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7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경기도교육청, 안전한 수능 위해 11일부터 고교 전면 원격수업 전환

수험생과 감독관 보호하고 시험장 사전 준비 차질 없이 진행

                
◦ 오는 18일 도내 14만여 명 수험생, 349교 시험장에서 수능 치러
◦ 수험생, 보건소 확진 등 판정 통보받으면 즉시 해당 시험지구 교육지원청에 알려야 수능 응시 지원 받아
◦ 칸막이 없이 시험 치르며 점심시간에는 종이 칸막이 설치 후 식사해야
◦ 수험생 유의사항, 경기도교육청 블로그 등 통해 확인 가능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이재정)은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일주일 전인 11일부터 도내 전체 고등학교 수업을 원격수업으로 전환해 수험생과 감독관을 보호하고 시험장별 사전 준비를 실시한다.
오는 18일에 치러지는 도내 수능 수험생은 총 143,942명으로 지난해보다 6,252명 늘었다.
올해 도내 시험장은 19개 지구 총 349교 7,321실로 지난해보다 7교 450실 늘었으며, ▲일반 수험생을 위한 일반시험장, ▲자가격리 수험생을 위한 별도시험장, ▲확진 수험생을 위한 병원시험장으로 나눠 운영한다.
수험생 가운데 코로나19 진단검사가 필요한 경우 신속히 보건소를 방문해 수능 지원자임을 밝히면 우선 검사를 받을 수 있다.
또, 수험생이 수능 시험일 전에 확진이나 자가격리 통보를 받으면 해당 사실을 관할 시험지구 교육지원청에 곧바로 알려 시험장 배정 등 응시에 필요한 지원을 받으면 된다.
특히 수능 전날인 17일에는 보건소가 밤 10시까지 연장 운영하므로 수능 당일 새벽에라도 보건소로부터 확진이나 격리 통보를 받은 수험생은 시험장을 바로 재배정 받아야 한다.
지난 8일 이후로 확진된 수험생은 재택치료가 아니라 병원시험장에 미리 들어간 뒤 배정된 곳에서 수능을 치르고 자가격리 수험생은 시험 당일 별도시험장으로 이동해 응시하게 된다.
모든 수험생은 17일 예비소집에 반드시 참석해 수험표를 받아야 하지만, 확진 또는 자가격리 수험생은 시험 당일 해당 시험장에서 직접 전달받는다.
수험생은 예비소집일에 시험장을 잘못 찾는 경우가 없도록 시험장 위치 등을 살펴야 한다. 다만, 시험장 건물 안으로 들어갈 수 없다.
시험 당일 수험생은 오전 6시 30분부터 시험장에 출입할 수 있고 8시 10분까지 수험표와 신분증 등을 갖고 지정된 시험실에 입실해야 한다. 모든 수험생은 입실 전에 체온 측정과 증상 확인 절차를 거쳐야 하고, 발열 등 증상이 나타나면 별도시험실에서 수능을 치른다.
수험생은 시험장에서 신분 확인 시간에 감독관에게 얼굴을 보여줄 때를 제외하고는 계속 마스크를 써야 하고, 수능 1교시 전에 휴대전화 등과 같은 모든 전자기기는 감독관에게 제출해야 한다.
2022학년도 수능에서 지난해와 달라진 사항은 시험 시간에 개별 칸막이를 없애고 식사 시간에만 종이 재질 칸막이를 사용하며, 4교시 한국사와 탐구 영역 답안지를 별도 작성해야 한다.
탐구 영역은 수험생이 선택한 과목 순서대로 시험을 치러야 하며 1선택 시간에 2선택 문제지를 보는 등은 모두 부정행위에 해당하므로 유의해야 한다.
도교육청은 이와 같은 수험생 유의사항 관련 자료와 자세한 내용을 홈페이지 통합자료실과 경기도교육청 블로그 등 여러 채널을 활용해 적극 안내하고 있다.
도교육청 김은정 미래교육정책과장은 “수험생은 원격수업 기간 동안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소모임이나 다중이용시설 출입 등을 최대한 자제해 줄 것”을 당부하며 “도교육청도 수험생이 안전하게 수능을 치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차질 없이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참고자료> 
1. 경기도교육청 관할 시험지구 교육지원청 현황 1부(아래)
2. 수험생 유의사항 주요 내용 1부(아래)

붙임1

 

