6.9조 달성 … 보통교부세 1조 원 시대 열어

- 재정 위기 속 이룬 빛나는 성과, 3년 연속 국비 6조 원 시대 견인 -
- 유정복 시장, “정부·국회와 긴밀한 협력으로 이루어낸 성과”-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는 올해 보통교부세 1조 32억 원을 포함해 총 6조 8,729억 원의 국비를 확보했다고 5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6조 4,377억 원에서 4,352억 원(6.8%) 증가한 규모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며 국비 7조 원 시대에 성큼 다가섰다. 특히, 역대급 정부의 세수 결손과 긴축재정 기조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당초 목표액인 6조 1,900억 원 대비 6,829억 원(11.0%)을 초과 달성해 값진 성과로 평가된다.


< 최근 4년 국비 확보 현황 >

< 최근 4년 보통교부세 확보 현황(당초 기준) >



  

보통교부세 1조 원 달성, 전년도 9,526억 원 대비 506억 원 증가 주목할 만한 성과

 

올해 인천시는 보통교부세 1조 32억 원을 확보하며 전년도 당초 교부액 9,526억 원보다 506억 원(5.3%) 증가했다. 이는 보통교부세 총 재원이 전년 대비 0.9% 증가한 것에 비해 높은 증가율로, 주목할 만한 성과다. 


< 보통교부세 전년 대비 증감(당초 기준) >



                                                                                                           (단위:억 원)

  

구 분

2025(A)

2024(B)

증감(A-B)

증감률

보통교부세 (총 재원)

604,018

598,439

5,579

0.9%

인천시

10,032

9,526

506

5.3%

보통교부세는 정부가 내국세의 일정 비율(19.24%의 97%)을 지방자치단체에 교부하는 재원으로, 지자체가 지방세와 같이 용도의 제한 없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주재원이다. 


유정복 시장은 심각한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초저출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출산·양육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또한, 최근 안보 위협이 고조되고 있는 접경지역의 보전 확대가 시급하다는 점을 정부와 관계 공무원들에게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설득해 왔다. 


이러한 건의 사항은 2024년 12월 30일 개정된 「지방교부세법 시행규칙」에 반영돼 보통교부세 수요액 산정에 포함됐다. 주요 내용은 ▲저출생·육아지원 확대(아동인구 비율 30%→33%) ▲접경지역 지원 수요 확대(40%→50%) ▲일자리 창출 수요 일몰 기한 3년 연장 등이다.


인천시는 또한 보통교부세 산정을 위한 통계관리와 세입 확충, 세출 효율화를 위해 전담팀(T/F)을 운영하고 타 지자체와의 협력을 강화하는 등 전략적인 노력을 펼쳤다. 이러한 노력은 이번 성과로 이어졌다.

 역대 최대 국고보조금, 3년 연속 국비 6조 시대 견인

 

한편, 인천시는 역대 최대 국고보조금인 5조 8,697억 원도 확보했다. 이는 전년도 대비 3,846억 원(7.0%) 증가한 규모로, 정부 총지출 증가율(3.2%)을 크게 웃도는 기록적인 성과다. 특히, 정부의 건전재정 기조 속에서 국회 예산안이 증액 없이 감액만 반영된 상황에서 이룬 결과로 큰 의미를 지닌다.


유정복 시장은 튼튼한 재정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인천을 글로벌 톱텐(TOP 10) 도시로 성장시키고 시민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정부예산 편성이 진행되는 5월부터 12월까지 기획재정부와 중앙부처 장·차관, 국회 예결위원장 및 상임위원장 등과 수시로 면담하고 연락하며 국비 확보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설득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다.


국비 건의(’24.6.20. 경제부총리)

국비 건의(’24.6.20./11.7. 국회 예결위원장)



국비 건의(’24.7.29. 국토부 장관)

국비 건의(’24.7.29. 보건복지부 장관)




이번 국비 확보에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 3,630억 원 ▲서울도시철도 7호선 청라 연장 793억 원 ▲인천발 KTX 350억 원 ▲스마트빌리지 보급 및 확산 232억 원 ▲노인 일자리 지원 1,204억 원 등이 포함됐다. 이들 사업은 인천의 미래 성장과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정복 시장은 “최근 국·내외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3년 연속 국비 6조 원을 확보한 것은 인천시의 적극행정과 중앙정부 및 국회와 긴밀한 협력 결과”라며 “특히 보통교부세 1조 원 달성으로 확보된 추가 예산 1,132억 원은 시민들의 행복 체감을 높이고 인천의 미래를 위한 주요 사업에 소중한 재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붙임> 분야별 주요 국비사업 현황

 


  분야별 주요 국비사업 현황

분 야

 

주요 국비사업

 

