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울릉도에서만 자라는 추산쑥부쟁이 추출물의 항염 효과가 탁월하고, 섬쑥부쟁이보다 항산화가 우수한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추산쑥부쟁이는 부지깽이나물로 알려진 섬쑥부쟁이와 바닷가에서 자라는 국화과 식물 왕해국의 자연잡종으로 야생에서는 종자 증식이 불가능하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 2022년 우리 고유생물 자원인 추산쑥부쟁이의 보전과 잠재적 부가가치 활용을 위해 줄기와 잎을 활용한 대량 증식법을 확립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대량 증식한 추산쑥부쟁이 추출물의 유용성을 지난해부터 부산대 및 부경대와 함께 연구한 결과, 이 식물의 줄기 분획물*이 염증을 유발하는 질소산화물 생성을 100% 차단해 염증 억제 효과가 탁월하고 노화를 촉진하는 활성산소를 70% 이상 제거해 섬쑥부쟁이보다 항산화 효과가 20% 가량 우수한 것을 확인했다.
* 헥산(hexane), 아틸아세테이트 등의 용매를 이용해 추출물을 성분별로 나눈 것
특히, 추산쑥부쟁이 줄기 분획물에는 독성이 없어 의약 제품, 기능성 식품, 화장품 등으로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올해 4월 추산쑥부쟁이 추출물의 항염, 항산화 효과에 대해 특허 출원*을 마치고 기술이전을 준비 중이다.
* 항염증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10-2024-0052560호),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이용(출원번호 10-2024-0052561호)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추산쑥부쟁이는 자연에서는 대량의 소재 확보가 어렵지만, 대량증식법이 확립되었기 때문에 유용성 검증이 가능했다”라면서, “대량증식 연구 등을 통해 우수한 생물 소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우리나라 생물(바이오)산업계와 연구자에게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붙임 1. 추산쑥부쟁이 대량증식.
2. 항염 및 항산화 활성 결과.
3. 전문용어 설명. 끝.
붙임 1 | | 추산쑥부쟁이 대량증식 |
□ 추산쑥부쟁이(Aster chusanensis)
- 경상북도 울릉군 추산리에서 발견된 고유종.
- 다년초로 9~10월 연보라색 꽃을 피우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2005년 새로운 종으로 학계에 보고
- 2014년 섬쑥부쟁이와 왕해국의 자연 교잡종으로 열매를 거의 맺지 못하고, 맺더라도 속이 비어있어 종자 증식이 거의 불가능
□ 추산쑥부쟁이 대량증식
- ‘22년 국립생물자원관은 잘라낸 잎과 가지를 이용해 3년 만에 높이가 40cm 이상인 개체를 대량 생산 가능한 증식법을 개발
붙임 2 | | 항염 및 항산화 활성 결과 |
□ 항염 활성 결과

추산쑥부쟁이 줄기의 모든 분획물 중 헥산과 에틸아세트산은 세포독성이 전혀 없어 10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임

특히 추산쑥부쟁이 줄기 헥산 분획물에서는 질소산화물(NO) 생성을 100% 억제하는 우수한 항염증 활성이 나타남
□ 항산화 활성 결과

추산쑥부쟁이 줄기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50µg/ml 농도에서 70%, 100µg/ml 농도에서 89%로 나타남

추산쑥부쟁이와 근연종인 섬쑥부쟁이 줄기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50 및 100 µg/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51% 및 61%로 추산
붙임 3 | | 전문용어 설명 |
○ 대량증식: 식물 조직 배양 기술의 하나로, 특정 연구시설 내 배양을 통해 균일하고 작은 식물체를 한 번에 대량 생산하는 방법
○ 염증(inflammation): 감염이나 생체 내 대사산물 중의 자극성 물질에 의하여 야기되는 조직손상에 대하여 국소적으로 나타나는 정상적이고 보호적인 생체 내 방어기전의 발현
○ 분획물 : 여러가지 용매를 이용해 추출물을 성분별로 나눈(fractionation)것
- 용매는 헥산(hexane), 아틸아세테이트, 메탄올, 에탄올 또는 물을 30% 이하로 함유하는 에탄올 등을 사용
- 분획물은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
○ 활성산소(reactive oxygen): 안정하지 못한 전자결합으로 주변 물질로부터 전자를 뺏기 위해 체내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며 세포 손상, 염증, 및 질병을 유발
○ DPPH(2,2-diphenyl-1-picrhydrazyl) 라디칼 소거활성: 항산화 능력을 신속하게 평가하고 비교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시험법으로 DPPH는 519나노미터에서 특징적인 광 흡수를 나타내는 자색의 혼합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