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0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낙동강에서 녹조 일으키는 유해남조류 전장유전체 정보 최초로 확보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금한승)은 낙동강에서 녹조를 유발하는 유해남조류의 전장유전체* 유전정보를 국내 최초로 분석(whole genome sequencing)에 성공하여 관련 유전정보를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에 최근 등록했다고 밝혔다.

   * 생물이 가진 유전자의 전체 지도로서, 크게 특정 형질로 생성되는 구간(부분 유전자 서열; partial CDS)과 생성을 조절하는 구간(비번역 영역; UTR)으로 구분

  유해남조류는 환경부에서 상수원수의 안전성(조류경보제 대상)을 확보하기 위해 지정한 남조류 4속*을 의미하며, 이들 남조류가 대량으로 늘어나면 독소물질(마이크로시스틴 등)이 나온다. 
 * 마이크로시스티스, 아나베나, 아파니조메논, 오실라토리아 속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는 2015년부터 최근까지 낙동강 전역에서 유해남조류 29종을 확보하여, 이들 중 낙동강에서 가장 빈번하게 출현하는 6종의 전장유전체 정보를 밝혀냈으며, 6종* 중 4종**의 전장유전체 정보는 지난 10월 말에 공개됐다.

   * 아파니조메논 1종, 돌리코스퍼멈 1종(옛 명칭: 아나베나), 마이크로시스티스 2종, 쿠스피도쓰릭스 1종(옛 명칭: 아파니조메논), 플랑크토쓰릭스 1종(옛 명칭: 오실라토리아)

 ** 아파니조메논 1종, 마이크로시스티스 2종, 플랑크토쓰릭스 1종(옛 명칭: 오실라토리아)

  나머지 2종*의 전장유전체에 대한 정보도 11월 말에 공개될 예정이며, 공개된 정보는 미국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돌리코스퍼멈 1종(옛 명칭: 아나베나), 쿠스피도쓰릭스 1종(옛 명칭: 아파니조메논)

  그동안 연구진은 짧은 구간의 부분 유전자 서열(partial CDS)을 통해 특정 형질의 유전자 존재 여부만을 확인했으나, 이번 전장유전체 분석을 통해 녹조를 일으키는 유전자 전체 종류와 기능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 생리 생태적 형질 발현의 조절에 대한 전 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박지형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장은 “이번에 공개한 전장유전체 정보를 활용하여 낙동강에서 녹조로 인한 독소, 냄새물질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거나, 유전자 변이를 통한 녹조 발생 기원 추적 등을 통해 녹조 발생 기작(메커니즘)을 유전자 수준에서 규명할 수 있게 되었다”라며, “아울러 남조류가 생산하는 유용 물질(색소 등)의 탐색까지 다양한 기술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유해남조류 전장유전체 관련 정보.
      2. 전문용어.
      3. 질의응답.  끝.

붙임 1

 

유해남조류 전장유전체 관련 정보


  유해남조류 6종에 대한 배양주 정보

순번

배양주번호

학명

분리장소

분리일자

NCBI 등록번호

(Accession no.)

1

NRERC-008

Aphanizomenon flos-aquae

강정고령보

`16.11.26.

SAMN37319737

2

NRERC-101

Dolichospermum planctonicum*

강정고령

`17.5.29.

11월 말 공개예정

3

NRERC-214

Microcystis aeruginosa

상주보

`18.9.18.

SAMN37320142

4

NRERC-220

Microcystis wesenbergii

구미보

`21.8.9.

SAMN37180479

5

NRERC-654

Cuspidothrix issatschenkoi**

낙단보

`19.6.21.

11월 말 공개예정

6

NRERC-751

Planktothrix agardhii***

칠서

`20.12.8.

SAMN37321090

     옛 명칭: * 아나베나 / ** 아파니조메논 / *** 오실라토리아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 등록 결과



붙임 2

 

전문용어


□ NCBI(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전 세계적으로 생물학, 유전학, 의학 분야에서 데이터를 수집·제공하고 있으며, 이곳에서 운영하는 유전자은행(GenBank)은 유전자 서열, 단백질, 유전체 정보 분야에 대한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 전장유전체(whole genome): 특정 생물의 유전정보가 포함된 DNA 염기서열의 전체로서, 구조적으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서열(CDS, coding sequence)과 이들 유전자 사이에 존재하는 비암호화 서열(non-coding sequence)로 구성

□ 배양주(strain): 자연조건에 존재하는 단일 세포를 순수하게 분리·배양한 상태로서, 동질의 유전적 특징을 갖는 세포들의 집단

□ 부분 유전자 서열(partial coding sequence): 유전체에서 특정 단백질(형질)의 구성 정보를 가지고 있는 DNA 염기서열의 일부 구간, 부분 유전자 서열은 특정 단백질(형질)이 발현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

□ 발현(expression): 유전정보(DNA)가 전사 및 번역을 거쳐, 단백질을 형성하는 과정

□ 비번역 영역(UTR, untranslated region): 부분 유전자 서열(partial coding sequence) 양쪽에 위치하여, 부분 유전자 서열의 발현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


붙임 3

 

질의응답


1.  1.  동일한 종을 여러 개의 균주로 확보한 이유는?

