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6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김해 양동산성에서 고대의 목간 및 생활목기 출토

김해시 대성동고분박물관은 4월 12일부터 자체적으로 실시한 관내 양동산성 학술발굴조사에 따른 자문회의를 7월 2일 개최하였다. 


이번 학술발굴조사는 경상남도 기념물 제91호인 양동산성의 축조시기를 규명하고, 이와 더불어 집수지(산성 등에서 물을 확보하기 위해 만든 못)의 구조를 밝히고자 집수지 1기의 절반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영남지역 집수지 중 최대급에 해당하는 규모 길이 15.5m, 너비 22.8m, 최대깊이 3.4m인 평면 직사각형의 집수지가 확인되었고, 집수지의 내부에서 6세기후반부터 7세기대에 해당하는 유물들이 다량으로 출토되었다. 

양동산성의 집수지는 금관가야가 멸망한 532년 이후에 만들어졌고, 산성의 축조시기 역시 집수지의 시기와 동일할 것으로 조사단은 판단하였다. 하지만 양동산성 내 집수지와 시기가 거의 동일한 부산의 배산성 내 집수지의 평면형태가 원형인 점에서 차이가 난다. 이러한 차이점에 대해 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참가한 자문위원들은 의견을 모았다.

집수지 내부에서는 일상생활용 토기편들이 다량으로 조사되었고, 보존상태가 매우 좋은 철화살촉 2점과 철도끼 1점이 출토되었다. 이외에 김해의 매장문화재들 중 출토예가 매우 적은 목간(붓 글씨가 남아 있는 나무조각)과 바가지, 국자, 소쿠리 등 생활목기 및 짚신이 출토되었다. 

특히 목간은 3점이 출토되었는데, 이중 1점은 양동산성으로 운송한 곡물 꾸러미에 부착된 짐꼬리표로 확인되었다. 이 짐꼬리표에 적혀 있는 글자의 기재방식이 ‘마을이름+(사람이름)+곡물이름’의 순으로 적은 함안 성산산성 부엽층에서 출토한 목간의 기재방식과 거의 흡사하고, 성산산성 목간에 적혀 있는 ‘栗村’이라는 마을이름이 양동산성 목간에도 적혀 있다. 따라서 김해시는 두 지역의 목간을 비교 연구하면 함안과 김해, 나아가 신라와 김해와의 관계 등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향후 김해시는 보다 정밀한 판독을 위해 추가로 적외선 촬영 등을 시행하고 학계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양동산성 목간의 정확한 성격을 규명할 계획이다. 

한편, 시는 이 유적을 가야 멸망 이후 김해를 식읍으로 받은 구형왕과 신라와의 정치적 이해관계 및 당시의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보고 추가 발굴 및 국가 사적 승격 신청 등을 검토하고 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보이지 않는 살인자 ‘대기오염’ 해결 머리맞대
충남도가 인류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보이지 않는 살인자 ‘대기오염’ 해결을 위해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댔다. 도는 5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제6회 세계 푸른하늘의 날을 기념해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정책적 관리 강화와 저감 전략’을 주제로 대기환경개선 정책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포럼은 전형식 도 정무부지사와 송민영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김정훈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단체, 기업, 도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유공자 표창 △발제 △종합토론 등 순으로 진행됐다.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을 통해 오존을 생성하기도 하며, 대표적인 물질로는 벤젠, 톨루엔, 프로판, 부탄 및 헥산 등이 있다. 가정이나 세탁소, 주유소, 인쇄업 등 생활 속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만큼 감축 속도는 더디고, 관리 사각지대도 존재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송민영 연구위원은 ‘서울시 휘발성유기화합물 관리 분석과 대응 방안’을 주제로,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현황과 서울시의 배출 관리 정책 및 분석, 관리를 위한 향후 방안에 대해 소개했다. 송 연구위원은 “2022년 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