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2 (수)

  • 흐림동두천 13.3℃
  • 맑음강릉 14.8℃
  • 흐림서울 13.4℃
  • 구름조금대전 17.3℃
  • 맑음대구 16.2℃
  • 맑음울산 13.5℃
  • 맑음광주 17.4℃
  • 맑음부산 13.7℃
  • 맑음고창 15.7℃
  • 맑음제주 15.4℃
  • 흐림강화 10.6℃
  • 맑음보은 16.3℃
  • 구름조금금산 16.6℃
  • 맑음강진군 17.4℃
  • 맑음경주시 15.5℃
  • 맑음거제 15.5℃
기상청 제공

한국도로교통공단, 결빙 교통사고, 치사율 1.7배 높아..

결빙 교통사고*79%12~1월에 집중됐으며, 전체 교통사고에 비해 치사율**이 약 1.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겨울철 운전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결빙 교통사고 : 노면상태가 서리/결빙인 교통사고

** 치사율 : 교통사고 100건 당 사망자수(/100)

 

한국도로교통공단(이사장 김희중)이 교통사고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2019~2023) 노면 결빙 교통사고는 3,944건이며, 95명이 사망했다. 결빙 외 교통사고 치사율(1.4)에 비해 결빙 교통사고의 치사율(2.4)1.7배 높았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6시부터 10시 사이에 결빙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 이 시간대의 결빙 교통사고는 결빙 외 교통사고 구성비(15.6%)보다 2배 이상 높은 34.9%를 차지했다.



<그림1> 최근 5년간 시간대별 결빙 및 결빙 외 교통사고 구성비

 

도로종류별로 살펴보면 주행속도가 높은 고속국도(고속도로)에서 발생한 결빙 교통사고의 치사율은 18.7, 결빙 외 고속국도 교통사고 치사율(4.2)4.5배에 했다.


<그림2> 최근 5년간 도로종류별 결빙 및 결빙 외 교통사고 치사율

 

한국도로교통공단은 결빙 교통사고에 특히 주의해야 할 장소를 알리기 위해 최근 5년간 반경 200미터 내 결빙사고가 3건 이상(사망사고 포함 시 2건 이상) 발생한 전국 54개소를 웹서비스 및 API 형태로 개방했다. 주로 교량 위, 터널 출입구, 고가도로와 같이 노면 결빙에 취약한 도로가 많았으며, 경사로와 곡선로도 다수 포함됐다.

 

결빙 교통사고 다발지역은 한국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공단은 어린이 보행자, 고령 보행자, 자전거 등 주제별로 교통사고가 많이 일어난 곳을 공개하고 있다.

* 한국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 - taas.koroad.or.kr

 

한국도로교통공단 고영우 교통AI빅데이터융합센터장은 노면 결빙은 겨울철 도로에서 발생하는 가장 큰 위험 요소이며, 특히 기온이 갑작스럽게 내려가 발생하는 도로살얼음(블랙아이스)* 현상은 사전에 인지하기 어려우므로, 그늘진 구간이나 교량, 터널입구를 주행할 때에는 더욱 주의하여 서행운전해야 한다라며 결빙 교통사고는 일반 교통사고 대비 치사율이 높기 때문에 앞차와 충분한 거리를 두고, 급가속ㆍ급제동을 피해 이동하는 모든 순간 안전한 운전이 되길 바란다라고 강조했다.

 

도로살얼음(블랙아이스)이란 도로 표면에 코팅한 것처럼 얇은 얼음막이 생겨 운전자가 맨눈으로 인식하기 어려움. 주로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아침이나 밤 시간대에 발생하며, 그늘진 구간이나 교량, 터널입구 주행 시 특히 주의해야 함.




별 첨


1최근 5(2019~2023)간 결빙 교통사고 현황

연도별

2019

2020

2021

2022

2023

평균

결빙

사고()

478

527

1,204

1,042

693

788.8

사망()

24

14

22

23

12

19

 

치사율*

5.0

2.7

1.8

2.2

1.7

2.4

결빙 외

사고()

229,122

209,127

201,926

195,794

197,603

206,714

사망()

3,325

3,067

2,894

2,712

2,539

2,907

 

치사율*

1.5

1.5

1.4

1.4

1.3

1.4

* 치사율 : 교통사고 100건 당 사망자수(/100)


2최근 5(2019~2023)간 월별 결빙 교통사고 현황

월별

11

12

1

2

3

4~10

사고()

3,944

147

1,939

1,164

601

32

61

사망()

95

5

54

18

14

1

3

부상()