       
ㅇ 하나의 종(species) 안에는 유전적 특징이 다양한 여러 종류의 균주(strain)가 존재함. 대표적으로 안동호에서 출현한 유해남조류와 진양호에서 출현한 유해남조류는 유전적 특징이 다를 수 있음. 이러한 공간 분포에 따른 유전적 특징의 차이를 고려하기 위하여, 낙동강 내 다양한 서식지에서 동일한 종을 여러 개 균주로 구분하여 확보하였음.

2. 2.전장유전체 분석의 의의는?

 
ㅇ DNA 염기서열은 크게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서열(CDS, coding sequence)과 이들 유전자 사이에 존재하는 비암호화 서열(non-coding sequence)로 구분됨. 부분 유전자 서열(partial CDS)은 비번역 구간(UnTranslated Region, UTR)을 제외한, 단백질 구성정보(형질의 존재)가 포함된 구간만을 의미함. 따라서 부분 유전자서열(partial CDS)로는 형질의 존재 여부를 알 수 있을 뿐, 형질의 발현 여부를 알 수 없음. 특히 비번역 구간(UnTranslated Region, UTR)에서 발생하는 유전적 변이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유전체에서 시작되는 모든 대사활동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전장유전체 정보가 필요함.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LH, 산업연구원과 산업․공간 융복합 연구협력 추진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9일 대전 토지주택연구원에서 산업연구원(KIET)과 「산업․공간 융복합 전략 및 국가균형발전」 연구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정부 핵심 공약*으로 제시된 ‘공간과 연계한 지역 전략산업 육성’과 ‘5극, 3특(5대 초광역권, 3대 특별자치도) 중심 균형발전’을 뒷받침하고자 마련됐다. * 정부는 10대 공약 중 하나로 국토균형발전을 제시하고, 이행 방법으로 산단, 혁신도시, 경제자유구역과 연계한 지역전략산업 육성 및 지역투자 촉진 등을 제시 협약을 통해 LH 토지주택연구원(LHRI)과 산업연구원은 △ 지역산업과 도시·지역의 융복합 정책 개발 △ 기업유치 및 산업단지 활성화를 통한 국가균형발전 지원 등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협약식에는 정창무 LH 토지주택연구원 원장, 권남훈 산업연구원 원장 등이 참석했다. 한편, 업무협약식에 이어 ‘산업·공간 융복합 전략’을 주제로 한 정책 포럼이 개최됐다. 포럼은 △산업입지 △지역전략산업 △기업생태계 등과 관련된 다양한 현안을 논의하고, 지역 산업과 공간 정책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주제 발표는 배진원 박사(산업연구원)가 ‘국내 산업 특구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순천시, ‘새 용산전망대’ 11일 개방… 생태치유관광의 거점 기대
순천시(시장 노관규)가 순천만의 원형 생태와 자연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용산전망대’를 새롭게 단장해 오는 11일 개방한다고 밝혔다. 용산전망대는 단순한 조망을 넘어 원시적인 자연생태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을 위해 노력한 역사를 한 눈으로 응축해 볼 수 있는 상징적인 공간이다. 이번에 새롭게 건립된 용산전망대는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2층 목재 구조물로 지어졌으며, 건축면적은 124.88㎡이다. 또한 고령자, 장애인, 영유아 동반 가족 등 이동약자를 위해 용산전망대 진입 구간 약 908m에 경사형 무장애 데크길을 2026년까지 단계적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전망대에서는 S자 수로를 따라 펼쳐지는 갈대밭과 칠면초 군락, 낙조, 흑두루미 도래지 등 순천만의 대표 생태 경관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시는 이곳에서 생태해설, 철새 탐조, 명상 등 다양한 생태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람사르길·갈대숲·흑두루미 도래지 등과의 연계를 강화해 자연 기반 생태치유관광과 생태교육의 중심지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노관규 순천시장은 “용산전망대는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가치를 체감할 수 있는 상징적 공간”이라며, “순천만국가정원 및 향후 조성될 순천갯벌치유관광플랫폼과 연계해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