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31 (월)

  • 구름조금동두천 13.2℃
  • 구름많음강릉 12.7℃
  • 구름많음서울 13.7℃
  • 구름많음대전 14.0℃
  • 구름조금대구 13.3℃
  • 구름많음울산 10.3℃
  • 구름조금광주 13.3℃
  • 흐림부산 10.3℃
  • 구름조금고창 11.2℃
  • 구름많음제주 12.1℃
  • 구름많음강화 9.1℃
  • 구름많음보은 12.6℃
  • 구름많음금산 12.3℃
  • 구름많음강진군 13.0℃
  • 구름많음경주시 13.6℃
  • 구름조금거제 10.8℃
기상청 제공

환경뉴스

국내 물산업 총 매출액 50조 9,970억 원,국내총생산(GDP) 2.1% 차지

- 환경부, ‘2024 국내 물산업 통계조사(2023년 조사 기준)’ 결과 공개


  환경부(장관 김완섭)는 2023년 기준 물산업 전반의 현황과 실태를 담은 ‘2024 물산업 통계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물산업 통계조사는 물산업 분야 주요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국가승인통계다.

  이번 조사는 환경부가 한국상하수도협회에 의뢰하여, 물산업을 영위하는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 중 4,500개를 표본으로 선정하여 지난해(2024년) 6월부터 올해(2025년) 3월까지 사업체 일반현황, 수출 관련 사항, 경쟁력 현황 등 7개 분야*(20개 항목)를 조사한 결과다.
 * 1. 사업체 일반, 2. 인력, 3. 입찰 사항, 4. 재직자 교육, 5. 재무, 6. 수출, 7. 경쟁력 현황

  2023년 기준 물산업 사업체 수는 전년도 1만 7,553개 대비 약 3% 증가한 1만 8,075개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물산업 관련 건설업이 9,199개(전년 대비 2.7%↑)로 물산업의 50.9%를 차지했으며, 다음은 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 5,562개(전년 대비 0.1%↑), 물산업 관련 과학기술, 설계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1,772개(전년 대비 15.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23년 기준 물산업 매출액은 전년도 49조 6,902억 원 대비 약 2.6% 증가한 50조 9,970억 원으로 국내총생산(GDP) 2,401조 2천억 원의 약 2.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 매출 규모를 보면, 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이 27조 1,570억 원(53.2%)으로 가장 컸고, △물산업 관련 건설업이 14조 9,752억 원(29.4%), △물산업 관련 시설 운영을 비롯한 청소 및 정화업 4조 4,880억 원(8.8%), △물산업 관련 과학기술 설계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4조 3,768억 원(8.6%) 순으로 조사되었다.

  매출 성장 폭을 비교했을 때, 물산업 관련 건설업이 전년 대비 약 4.6% 증가해 가장 큰 폭의 성장을 기록했으며, 그 뒤를 이어 △물산업 관련 과학기술 설계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2.8%, △물산업 관련 시설 운영을 비롯한 청소 및 정화업 2.6%, △물산업 관련 제조업이 1.6% 전년 대비 증가했다.

  2023년 기준 물산업 수출액은 2조 679억 원으로, 전년 대비 0.6% 증가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업종별로 보면, 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이 1조 8,208억 원(88.0%)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물산업 관련 건설업이 1,441억 원(7.0%)으로 뒤를 이었다. 제조업과 건설업 부문의 수출 규모가 전체 물산업의 9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해외에 진출한 국내 물산업 사업체 수는 450개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 분야가 403개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2023년 기준 물산업 종사자 수는 전년(20만 7,774명) 대비 약 1.7% 증가한 21만 1,385명*으로 조사되었다. 업종별로는 물산업 관련 건설업이 7만 8,502명(37.1%)으로 가장 많고, △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이 6만 7,075명(31.7%), △물산업 관련 과학기술 설계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업이 3만 8,984명(18.5%) 등의 순이었다.
  * (’19) 19.3만명→(’20) 19.8만명→(’21) 20.1만명→(’22) 20.8만명→(’23) 21.1만명

  물산업 분야 종사자를 직무별로 구분하면 생산직이 11만 5,332명(54.6%)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사무관리직 7만 1,663명(33.9%), △연구직 1만 6,968명(8%), △영업직 7,422명(3.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물산업 사업체 수를 비롯해 매출액과 수출액, 모두 전년 대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특히 국내 산업 전 분야 사업체 매출액은 전년 대비 1.5% 감소*했으나, 물산업 매출액은 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어려운 경기상황 속에서도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 전산업 매출액 : ’22년 55,118,184억원 → ’23년 54,303,630억원(△1.5%),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보고서」(2024)

  또한, 기업들은 연구개발비 투자를 전년 대비 3.3% 확대했으며, 이는 기업들이 물산업의 기술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주목된다.