6,589

279

3,204

1,949

1,005

58

94


3최근 5(20192023) 시간대별 결빙 교통사고 현황

시간대

결빙

결빙 외

사고

사망

()

부상

()

사고

()

구성비(%)

()

구성비(%)

3,944

100.0%

95

6,589

1,033,572

100.0%

0-2

132

3.3%

3

201

37,748

3.7%

2-4

65

1.6%

0

99

20,563

2.0%

4-6

180

4.6%

13

322

24,218

2.3%

6-8

570

14.5%

16

1,017

57,016

5.5%

8-10

805

20.4%

16

1,284

104,629

10.1%

10-12

326

8.3%

6

576

104,063

10.1%

12-14

265

6.7%

11

443

114,391

11.1%

14-16

268

6.8%

6

457

121,462

11.8%

16-18

331

8.4%

4

521

136,934

13.2%

18-20

397

10.1%

8

631

145,626

14.1%

20-22

383

9.7%

9

689

98,541

9.5%

22-24

222

5.6%

3

349

68,381

6.6%


4최근 5(2019~2023)간 도로종류별 결빙 교통사고 현황

구분

일반국도

지방도

특별광역시도

시도

군도

고속국도

기타

사고()

659

431

1,038

1,254

206

91

265

구성비(%)

16.7

10.9

26.3

31.8

5.2

2.3

6.7

사망()

14

13

8

22

13

17

8

치사율*

2.1

3.0

0.8

1.8

6.3

18.7

3.0

 

사고()

100,208

68,879

409,939

334,144

36,559

23,134

60,709

구성비(%)

9.7

6.7

39.7

32.3

3.5

2.2

5.9

사망()

2,544

1,768

3,205

4,205

1,145

973

697

치사율*

2.5

2.6

0.8

1.3

3.1

4.2

1.1

* 치사율 : 교통사고 100건 당 사망자수(/100)

 

붙임 1

 

최근 5년간(2019~2023) 결빙 교통사고 다발지역 현황

* 반경 200m , 결빙사고 3건 이상 발생지역(사망사고 포함 시 2건 이상)

** 한국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koroad.or.kr)에서 다발지역 확인 가능

 

연번

시군구

지점명

사고

()

사망

()

부상

()

전국

54개소

 

 

 

1

서울 성동구1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왕십리제2동주민센터 부근)

3

0

3

2

서울 성동구2

서울 성동구 행당동(무학여고앞교차로 부근)

2

1

3

3

서울 영등포구1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동7(서울영중초등학교 부근)

3

0

3

4

서울 관악구1

서울 관악구 신림동(구로디지털단지역교차로 부근)

3

0

4

5

서울 송파구1

서울 송파구 방이동(올림픽공원동문교차로 부근)

3

0

9

6

서울 강동구1

서울 강동구 명일동(동부기술교육원교차로 부근)

3

0

5

7

대구 군위군1

대구 군위군 소보면(단락골 부근)

2

6

26

8

인천 미추홀구1

인천 미추홀구 학익동(문학사거리 부근)

3

0

3

9

인천 서구1

인천 서구 가정동(솔로몬 주유소 부근)

2

1

4

10

광주 서구1

광주 서구 농성동(광천1교육거리 부근)

3

0

6

11

광주 서구2

광주 서구 치평동(마트약국 부근)

3

0

5

12

광주 서구3

광주 서구 매월동(풍암교차로 부근)

3

0

4

13

광주 북구1

광주 북구 운암동(운암사거리 부근)

3

0

4

14

광주 북구2

광주 북구 임동(임동오거리 부근)

3

0

4

15

광주 북구3

광주 북구 양산동(청암아파트 부근)

3

0

3

16

광주 광산구1

광주 광산구 우산동(광주여대입구사거리 부근)

5

0

7

17

광주 광산구2

광주 광산구 운남동(운남주공5단지앞 교차로 부근)

4

0

9

18

광주 광산구3

광주 광산구 송정동(광주송정역 광주1호선 부근)

3

0

8

19

광주 광산구4

광주 광산구 신촌동(극락교 부근)

3

0

5

20

광주 광산구5

광주 광산구 소촌동(송정공원 부근)

3

0

5

21

광주 광산구6

광주 광산구 월계동(첨단지구대 부근)

3

0

4

22

대전 동구1

대전 동구 성남동(용전네거리 부근)

3

0

3

23

경기 수원시 권선구1

경기 수원시 권선구 금곡동(수원가온초등학교 부근)

3

0

4

24

경기 수원시 팔달구1

경기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장다리사거리 부근)

4

0

4

25

경기 수원시 팔달구2

경기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무비사거리 부근)

