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수도권매립지, 건설폐기물 직반입 금지 이후 77.8% 감소

◇ 지난해 같은 기간 40,694톤 대비 9,010톤으로 31,684톤 감소
◇ 한 달간 반입기준 위반 29대 적발, 벌점부과 및 반출조치
◇ 위탁처리업체의 적자해소 위해 자체 선별, 파쇄시설 필요


□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이하 “공사”)는 올해부터 중간처리하지 않은 건설폐기물의 직반입을 금지함에 따라 1월 한 달 동안 공사장생활잔재폐기물(구 건설폐기물) 9,010톤이 반입되어 지난해 같은 기간 40,694톤 대비 77.8%가 감소했다고 밝혔다.
□ 공사는  1월 중 반입차량 567대 중 5.1%인 29대를 적발하여 벌점부과 및 반출 조치하였다.
□ 위반내용을 보면 가연성폐기물 20%이상 혼합 11대, 직경15cm이상 혼합된 차량 14대를 적발하여 벌점기준금액 78,000원의 2~8배 벌칙금을 부과하였다.
□ 문제는 공사장생활잔재폐기물 위탁처리업체들이 자체 분리, 선별, 파쇄시설이 없어 급한 대로 중장비로 분리선별하고 있기 때문에 반입기준을 초과하는 경우가 많아 벌점기준금액의 2~8배를 벌금으로 내야하고, 중간처리업체에 위탁할 경우 적자운영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 공사 이재일 부장은 “공사장생활잔재폐기물 위탁처리업체에도 자체 분리, 선별, 파쇄시설을 허용하여 추가 비용 부담 없이 매립지로 반입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의 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붙임 1. 2022년 1월 공사장생활잔재폐기물 반입현황 1부.
     2. 공사장생활잔재폐기물 반입기준 위반 현황 1부.
     3. 공사장생활잔재폐기물 위탁처리업체 현황 1부.

붙 임 1

 

20221월 공사장생활잔재폐기물 반입현황

             
<> 공사장생활잔재폐기물 반입량 통계자료

2021()

2022()

증감률

반입일자

반입량()

반입일자

반입량()

합계

40,694

합계

9,010

77.8%

14

3,246

13

715

 

5

3,235

4

749

 

6

1,372

5

735

 

7

719

6

618

 

8

1,011

7

781

 

11

2,828

10

473

 

12

2,764

11

190

 

13

2,685

12

83

 

14

2,845

13

92

 

15

1,794

14

11

 

18

2,530

17

853

 

19

1,105

18

1,127

 

20

1,651

19

774

 

21

1,654

20

121

 

22

1,693

21

103

 

25

2,674

24

235

 

26

2,457

25

177

 

27

2,455

26

231

 

28

1,001

27

392

 

29

974

28

457

 

-

-

30

95

설연휴 반입



붙 임 2-1

 

공사장생활잔재폐기물 반입기준 위반현황


날 짜

반입

대수

검사 내역

위반

대수

위반사항

벌점(금액/)

반출여부

1.3~1.7

229

2

소각대상가연성20%이상30%미만혼합반입

12(936천원)

 

1.10()

30

2

회차(1)

소각대상가연성20%이상30%미만혼합반입

(회차 1)

12(936천원)

 

1.11()

11

2

직경15cm이상으로10%이상혼합반입 등

2(624천원)

 

1.12()

5

1

직경15cm이상으로10%이상혼합반입

2(156천원)

 

1.13()

6

-

 

 

 

1.14()

1

1

소각대상가연성20%이상30%미만혼합반입

6(468천원)

 

1.17()

53

3

회차(1)

직경15cm이상으로10%이상혼합반입 등

(회차 1)

10(780천원)

 

1.18()

72

4

직경15cm이상으로10%이상혼합반입 등

16(1,107천원)

 

1.19()

49

3

직경15cm이상으로10%이상혼합반입

6(468천원)

 

1.20()

10

회차(2)

(회차 2)

 

 

1.21()

6

-

 

 

 

1.24()

14

1

소각대상가연성20%이상30%미만혼합반입

6(468천원)

 

1.25()

11

-

 

 

 

1.26()

14

1

직경15cm이상으로10%이상혼합반입

2(156천원)

 

1.27()

23

1

소각대상가연성30%이상혼합반입

8(624천원)

반출

1.28()

27

3

소각대상가연성30%이상혼합반입 등

20(1,560천원)

반출

1.30()

6

1

소각대상가연성20%이상30%미만혼합반입

6(468천원)

