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로교통공단(이사장 김희중)은 새학기를 맞아 최근 5년(2019~2023년)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발생한 어린이 보행교통사고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 저학년(1~3학년)이 고학년(4~6학년)보다 보행안전에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지난 5년간(2019년~2023년)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보행 중 교통사고로 어린이 16명이 사망하고 1,917명이 다쳤다.
어린이 중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은 고학년(4~6학년)에 비해 보행 사상자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초등학교 1학년의 경우 횡단보도 외 횡단 중 사상자가 타 학년에 비해 많이 발생했다.
<그림1> 학년별 어린이 보호구역 어린이 보행사상자(사망+부상) 비율(%)
어린이 보호구역에서는 하교 및 놀이, 학원 등‧하원 등으로 야외 활동이 많은 오후 2시~
6시 사이에 보행사상자 비율이 높았다. 평일 중에는 주말을 앞둔 금요일에 보행사상자가
가장 많았다.
<그림2> 시간대별 어린이 보호구역 어린이 보행사상자(사망+부상) 및 사망자 비율(%)
어린이 보행사상자의 75.3%는 도로를 횡단하는 중에 발생했다. 도로형태에 따라서는 단일로보다는 교차로에서 사상자가 더 많았다.
한국도로교통공단 현철승 교통AI빅데이터융합센터장은 “새학기는 초등학생 보행안전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시기로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에 대해 가정과 학교에서 철저한 교육과 지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운전자는 어린이 보호구역은 물론 학원‧상가 밀집지역을 운행할 때 보행 중인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해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담당 부서 | 한국도로교통공단 | 책임자 | 처 장 | 홍경식 | (033-749-5260) |
| 데이터융합처 | 담당자 | 차 장 | 유기열 | (033-749-52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