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2024년도 요양급여비용 계약, 평균 1.98% 인상, 5개 단체와 체결

- 의원, 약국 합의점 찾지 못하고 끝내 결렬 -


 

< 주 요 내 용 >

 

 

 

 

’24년도 환산지수 평균 인상률 1.98%(’23년도와 동일)

구 분

병원

의원

치과

한의

약국

조산원

보건기관

점수당

단가()

’23

79.7

92.1

93.0

95.4

97.6

151.9

91.0

’24

81.2

93.6

96.0

98.8

99.3

158.7

93.5

인상률(%)

1.9

(1.6)

3.2

3.6

(1.7)

4.5

2.7

* ( )는 협상 시 공단이 제시한 최종 수치

* 최근 5년간 환산지수 결정현황 붙임 1 참조

  

<협상 결과 요약>

□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직무대리 현재룡, 이하 “공단”)은 대한의사협회 등 7개 단체와 2024년도 요양급여비용 계약을 위한 협상을 완료하고, 6월 1일 재정운영위원회(위원장 윤석준, 이하 “재정위”)에서 이를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 협상결과 2024년도 평균인상률 1.98%(추가 소요재정 1조  1,975억 원), 병원 1.9%, 치과 3.2%, 한의 3.6%, 조산원 4.5%, 보건기관 2.7%로, 5개 유형은 타결되었고 의원, 약국 유형은 결렬되었다.

<협상 배경 및 경과>

□ 올해 협상은 최근 급격한 물가 상승 등 경제적 부담을 호소하는 가입자 측과 의료물가 상승에 따른 경영상의 어려움 해결을 위한 과감한 재정 투입을 요구하는 공급자의 시각 차이로 어느 때보다 어려운 협상이 예상되었다. 


□ 공단은 작년 제3차 재정운영위원회(’22.6.1.) 부대의견 의결에 따라,


 ○ 이번 수가 협상 시, 연구용역 등을 통해 수가밴드를 결정하기 위한 참고값을 다양하게 제시(총 5가지*)하였으며

    * SGR현행모형, SGR개선모형, GDP증가율모형, MEI증가율 모형, GDP-MEI 연계 모형

 ○ 가입자-공급자-공단 소통 간담회를 통해 의료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의견을 나누는 시간도 가졌다.

 

<협상 결과>

□ 공단의 협상단장인 이상일 급여상임이사는 가입자·공급자 간 시각 차이 해소를 위해 여러 차례 협의과정을 거쳤으나, 의원, 약국 유형과 결렬된 것에 아쉬움을 전하며,


 ○ 공단은 상호 신뢰와 존중을 기반으로 원활한 협상을 위해 노력해 왔으며, 건강보험제도의 지속가능성, 필수의료체계 구축과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의료 인프라 유지 및 어려운 경제상황에서 가입자의 부담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협상에 임하였다.


□ 가입자들은 코로나19라는 국가적 재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헌신한 의료계의 그간 노고에 감사를 표하는 한편, 최근 높은 물가 상승으로 인한 가입자의 경제적 부담과 건강보험 재정의 지속가능성도 함께  고려할 수 밖에 없었음을 강조했다.

 ○ 공급자는 인력난과 최근 물가상승으로 인한 지속적인 경영여건 악화를 고려할 때 적정수가 인상을 주장하였으며, 공단은 합리적 균형점을 찾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고 말했다. 


<부대의견>

□ 재정위는 이번 수가 계약 결과를 의결하며 아래와 같이 부대의견을 결의하였다.


                                           < 재정위 부대의견(6.1.) >

건강보험 재정운영위원회는 2025년 요양급여비용 계약(’24.5) 시 환산지수 인상분 중 일부 재정은 소아 진료 등 필수 의료 확충을 위해 수술, 처치 등 원가 보상이 낮은 행위유형 상대가치점수와 진찰료 등 기본진료료 조정에 활용할 것을 권고한다.


○ 그간 수가 계약 시, 원가 대비 보상이 과다한 검체ㆍ영상검사 등의 수가도 함께 일괄 인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 이에, 재정위는 차년도 환산지수 인상분 중 일부는 수술ㆍ처치ㆍ기본진료료 등 원가 대비 보상이 낮은 분야의 수가 조정을 통해 소아 진료 등 필수의료 확충에 활용하도록 권고하는 부대의견을 결의하였다. 

<향후 일정>
□ 이번 협상에서 결렬된 의원, 약국 유형의 환산지수는「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6월 30일까지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의결하고, 그 결과에 따라 연말까지 2024년도 ‘건강보험요양급여비용의 내역’을 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할 예정이다.


붙임 1. 최근 5년간 환산지수 결정 현황(2020∼2024)
     2. 2024년도 유형별 인상률 및 추가 소요재정
     3. 부대의견(안)


붙임 1

 

최근 5년간 환산지수 결정 현황(2020~2024)


                                                                                                                             (단위: %, )

유형별

병원

의원

치과

한의

약국

보건기관

조산원

2024

조정률

(평균 1.98)

1.9

(1.6)

3.2

3.6

(1.7)

2.7

4.5

환산지수

81.2

93.6

96.0

98.8

99.3

93.5

158.7

협상결과

체결

결렬

체결

체결

결렬

체결

체결

2023

조정률

(평균 1.98)

1.6

(2.1)

2.5

(3.0)

3.6

2.8

4.0

환산지수

79.7

92.1

93.0

95.4

97.6

91.0

151.9

협상결과

체결

결렬

체결

결렬

체결

체결

체결

2022

조정률

(평균 2.09)

1.4

3.0

2.2

3.1

3.6

2.8

4.1

환산지수

78.4

90.2

90.7

92.6

94.2

88.5

146.1

협상결과

결렬

체결

결렬

체결

체결

체결

체결

2021

조정률

(평균 1.99)

1.6

2.4

1.5

2.9

3.3

2.8

3.8

환산지수

77.3

87.6

88.7

89.8

90.9

86.1

140.3

협상결과

결렬

결렬

결렬

체결

체결

체결

체결

2020

조정률

(평균 2.29)

1.7

2.9

3.1

3.0

3.5

2.8

3.9

환산지수

76.2

85.8

87.4

87.3

88.0

83.8

135.2

협상결과

체결

결렬

체결

체결

체결

체결

체결

      * ( )는 협상 시 공단이 제시한 최종 수치임


붙임 2

 

    2024도 유형별 인상률 및 추가 소요재정

                                                            

                                                                                                                         (단위: %, 억 원)

유형

인상률

추가 소요재정

협상결과

평균()

1.98

11,975

 

병원

1.9

6,413

체결

의원

(1.6)

2,490

결렬

치과

3.2

1,277

체결

한의

3.6

1,104

체결

약국

(1.7)

666

결렬

보건기관

2.7

25

체결

조산원

4.5

0.2

체결

     * ( )는 협상 시 공단이 제시한 최종 수치임


붙임 3

 

      부대의견()


1. 강보험 재정운영위원회는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가 의원 및 약국 유형의 2024년도 요양급여비용을 심의의결함에 있어, 수가 협상이 타결된 다른 단체와의 형평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협상 단계에서 공단이 최종 제시한 인상률인 의원 1.6%, 약국 1.7%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 주기를 건의한다.

 

2. 강보험 재정운영위원회는 2025년 요양급여비용 계약 환산지수 인상분 중 일부 재정을 소아 진료 등 필수 의료 확충을 위해 수술, 처치 원가 보상이 낮은 행위유형 상대가치점수와 진찰료 등 기본진료료 조정에 활용할 것을 권고한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