3

0

3

26

경기 수원시 영통구1

경기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수원가정법원 부근)

3

0

4

27

경기 성남시 수정구1

경기 성남시 수정구 신흥동(성남초등학교앞교차로 부근)

3

0

4

28

경기 성남시 분당구1

경기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분당수서간고속도로 늘푸른고교 부근)

3

0

3

29

경기 성남시 분당구2

경기 성남시 분당구 야탑동(야탑역사거리 부근)

3

0

5

30

경기 성남시 분당구3

경기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서현사거리 부근)

3

0

3

31

경기 부천시1

경기 부천시 춘의동(춘의사거리 부근)

3

0

6

32

경기 광명시1

경기 광명시 노온사동(능촌사거리 부근)

3

0

3

33

경기 평택시1

경기 평택시 고덕동(고덕동 2751 부근)

3

0

5

34

경기 안산시 상록구1

경기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62-20 부근)

4

0

4

35

경기 안산시 상록구2

경기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각골사거리 부근)

3

0

4

36

경기 시흥시1

경기 시흥시 신천동(신천고가교차로 부근)

2

2

9

37

경기 용인시 기흥구1

경기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기흥역사거리 부근)

3

0

3

38

경기 양주시1

경기 양주시 백석읍(복지사거리 부근)

4

0

4

39

경기 연천군1

경기 연천군 전곡읍(전곡성당 부근)

3

0

4

40

강원 원주시1

강원 원주시 판부면(금대리 148-2 부근)

2

1

2

41

충북 청주시 흥덕구1

충북 청주시 흥덕구 봉명동(봉명1동사거리 부근)

3

1

8

42

충북 청주시 흥덕구2

충북 청주시 흥덕구 석곡동(석곡사거리 부근)

3

0

6

43

충북 청주시 흥덕구3

충북 청주시 흥덕구 봉명동(청주시 농수산물도매시장 부근)

3

0

5

44

충북 음성군1

충북 음성군 대소면(대소초등학교 부근)

3

0

4

45

충남 천안시 서북구1

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정동(토마토약국 부근)

4

0

8

46

충남 아산시1

충남 아산시 배방읍(은수사거리 부근)

3

0

6

47

전북 전주시 완산구1

전북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3(전북특별자치도경찰청 부근)

3

0

4

48

전북 전주시 완산구2

전북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1(완산구청 부근)

3

0

3

49

전북 전주시 완산구3

전북 전주시 완산구 중화산동2(전주중산초등학교 부근)

3

0

3

50

전북 군산시1

전북 군산시 수송동(신송사거리 부근)

3

0

4

51

전남 목포시1

전남 목포시 상동(이로파출소 부근)

3

0

4

52

전남 강진군1

전남 강진군 성전면(신풍삼거리 부근)

8

0

26

53

경북 울진군1

경북 울진군 온정면(온정교 부근)

2

1

3

54

제주 서귀포시1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광평교차로 부근)

4

0

4



붙임 2

 

결빙 교통사고 현황 및 겨울철 안전운전 인포그래픽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순천시, 대안 고등교육기관 ‘생태칼리지’ 설립 추진
순천시(시장 노관규)가 슈마허칼리지를 뛰어넘는 “순천생태칼리지” 설립을 구상하고 있다. 시는 지난 28일 “순천시 생태문명 자문위원회”를 발족하고 국내외 생태 관련 전문가 70여 명이 참여한 워크숍을 통해 이와 같은 계획을 밝혔다. 슈마허칼리지는 영국의 대안 고등교육기관으로, 경제학자이자 ‘작은 것이 아름답다’의 저자인 에른스트 슈마허의 철학을 바탕으로 환경, 지속 가능성, 생태철학, 대안경제 등을 다룬다. 졸업 사실만으로 유수의 기관과 정부로부터 능력을 인정받기도 한다. ▶ 20년 전부터 구상해 온 생태칼리지순천시는 20년 전, 대부분의 지자체가 공장 유치와 먹고사는 문제에만 몰두해 있을 때 생태수도를 기치로 내걸었다. 시민사회와 함께 순천만을 보존하고 흑두루미 서식지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 철새를 위해 전봇대를 뽑는 등의 생태정책은 당시에는 많은 비판에 직면했지만, 일관된 정책 추진은 시민들의 동의를 얻기에 이르렀다. 또한 두 번에 걸친 정원박람회를 통해 생태가 경제를 견인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입증하기도 했다. 이렇게 생태수도의 외형적인 요건은 어느 정도 갖추어졌으나 시민들의 삶을 생태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정책의 필요성 또한 대두되기 시작했다. 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