 

합 계

567

29

(회차포함)

 

108

(8,751천원)

 

* 반입기준 위반사항 : 벌점부과(직경15cm이상10%이상, 소각대상가연성20%이상30%미만), 반출(소각대상가연성30%이상 반출)

* 회차 : 반입기준 위반을 우려하여 하역하지 않고 자진 회차한 경우


붙 임 2-2

 

공사장생활잔재폐기물 반입기준 위반현황(1)


날 짜

반입

대수

적 발 내 역

대수

위 반 사 항*

조치내용

1주차

(1.3~7)

229

2

직경 혼합반입

벌점부과

2주차

(1.10~14)

53

7

직경 및 가연성 혼합반입 등

(회차 1)

벌점부과

3주차

(1.17~21)

190

13

직경 및 가연성 혼합반입 등

(회차 3)

벌점부과

4주차

(1.24~31)

95

7

직경 및 가연성 혼합반입 등

벌점 및 반출(2)

합 계

567

29

 

벌점 점당 78,000

* 반입기준 위반사항 : 벌점부과(직경15cm이상10%이상, 소각대상가연성20%이상30%미만), 반출(소각대상가연성30%이상 반출)

* 회차 : 반입기준 위반을 우려하여 하역하지 않고 자진 회차한 경우




반입기준 위반 공사장생활잔재폐기물


붙 임 3

 

공사장생활잔재폐기물 위탁처리업체 현황




중장비를 이용한 공사장생활잔재폐기물 분리선별



분리선별한 폐기물



매립지로 운송하기 전 공사장생활잔재폐기물 적치 모습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경기도, ‘전국 식품안전·노인영양 전문가 포럼’ 열고 식품정책 논의
경기도는 29일 식품안전과 노인영양 분야의 전문가와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명 테이크호텔에서 ‘전국 식품안전·노인영양 전문가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고령화로 인한 노인 영양 및 식생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해법을 모색하고, 동시에 관련 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경기도 홍보대사 설수진의 진행으로 ▲김도균 경기도식품안전정책지원단 단장의 ‘경기도 식품안전 현황 및 연구·사업’ 발표 ▲정희원 저속노화연구소 소장의 ‘저속노화 식습관과 식품산업의 미래’ 특강 ▲임희숙 경희대 교수(어르신 식생활 실태와 식품안전 및 영양 정책 방향), 김진현 ㈜오뚜기 연구소장(식품안전 및 영양정보 서비스 플랫폼 구축과 활용), 오승현 ㈜정식품 수석연구원(고령친화식품 시장의 성장 가능성과 식품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주제 발표 ▲고령친화식품의 현황과 법적 규제를 주제로 한 패널 토론 등으로 구성됐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안전한 식품과 균형 잡힌 영양 섭취는 건강한 노화를 위한 필수 요소”라며 “경기도는 노인 대상 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지원 확대 등 실질적인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지하철 보조배터리 발화, 승객과 역 직원의 침착한 대응으로 큰 피해 막아
서울 지하철 4호선 전동차 안에서 관광객이 소지한 보조배터리에서 갑작스러운 연기와 발화가 발생했으나, 승객과 역 직원의 침착한 대처 덕분에 인명피해 없이 마무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에 따르면, 지난 27일(수) 밤 10시 21분경 불암산역 방면으로 향하던 열차 안에서 일본인 관광객의 에코백 속 보조배터리에서 연기가 새어 나왔다. 순간적으로 위급한 상황이 벌어졌지만, 인근에 있던 한 남성 승객이 열차 내 비치된 소화기를 사용해 보조배터리에 1차 소화를 시도하고, 동시에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승무 직원에게 상황을 알렸다. 신고를 접수한 승무 직원은 즉시 종합관제센터에 보고했으며, 관제센터는 인접한 이촌역에 화재 대응을 지시했다. 이촌역에서는 김태기 부역장과 서동순 차장이 소화기를 들고 현장에 출동, 열차 내부로 진입했다. 이들은 관광객의 짐과 보조배터리를 열차 밖으로 신속히 옮겨 2차 진화를 진행하는 동시에 승객 100여 명을 안전하게 하차시켰다. 이후 김 부역장은 잔여 발화 위험을 막기 위해 보조배터리를 화장실로 옮겨 물에 담가 완전히 진화시킨 뒤 역사 밖으로 이동시켰다.이 과정에서 불길은 관광객의 에코백과 보조배터리에만 국한되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