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14.3℃
  • 맑음강릉 15.0℃
  • 맑음서울 15.0℃
  • 맑음대전 17.5℃
  • 맑음대구 17.6℃
  • 맑음울산 13.5℃
  • 맑음광주 16.8℃
  • 맑음부산 12.9℃
  • 맑음고창 12.1℃
  • 흐림제주 12.7℃
  • 맑음강화 10.6℃
  • 맑음보은 16.2℃
  • 맑음금산 17.2℃
  • 맑음강진군 14.3℃
  • 구름조금경주시 15.4℃
  • 맑음거제 13.1℃
기상청 제공

진주시, 2024년 국․도비 예산 6103억 원 확보

- 역대 최대 규모 확보로 주요 현안 사업 탄력 -


  진주시는 2024년도 주요 현안사업 추진을 위한 국․도비 예산 6103억 원을 확보했다고 22일 밝혔다.

  내년 국․도비 예산은 국비 4862억 원, 도비 1241억 원으로, 정부의 긴축재정 기조 등 어려운 여건에서 역대 최대 규모의 국․도비 확보라는 값진 성과를 거두었다. 

  시는 원활한 국비 예산 확보를 위해 직원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하고 지난 2월부터 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국․도비 확보 특별대책본부’를 운영해 중앙부처와 경남도의 관련 부서를 직접 방문, 사업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설명했다.

  특히, 조규일 시장은 대통령실,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문화체육관광부,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등 정부 부처와 국회 등을 방문하여 주요 현안사업을 설명하고 정부 예산 반영을 건의하는 등 직접 발로 뛰는 행정을 펼쳤다.

 ▲문화 및 관광 분야에서는 △진주 정촌면 화석역사공원 조성에 18.9억 원 △문화유산 미디어아트 사업 8억 원 △코리아 드라마 페스티벌 6억 원 △남부권 광역개발 4.8억 원을 확보하였으며, △정촌 체육시설 건립사업 10억 원과 진주대첩 재현 공연 3억 원은 당초 정부 예산안에는 반영되지 않았으나 국회 심의단계에서 확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국가직접시행사업으로는 △남부내륙철도사업 2377억 원 △우주환경시험시설 구축사업 25억 원, △대한민국 기업가정신관 건립 타당성 조사 용역 3억 원, △국립현대미술관 진주관 설치 타당성 연구용역 2억 원이 반영되었다.

 ▲지방전환(도 자율)사업으로 △치유의 숲 조성사업 11억 원 △반려동물지원센터 건립 15.8억 원 △중앙시장 북편 대통로 아케이드 설치사업 15억 원 △동부시립도서관 건립 11.6억 원 △이현동 공영주차장 조성사업 12.5억 원 △진주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사업 9억 원의 전환 도비를 확보하였다.
 
  2024년 반영 주요 국비 사업으로 ▲국토 및 지역개발 분야는 △상평산단 휴폐업공장 청년창업공간 리모델링사업 35억 원 △진주 상평산업단지 재생사업 31.6억 원 △성북지구 도시재생 뉴딜사업 44.6억 원 △강남지구 도시재생 뉴딜사업 39.8억 원 △중앙지구 도시재생 뉴딜사업 26.7억 원 △농촌협약사업 36억 원의 국비를 확보하였다. 

 ▲환경 분야에는 △진주시 노후정수장 정비사업 12억 원 △진주시 지방상수도 현대화사업 55.7억 원 △대곡 공공하수처리시설 증설사업 31.5억 원 △초전동 외 8개 지구 하수관로 정비사업 10.8억 원이 반영되었다.

 ▲산업 및 재난 안전 분야에는 △강소연구개발특구 육성사업 16억 원 △장재・장흥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 16억 원을 확보하였다.

  조규일 시장은 “역대 최대 규모의 국․도비 확보는 우리 시 직원들과 지역 국회의원 등이 함께 노력한 결과로 힘써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린다”며, “이번에 반영된 국․도비 사업들을 신속하게 추진하여 시민이 행복한 부강한 진주 건설을 위한 기반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 ”고 말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여수시, 도시재생 사후관리 방안 마련에 앞장
여수시(시장 정기명)가 도시재생 사후관리를 위해 적극 나선다. 도시재생은 쇠퇴한 도시를 재활성화시켜 경제적, 사회적, 물리적으로 부흥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사업 이후 해당 지역이 곧바로 방치되는 사례도 많다. 시는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 도시재생 본연의 취지를 이어가기 위해 주민과의 협력을 통해 극복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우선, 청년 창업가와 협업이다.청년의 마인드와 열정을 주민조직에 투입해 고령화된 주민조직 체계(협동조합 등)에 활력을 불어넣을 방침이다. 특히. 도시재생 거점시설과 연계한 창업환경을 조성해 양질의 일자리도 창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지자체의 협업을 통해 제7기 넥스트로컬 청년 창업가를 유치(2025년 5∼12월)한다. 넥스트로컬은 서울시에서 자체 검증 시스템을 통해 청년(19∼39세) 창업가 100팀(200명)을 선발해 초기 창업지원금 최고 7천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서울시 넥스트로컬 사업 설명회 이들은 지역에 거주하면서 자원조사 활동과 사업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시는 이들에게 도시재생 거점시설(거주·창업 공간)과 지역자원 리스트업, 파트너십 구축, 시제품 제작(메이커 스페이스), 체험 투어 프로그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