  이번 물산업 통계조사 결과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물기술종합정보시스템 누리집(watis.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효정 환경부 물이용정책관은 “환경부는 매년 물산업 실태조사를 통해 업계 현황을 파악하고, 물산업 관련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물산업 통계를 바탕으로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물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2024 물산업 통계조사 개요.
      2. 물산업 통계조사 결과 인포그래픽.
      3. 물산업 통계조사 결과 요약.  끝.


붙임 1

 

2024 물산업 통계조사 개요


1. 조사목적
 ○ 국내 물산업에 대한 현황 및 실태 파악을 통하여 물산업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등으로 활용

2. 법적근거 : 물산업진흥법 제5조 및 동법 시행령 제5조

3. 조사연혁
 ○ ’11년에 시작해 ‘12년을 제외하고 매년 실시, ’24년 조사는 13회째 조사     ※ 국가통계로 통계청 승인(’19.9월, 승인번호 제106034호)

4. 조사범위 및 대상
 ○ (조사범위) 물산업분류체계는 대분류 4개, 중분류 22개, 소분류 60개, 세세분류 108개로 구성
   (A. 물산업 관련 제조업) 1. 먹는물 생산업, 2. 물산업용 금속 관류 및 연결구류 제조업, 3. 물산업용 비금속 관류‧연결구류 제조업, 4. 물산업용 탱크‧패널 제조업, 5. 맨홀‧그레이팅‧투수블럭 제조업, 6. 물산업용 펌프‧양수기‧유사장치 제조업, 7. 물산업용 밸브 제조업, 8. 물산업용 계측설비 제조업, 9. 물관리용 원격 측정‧운영장비 제조업, 10. 수처리용 기기‧장치 제조업, 11. 수처리용 필터‧분리막 제조업, 12. 수처리용 살균‧소독 정수처리장치 제조업, 13. 수처리제‧방수방식제 제조업, 14. 생활용 급수‧하수처리시설 제조업, (B. 물산업 관련 건설업) 15. 물산업 관련 종합건설업, 16. 물산업 관련 전문건설업, 17. 물산업 관련 시설물 유지관리공사업, (C. 물산업 관련 시설 운영 및 청소‧정화업) 18. 용수 및 하수‧폐수처리시설 운영업, 19. 하수‧폐수 잔류물 처리업. 20. 수자원 및 관련시설 청소‧정화업, (D. 물산업 관련 과학기술 및 설계‧엔지니어링 서비스업) 21. 기술시험‧검사‧분석 및 자문 서비스업, 22. 시설 설계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 (조사대상) 모집단 18,075개, 표본 실태조사 4,500개
   - 기준일 현재 국내에서 「물산업진흥법」제2조에 따른 물산업 활동을 영위하는 종사자 1인 이상 모든 사업체

5. 조사기간 : ’24. 6월 ~ ’25. 3월(조사기준시점 : ‘23.12.31)

6. 조사방법 : 조사원에 의한 면접조사(Fax, E-mail 조사 병행)

7. 조사항목

(1) 사업체명/대표자명
(2) 조직형태/기업규모 등
(3) 사업체 구분
(4) 종사자 수
(5) 직무별 종사자 수
(6) 기술자격증 소지자 수
(7) 채용인원/채용계획 등
(8) 입찰/수주(계약) 건수
(9) 재직자 교육훈련 필요성
(10) 재직자 직무역량 교육
(11) 사업체 재무현황
(12) 매출액/영업비용
(13) 매출형태
(14) 업종별 매출액 비중
(15) 연간 수출/수입액
(16) 수출/수입 세부내역
(17) 검‧인증 보유현황
(18) 지식재산권 보유현황
(19) 연구개발비 투자현황
(20) 해외진출 현황

붙임 2

 

물산업 통계조사 결과 인포그래픽






붙임 3

 

물산업 통계조사 결과 요약


1. 사업체 현황

 ○ 국내 물산업 영위 사업체 수는 총 18,075개로 조사됨

   - 업종별로는 ‘물산업 관련 건설업’이 9,199개로 국내 물산업의 50.9%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이 5,562개로 30.8% 차지


