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 간송미술관 개관전 | |
| | |
∘기 간 : 2024.9.3.~12.1.(예정) ∘내 용 : 간송미술문화재단이 소장한 국보・보물(41건 98점) 전시* 등 * 세부내용은 붙임 1 참조 |
붙임 1 | | 개관전시 구성(안) |
구분 | 전시대상 | 주요유물 | 전시내용 | 공간이미지 예시 | 비고 | |
지하 1층 | 기획전시실 496.9㎡ | 도자·조각서예 25건 45점 | 고려청자, 조선백자, 분장청자 재질별 구성 - 관람용이한 독립장 전시 - 김정희, 이광사 서예의 에피소드 소개 등 | 간송소장 보물지정 석조물 2건 미디어 전시 | ||
청자상감운학문매병 | ||||||
미디어실 386.71㎡ | 간송소장 그림활용 아트영상 | 간송재단 소장 산수화를 활용한 실감 영상 - “와유臥遊,누워서 서화를 유람하다” 시각에서 청각 까지 확장된 경험 제공 | | |||
정선, 경교명승첩 | ||||||
지 상 1층 | 상설전시실 512.38㎡ | 회화·전적 13건 50점 | - 정선, 김홍도, 신윤복, 심사정 등 조선후기 명품 회화 전시 ※ 벽부장·조감장 설치 - 동국정운 , 금보 등 조선전기 귀중 전적 전시 | 개관후 3개월 마다 교체전시 | ||
정선, 풍악내산총람도 | ||||||
훈민정음실 100.48㎡ | 전적 2건 2점 | [작가연계공간] ① 간송의 훈민정음 수집이야기 소개 ② 한글의 가치 입증 - 장애인-비장애인이 함께 어울리는 “BF문화공간” | 미디어 아티스트 송예슬 참여 | |||
훈민정음 | ||||||
시그니처실 114.75㎡ | 회화 1건 1점 | 간송 주요 소장품 소개 관람객이 독립되어 감상에 집중하는 공간 공간을 레이어드하여 기대감을 높이는 연출 |
| 개관전 3개월 이후 고려청자 교체전시 | ||
신윤복, 미인도 | ||||||
간송의 방 91.31㎡ | 간송유품 18건 42점 | 간송의 수집이야기 간송의 예술적 공간 “간송의 방” 디오라마 연출로 내용 전달 | | |||
전형필, 고사소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