경기도교육청 관할 시험지구 교육지원청 현황


시험지구

교육지원청

관할구역

연락처

시험지구

교육지원청

관할구역

연락처

수원

수원시

031-250-1376, 1382

이천

이천시, 여주시

031-639-5689, 5627

성남

성남시

031-780-2555, 2658

용인

용인시

031-8020-9245, 9246

의정부

의정부시, 포천시

031-820-0042, 0045

군포의왕

군포시, 의왕시

031-390-1120, 1121

부천

부천시

032-620-0173, 0179

광주하남

광주시, 하남시, 양평군

031-280-7219, 7206

평택

평택시, 안성시

031-650-1546, 1529

화성오산

화성시, 오산시

031-371-0642, 0644

안양과천

안양시, 과천시

031-380-7041, 7042

시흥

시흥시

031-488-4533, 4535

고양

고양시

031-900-2872, 2867

동두천양주

동두천시, 양주시, 연천군

031-860-4321, 4324

구리남양주

구리시, 남양주시, 가평군

031-550-6133, 6135

김포

김포시

031-980-1225, 1227

안산

안산시

031-412-4543, 4545

파주

파주시

031-940-7213, 7216

광명

광명시

02-2610-1411, 0535

 

 

 

                      
◯ 자가격리자 또는 확진자로 확정된 경우, 관할 시험지구 교육지원청에 사전 신고
   - (신고 내용) ① 자가격리 또는 확진 사실 ② 수능 응시 여부 ③ 연락처 ④ 자가격리 수험생의 경우 시험 당일 자차 이동(보호자·지인 등) 가능 여부
   - (신고처) 관할 시험지구 교육지원청청
  보건소로부터 격리 또는 확진 통보를 받은 즉시 신고

붙임2

 

수험생 유의사항 주요 내용

               
 1. 수험생 시험장 입실 가능 시간: (오전) 630~ 810분 
※ 체온측정 및 증상 확인 절차가 있으니, 시험장에는 여유가 있게 도착해주세요.

  

2. 시험장 출입 시에 마스크를 착용하고 손소독제 사용 후 입장

   ※ 마스크는 분실 및 오염에 대비하여 여유분을 준비해주세요.
   ※ 모든 수험생은 시험 당일 시험장 내에서 마스크 착용 등 시험장 방역지침을 반드시 준수해야 하며, 감독관 방역지침 지도에 불응 시 응시 제한 등의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시험 당일 발열(37.5이상)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별도 시험실에서 응시
  ※ 평소 체온이 높게 나오는 수험생의 경우, 시험 전에 종합병원장 등 의사소견서를 받아 시험 당일 2차 측정 대기장소에서 보건요원에게 보여주고 일반시험실 배치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4. 시험장 휴대가능 물품과 반입금지 물품 


< 휴대가능 물품 >

< 반입금지 물품 >

신분증, 수험표, 점심 도시락,

마스크, 아날로그 시계,

검은색 컴퓨터용 사인펜, 흰색 수정테이프, 흑색연필, 지우개, 흑색샤프심

모든 디지털 기기

(휴대전화, 전자계산기, 스마트워치 및 전자식 화면 표시기가 있는 시계, 통신기능 있는 이어폰 등)

1교시 시작 전 모두 제출

                      
※ 시험 당일 점심 식사(음료 포함) 미제공 
  ※ 시험실 내에는 시계가 없으므로, 아날로그 시계 별도 준비
 자가격리자 수험생의 수험표는 별도시험장, 확진자 수험생의 수험표는 확진자 병원시험장에서 수능 당일 수험생에게 직접 전달 예정 (예비소집일 미배부)

5. 4교시 한국사 영역은 반드시 응시
  ※ 한국사 영역에 응시하지 않을 경우, 수능 응시 무효 처리 및 성적통지표 전체 미제공
      
6. 4교시 탐구 영역 응시 요령 숙지(“2022학년도 수능 수험생 유의사항 참조)
                        
<4교시 탐구 영역 응시 방법>

1

4교시 탐구 영역 문제지 표지에 제시된 필적 확인문구를 답안지의 필적확인란에 정자로 작성

 

2

4교시 탐구 영역 제1선택 과목 문제지와 제2선택 과목 문제지 빼냄

 

3

문제지 상단에 성명, 수험번호, 응시 순서(1 또는 2) 기재

 

4

본인이 선택한 제1선택 과목 문제지 한 부만 책상 위에 올려두고

2선택 과목 문제지를 제외한 나머지 과목의 문제지(표지 포함)는 반으로 접어 제2선택 과목 문제지와 함께 개인 문제지 보관용 봉투에 넣어 바닥에 내려놓음.