 

 

 

 

 

철도·도로 등
기반시설 분야

(5,905억원)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 : 3,630억원(‘243,562, 68)

서울도시철도 7호선 연장 : 793억원(‘241,145,, 352)

인천발 KTX : 350억원(‘24746,, 396)

영종~신도 도로 건설 : 261억원(‘24251,, 10)

공단고가교~서인천IC 혼잡도로 : 108억원(‘2430,, 78)

 

 

 

 

친환경 분야
(2,276억원)

 

전기자동차 보급 및 충전인프라 구축 : 989억원(‘24717, 272)

하수도 설치 및 관로 정비 : 404억원(‘24348, 56)

산업단지 완충저류시설 설치 : 153억원(‘2411,, 142)

 

 

 

 

미래산업 분야
(1,493억원)

 

스마트빌리지 보급 및 확산 : 232억원(‘24200, 32)

업단지 에너지 자급자족 인프라 구축 : 80억원(‘24 30, 50)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 : 44억원(‘24 24, 20)

수소전기자동차 보급 : 946억원(‘241,243,, 297)

 

 

 

 

일자리·창업 분야

(1,308억원)

 

노인 일자리 지원 : 1,204억원(‘241,168,, 36)

장애인 일자리 지원 : 77억원(‘2474,, 3)

청년 일자리 지원 : 27억원(‘2431, 4)

 

 

 

 

복지 분야

(37,629억원)

100억원 이상

 

기초연금 지급 : 11,195억원(‘2410,272, 923)

생계급여 : 6,280억원(‘245495, 785)

영유아보육료 : 2,203억원(‘241,768, 435)

주거급여 : 2,384억원(‘242,148, 236)


 

< 사전절차 이행 등 선제적 대응 성과 >

 

 

 

(예타 완료) 인천신항 진입도로 지하차도 건설(1,980억원)

 

(예타 진행) 경인고속도로 연장 및 지하화(남청라IC-신월IC)(17,352억원),

인천2호선(고양) 연장(20,830억원), 서울5호선 김포검단 연장(33,302억원)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보이지 않는 살인자 ‘대기오염’ 해결 머리맞대
충남도가 인류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보이지 않는 살인자 ‘대기오염’ 해결을 위해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댔다. 도는 5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제6회 세계 푸른하늘의 날을 기념해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정책적 관리 강화와 저감 전략’을 주제로 대기환경개선 정책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포럼은 전형식 도 정무부지사와 송민영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김정훈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단체, 기업, 도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유공자 표창 △발제 △종합토론 등 순으로 진행됐다.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을 통해 오존을 생성하기도 하며, 대표적인 물질로는 벤젠, 톨루엔, 프로판, 부탄 및 헥산 등이 있다. 가정이나 세탁소, 주유소, 인쇄업 등 생활 속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만큼 감축 속도는 더디고, 관리 사각지대도 존재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송민영 연구위원은 ‘서울시 휘발성유기화합물 관리 분석과 대응 방안’을 주제로,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현황과 서울시의 배출 관리 정책 및 분석, 관리를 위한 향후 방안에 대해 소개했다. 송 연구위원은 “2022년 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강원특별자치도 북해도 크루즈 시찰단, 도민과 함께 출발!
□ 강원특별자치도(도지사 김진태)는 9월 6일(토) 속초항에서 ‘도민과 함께하는 북해도 크루즈 시찰단’ 발대식을 갖고 7일간의 항해에 나섰다고 밝혔다. - 이번 시찰단은 11만 톤급 대형 국제 크루즈선 코스타세레나호에 승선해 무로란, 삿포로, 쿠시로, 하코다테 등 주요 기항지를 방문하며 관광 활성화와 교류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 시찰단에는 손창환 강원도 글로벌본부장을 비롯해 엄윤순 도의회 농수위원장, 배상요 속초시 부시장 등 주요 인사와 언론사 기자단이 함께 했고, 특히 도민 크루즈 체험단 200명이 동행해 실제 여행 만족도와 개선점을 직접 확인한다. - 이번 크루즈에는 승객 2,315명과 선원 1,000여 명 등 총 3,315명이 탑승했으며, 이 가운데 강원도민은 300여 명이다. □ 당초 김진태 지사, 김시성 도의장 등 시찰단에 동행할 예정이었으나, 강릉가뭄으로 재난사태가 선포되면서 현장 대응에 집중하기 위해 참여하지 못했다. 대신 속초항에서 직접 시찰단을 환송하며, “잘 다녀오시고 크루즈 내에서 많이 체험하고 경험한 내용을 알려주시면 향후 크루즈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당부했다. - 이어, “올해 속초를 기점으로 총 4회 대형 크루즈가 운항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