                                                           < 업종별 사업체 수 >



2. 종사자 현황

 ○ 물산업 분야 종사자는 211,385명으로 조사됨

   - 전년 대비 1.7% 증가했으며, 업종별로 ’물산업 관련 건설업‘이 78,502명(37.1%)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 ’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이 67,075명(31.7%)으로 집계


< 물산업 분야 업종별 종사자 현황 >




3. 매출액 현황

 ○ 물산업으로 발생한 매출액은 50조 9,970억 원으로 조사됨

   - 전년 대비 2.6% 증가했으며, 업종별 매출액은 ‘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이 27조 1,570억 원(53.2%)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물산업 관련 건설업’이 14조 9,752억 원(29.4%)으로 집계


< 물산업 분야 업종별 매출액 >


4. 4. 수출액 현황

 ○ 물산업 수출액은 2조 679억 원으로 조사됨
   - 전년 대비 0.6% 증가했으며, ‘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이 1조 8,208억 원(88.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물산업 관련 건설업’이 1,441억 원(7.0%)로 집계

< 물산업 분야 업종별 수출액 >




5. 해외 진출
 ○ 해외에 진출한 물산업 사업체 수는 450개로 조사됨
   - 해외 진출 유형은 현지법인 형태가 270개(60.0%)로 가장 많고, 다음은 지점 형태 66개(14.7%)로 집계
   - 해외 진출 업종은 ‘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이 403개로 가장 많고, 다음은 ‘물산업 관련 건설업’이 22개임

                                                  < 유형별 해외 진출 사업체 수 >

(단위 : )

구 분

현지법인

지점

기타유형(*)

2022

2023

2022

2023

2022

2023

2022

2023

전 체

275

270

52

66

127

114

454

450

업종

대분류

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

241

232

44

57

127

114

412

403

물산업 관련 건설업

24

22

-

-

-

-

24

22

물산업 관련 시설 운영, 청소 및

정화업

6

12

4

5

-

-

10

17

물산업 관련 과학기술, 설계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4

4

4

4

-

-

8

8

       

* 응답 Base : 현재 해외 진출 중인 274개 사 사업체

** 기타유형 : 연락사무소, 통신관, 직수출사업소(물류창고) 등 법인과 지점으로 구. 연구개발비



6. 연구개발비

전체 물산업 사업체 중 연구개발에 투자하는 사업체 비중은 19.8%이며, 전체 연구개발비는 8,545억 원으로 조사됨

- 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의 연구개발비가 4,790억 원(56.0%)으로 가장 많고, ‘물산업 관련 시설 운영, 청소정화업의 연구개발비가 287억 원(3.4%)으로 가장 적음


                                                < 물산업 분야 업종별 연구개발비 >      









 




포토뉴스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수원시 축만제에서 수거한 민물가마우지 폐사체에서 고병원성 AI(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
수원시 축만제 주변에서 수거한 민물가마우지 폐사체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검출됐다. 수원시는 축만제 주변 출입을 통제하고, 검출 지역 주변을 방역했다. 수원시는 3월 24일 축만제 주변(서둔동)에서 민물가마우지 1개체의 폐사체를 수거했고, 즉시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AI 검사를 의뢰했다. 3월 26일 선별검사에서 ‘H5형 AI항원’이 검출됐고, 29일 ‘고병원성 AI’ 판정을 받았다. 경기도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는 초동방역을 지원했다. 검출지 반경 60m 이내를 방역하고, 출입통제 현수막을 설치했다. 수원시는 축만제 산책로, 서호천 진입로를 4월 14일까지 출입통제하고 방역한다. 검출지 반경 10㎞는 야생조수류 예찰 구역으로 설정해 예찰을 강화하고 있다. 또 주변 농장 등을 소독하고, 3월 31일 자로 출입통제명령을 발령했다. 가금 사육 가구에는 AI 발생 사실과 방역 조치 사항을 안내하는 문자메시지를 발송했다. 수원시는 이상 행동을 하는 야생조류와 폐사체 예찰을 강화하고, 폐사체가 발생하면 즉시 수거해 검사를 의뢰할 예정이다. 수원시 관계자는 “AI 확산 방지를 위한 출입 통제 조치에 시민들께서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시길 바란다”며 “저수지나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