 

5

문제가 보이지 않게 답안지를 제1선택 과목 문제지 위에 올려놓고, 본령이 울릴 때까지 조용히 대기


4교시 탐구 영역의 경우 1선택 과목이 아닌 제2선택 과목의 문제지를 보거나 책상 위에 올려두는 행위, 1선택 과목과 제2선택 과목의 문제지를 동시에 보거나 책상 위에 올려두는 행위모두 부정행위로 당해시험이 무효 처리되니 수험생 여러분은 각별히 유의하여 시험에 임해주시기 바랍니다.

‘21학년도 수능에서 111명이 4교시 탐구 영역 선택과목 응시방법 위반으로 당해 시험 무효 처리


4교시 탐구 영역 제1, 2선택 과목 문제지가 아닌 기타 문제지가 책상 위에 올려져 있는 경우 회수되고, 개인 문제지 보관용 봉투에 있는 본인의 선택과목 문제지와 교체 불가함.


4교시 탐구 영역 제1선택 과목 종료 이후에, 1선택 과목 답안을 작성하거나 수정하는 행위는 부정행위 유형 6호인 응시 과목의 시험 종료령이 울린 후에도 계속해서 종료된 과목의 답안을 작성하거나 수정하는 행위에 해당되어 부정행위 처리되며, 수정은 기존 답을 지우거나 새로운 답을 작성하는 것을 모두 의미합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보이지 않는 살인자 ‘대기오염’ 해결 머리맞대
충남도가 인류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보이지 않는 살인자 ‘대기오염’ 해결을 위해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댔다. 도는 5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제6회 세계 푸른하늘의 날을 기념해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정책적 관리 강화와 저감 전략’을 주제로 대기환경개선 정책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포럼은 전형식 도 정무부지사와 송민영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김정훈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단체, 기업, 도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유공자 표창 △발제 △종합토론 등 순으로 진행됐다.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을 통해 오존을 생성하기도 하며, 대표적인 물질로는 벤젠, 톨루엔, 프로판, 부탄 및 헥산 등이 있다. 가정이나 세탁소, 주유소, 인쇄업 등 생활 속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만큼 감축 속도는 더디고, 관리 사각지대도 존재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송민영 연구위원은 ‘서울시 휘발성유기화합물 관리 분석과 대응 방안’을 주제로,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현황과 서울시의 배출 관리 정책 및 분석, 관리를 위한 향후 방안에 대해 소개했다. 송 연구위원은 “2022년 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강원특별자치도 북해도 크루즈 시찰단, 도민과 함께 출발!
□ 강원특별자치도(도지사 김진태)는 9월 6일(토) 속초항에서 ‘도민과 함께하는 북해도 크루즈 시찰단’ 발대식을 갖고 7일간의 항해에 나섰다고 밝혔다. - 이번 시찰단은 11만 톤급 대형 국제 크루즈선 코스타세레나호에 승선해 무로란, 삿포로, 쿠시로, 하코다테 등 주요 기항지를 방문하며 관광 활성화와 교류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 시찰단에는 손창환 강원도 글로벌본부장을 비롯해 엄윤순 도의회 농수위원장, 배상요 속초시 부시장 등 주요 인사와 언론사 기자단이 함께 했고, 특히 도민 크루즈 체험단 200명이 동행해 실제 여행 만족도와 개선점을 직접 확인한다. - 이번 크루즈에는 승객 2,315명과 선원 1,000여 명 등 총 3,315명이 탑승했으며, 이 가운데 강원도민은 300여 명이다. □ 당초 김진태 지사, 김시성 도의장 등 시찰단에 동행할 예정이었으나, 강릉가뭄으로 재난사태가 선포되면서 현장 대응에 집중하기 위해 참여하지 못했다. 대신 속초항에서 직접 시찰단을 환송하며, “잘 다녀오시고 크루즈 내에서 많이 체험하고 경험한 내용을 알려주시면 향후 크루즈 정책에 적극 반영하겠다”고 당부했다. - 이어, “올해 속초를 기점으로 총 4회 대형 크루즈가 운항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