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외국인 투자자에게 인기 높은 경기도 … 직접투자액 전년대비 2.5배 기록

- 외국인 직접투자신고액 2016년 13억7천만 → 35억6천만 달러로 늘어

○ 산업통상자원부 2017년 외국인 투자동향 분석 자료에 따르면
  - 도착액 2016년 10억9천만 → 22억4천만 달러로 증가
○ 판교 등 투자환경 우수, 도의 투자유치 다변화 전략도 한 몫

지난해 경기도에 대한 외국인 직접투자액이 전년 대비 2.5배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경기도가 산업통상자원부 2017년 외국인 투자동향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 외국인 직접투자신고액은 2016년 13억7천만 달러에서 2017년 35억6천만 달러로 2.5배(158.8%), 도착액 역시 2016년도 10억9천만 달러에서 2017년 22억4천만 달러로 2배(105.3%)가 됐다. 
같은 기간 국내 외국인 직접투자 신고액은 229억 4천만 달러로 2016년 대비 7.7% 증가했고, 도착액은 128억 2천만 달러로 2016년 대비 20.9% 늘었다. 
경기도는 이런 증가 원인으로 ▲판교테크노밸리와 판교제로시티(제2판교) 등 4차 산업혁명에 적합한 투자환경 ▲다수의 글로벌 기업 입주 ▲우수한 인적자원 ▲편리한 물류·교통 인프라 ▲경기도의 다양한 투자처 개발 노력 등을 꼽고 있다. 
특히 북핵 사태, 전 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 기조, 중국 사드보복 영향 등 어려운 대외 여건 속에서도 경기도만의 투자유치 다변화 전략을 추진하는 등 적극적인 외국인 투자유치 활동이 투자증가를 이뤄냈다는 분석이다. 
경기도는 지난해 싱가포르의 자동차 부품 강소기업인 PG 오토모티브 홀딩스와 1억 달러, 세계적 기업인 HP와 10억5천만 달러(에스프린팅솔루션 인수 금액), 미국의 반도체장비 업체인 GCM과 1천만 달러, 중국의 부동산 개발업체인 금약그룹과 8천만 달러 등 15개사와 23억5천만달러 규모의 투자협약을 맺었다.
임종철 경기도 경제실장은 “경기도가 국내 외국인 투자 증가율의 20배가 넘는 외국인 투자를 이끌어 낸 것은 그만큼 도가 외국인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투자처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이라며 “올해도 외투기업 애로사항 해결과 투자환경 개선, 신규 투자프로젝트 개발 등을 통해 외국인 투자가 늘어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민선6기 출범이후 도는 50건, 79억 달러 규모의 투자유치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이를 통해 약 3만3,000여명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서울교통공사 “직원 참정권 보장”… 공직선거법 개정 반영
서울교통공사가 개정된 공직선거법을 반영해 직원들의 정치 참여 권리를 보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지방공기업 직원의 참정권을 제한하고 있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따른 해명과 후속 조치로, 공사는 내부적으로 개정된 법령을 정확히 안내하고 재발 방지에 나섰다.공사 감사실은 지난 5월 8일, 공직자의 정치적 중립 의무와 복무 기강 유지를 강조하는 내용의 공문을 사내에 시행한 바 있다. 그러나 해당 공문이 올해 1월 개정된 공직선거법의 내용을 반영하지 않고, 이전 법령을 기준으로 작성된 사실이 확인되며 논란이 일었다. 개정된 공직선거법은 지방공사와 지방공단의 상근직원을 선거운동 금지 대상에서 제외함으로써, 지방공기업 직원의 정치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해당 직원들의 기본적인 참정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취지에서 비롯된 개정이다.이러한 상황에서 언론 일부는 서울교통공사가 법 개정 사실을 무시한 채 직원의 정치 활동을 제한하려 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서울교통공사는 설명자료를 통해 당시 공문이 개정 이전의 내용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음을 인정하며, 이후 전 직원에게 개정된 공직선거법의 핵심 내용을 별도로 안내하는 공문을 추가로 시행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