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8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재해·안전·예방

올해 상반기 경기북부 화재, 절반 이상이 ‘인적 부주의

2017년 상반기 경기북부 발생 화재건수 1,755건으로 집계
인명피해 95명(사망 17명, 부상 78명), 재산피해 538억 원
화재발생 장소는 비주거시설(산업시설, 업무시설 등)이 가장 많아
주요 발화원인은 부주의(960건) → 담배꽁초가 359건 차지

올해 상반기 경기북부에서 발생한 화재 원인 중 절반 이상이 ‘인적 부주의’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북부소방재난본부는 2017년 상반기(1~6월) 경기북부에서 총 1,755건의 화재가 발생했으며, 인명피해는 95명(사망 17명, 부상 78명), 재산피해는 538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27일 밝혔다. 
먼저 전체 화재발생 건수는 지난 2016년 상반기 발생한 1,745건 보다 10건(0.6%↑)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최근 6개월 누적 강수량이 224.4㎜로 평년 463.9㎜ 에 비해 절반가량 것으로 확인된 만큼 기록적인 건조현상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본부는 분석했다.
인명피해 규모는 전년 동기 103명(사망 9명, 부상 94명) 대비 8명(7.8%↓)이 감소했으나, 재산피해액은 전년 392억 원 보다 146억 원(37.5%↑)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화재가 발생한 장소를 살펴보면 산업시설, 판매·업무시설, 의료·복지시설 등 ‘비주거시설’이 699건(40%)으로, 주거시설 312건(18%), 임야 221건(12%), 차량 156건(9%) 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화요인으로는 ‘인적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960건으로 전체의 54.7%를 차지했다. 이어서 전기적요인 347건(19.8%), 기계적요인 201건(11.5%), 방화의심 30건(1.7%) 등의 순으로 파악됐다.
부주의로 인한 화재현황을 살펴보면 담배꽁초가 359건(37.4%)으로 주요 원인이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도 쓰레기 소각 160건(16.7%), 화원(火原) 방치 116건(12.1%), 음식조리 72건(7.5%), 논·임야 태우기 71건(7.4%), 용접·절단·연마 52건(5.4%) 등이 있었다. 
특히 최초 착화물이 무엇인지 분석해본 결과 종이·목재·건초가 601건(34.2%)으로 전기·전자 303건(17.3%)에 약 두 배 가량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나 건조한 날씨가 화재발생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김일수 경기도북부소방재난본부장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상반기에도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가장 자주 발생한 만큼 도민 개개인의 화재예방 노력이 중요하다”며, “경기도 차원에서도 적극적인 화재예방 대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보이지 않는 살인자 ‘대기오염’ 해결 머리맞대
충남도가 인류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보이지 않는 살인자 ‘대기오염’ 해결을 위해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댔다. 도는 5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제6회 세계 푸른하늘의 날을 기념해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정책적 관리 강화와 저감 전략’을 주제로 대기환경개선 정책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포럼은 전형식 도 정무부지사와 송민영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김정훈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단체, 기업, 도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유공자 표창 △발제 △종합토론 등 순으로 진행됐다.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을 통해 오존을 생성하기도 하며, 대표적인 물질로는 벤젠, 톨루엔, 프로판, 부탄 및 헥산 등이 있다. 가정이나 세탁소, 주유소, 인쇄업 등 생활 속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만큼 감축 속도는 더디고, 관리 사각지대도 존재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송민영 연구위원은 ‘서울시 휘발성유기화합물 관리 분석과 대응 방안’을 주제로,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현황과 서울시의 배출 관리 정책 및 분석, 관리를 위한 향후 방안에 대해 소개했다. 송 연구위원은 “2022년 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