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6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선군, 2024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 6,308억원 편성


정선군(군수 최승준)은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와 현안사업 해결을 위하
여 2024년 본예산 대비 658억원이 증가한 6,308억원의 예산을 편성하여
의회에 제출했다.

정선군 제1회 추경예산은 대내외 경제 상황의 악화로 지방교부세 등 자
주재원의 감소가 예상되나, 군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필수 현안사업과
지역경제 및 문화관광 활성화 등 주요 정책예산은 최대한 반영한다는 방
침이다.

이중 일반회계는 652억 8,374만 8천원이 증액된 5,760억 3,075만원 7천
원이며, 특별회계는 5억 5,712만 4천원이 증액된 548억 3,142만 2천원을
편성하였다.

제1회 추경예산 주요 내용으로는 ▲청년마을 뒤뜨루 다락방 조성 18억,
▲정선군 신청사 건립 40억, ▲정선군 행정지원센터 건립 34억 1천만, ▲
정선군 신도로망 구축 70억, ▲화암 힐링&아트하우스 조성 5억, ▲내 마
음을 돌리네, 리틀 백록담 조성사업 3억, ▲만항재 주차장 조성사업 2억,
▲아리랑문화재단 운영 및 사업비 9억 4천, ▲농경지 배수로 정비 7억,
▲농촌생활도로 포장 7억, ▲남면 문곡시가지 도로 확장 및 주차장 개설
10억, ▲남면 통합공공임대주택 건립 13억 ▲사북읍 공전골 급수구역 확
장 11억 등이다.

최승준 정선군수는 "이번 추경은 침체된 지역경제를 살리고, 주민 불편
사항 해소에 중점을 뒀다"면서 "예산이 확정되는 대로 계획된 사업들이
차질 없이 추진 해 나갈 수 있도록 신속하게 집행해 나가겠다" 고 말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보이지 않는 살인자 ‘대기오염’ 해결 머리맞대
충남도가 인류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보이지 않는 살인자 ‘대기오염’ 해결을 위해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댔다. 도는 5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제6회 세계 푸른하늘의 날을 기념해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정책적 관리 강화와 저감 전략’을 주제로 대기환경개선 정책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포럼은 전형식 도 정무부지사와 송민영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김정훈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단체, 기업, 도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유공자 표창 △발제 △종합토론 등 순으로 진행됐다.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을 통해 오존을 생성하기도 하며, 대표적인 물질로는 벤젠, 톨루엔, 프로판, 부탄 및 헥산 등이 있다. 가정이나 세탁소, 주유소, 인쇄업 등 생활 속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만큼 감축 속도는 더디고, 관리 사각지대도 존재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송민영 연구위원은 ‘서울시 휘발성유기화합물 관리 분석과 대응 방안’을 주제로,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현황과 서울시의 배출 관리 정책 및 분석, 관리를 위한 향후 방안에 대해 소개했다. 송 연구위원은 “2022년 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충남연구원, 농정혁신의 패러다임 변화 구상
충남연구원은 5일 “신정부의 농정과 충남 농정의 재구조화”를 주제로 제5차 충남 미래정책 콜로키움을 연구원에서 개최했다. 이번 콜로키움은 최근 국정기획위원회가 발표한 ‘농정 분야’의 핵심 과제인 △국민 먹거리를 지키는 국가전략산업으로 농업 육성 △국가 책임을 강화하는 농정 대전환 등을 중심으로 충남도의 농업·농촌 현실과 과제 점검 등을 통해 미래 정책 방향을 전망하는 자리였다. 발표에 나선 충남연구원 유학열 지역도시문화연구실장은 “새정부의 농정 분야 주요 키워드는 ‘농촌재생’, ‘탄소중립’, ‘청년농업’, ‘스마트농업’, ‘K-푸드’, ‘새대전환’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며 “저성장·인구감소 시대에 기존 농업·농촌 정책만으로는 한계가 분명하기 때문에 충남 농정에도 새정부 기조와 연계해 중장기적 패러다임의 전환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충남 농산업 부문의 재구조화를 위해 △충남형 탄소중립 스마트팜 단지 조성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자원순환 및 바이오에너지플랜트 조성 △충남 농정 데이터플랫폼 구축 △충남형 노지스마트농업 시범단지 조성 △미래형 대체식품 혁신기반 구축 등 새로운 기술 개발과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충남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