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까지 지하차도 침수 대피시설 관련 규정 없어… 극한 호우 등으로 반복되는 지하차도 침수사고 인명피해 방지를 위한 선제적 대책 마련 필요성 제기
◈ 부산시, 전국 최초로 '비상대피로 설치 표준안'을 마련하고, 시내 34개 지하차도를 대상으로 2024년 ~2026년 단계별 사업추진
◈ '비상대피로 설치 표준안은 두 가지… ▲(1안) 지하차도 내 비상출입문 등 기존 연결통로를 활용한 외부 대피 ▲(2안) 비상대피시설 신규 설치를 통한 출입구 양측 대피 유도
□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전국 최초로 시내 34개 지하차도를 대상으로 「지하차도 비상대피로 확보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 이번 비상대피로 확보사업은 최근 극한 호우로 인해 반복되는 지하차도 침수 인명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시행된다.
○ 지난 2020년 초량제1지하차도 침수사고 이후 시내 지하차도 대부분은 차단기, 수위계, 시시티브이(CCTV) 등을 통한 차단시스템을 구축해 지하차도 진입을 원천 차단하는 방식으로 침수사고에 대처해오고 있다.
○ 그러나, 지난 7월 오송 궁평2지하차도 침수사고와 같이 극한 호우 등으로 인한 급작스러운 침수 시 지하차도 내부에 고립될 수 있는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는 실정이다.
□ 시는 시내 지하차도에 대한 전수조사와 현장 확인을 실시하고 다양한 검토와 구․군 및 부산시설공단과의 협의를 거쳐 이번 '비상대피로 설치 표준안'을 마련했다.
○ 그동안 지하차도 침수 대피시설과 관련한 별도 규정이 없어 지하차도 침수에 대비해 비상대피로를 확보하는 사례는 이번이 전국 최초다.
□ 표준안은 두 가지로, 첫 번째는 ▲기존 지하차도 내부에 설치돼 있는 비상출입문과 연결통로(계단, 사다리 등)를 활용해 비상대피로를 확보하는 방안이다.
□ 두 번째로는 기존 시설을 활용한 대피로 확보가 불가능할 경우 ▲비상사다리 ▲대피유도핸드레일 ▲인명구조함 ▲비상유도표지판 등의 ‘비상대피시설’을 신규 설치해 지하차도 출입구 양측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를 유도하는 방안이다.
□ 향후, 시는 이번 표준안을 토대로 시설물 관리주체인 구․군 및 부산시설공단과 협력해 시설물 위험도 평가 우선순위에 따라 내년부터 2026년까지 단계별로 비상대피로를 확보해나갈 계획이다.
□ 박형준 부산시장은 “세계적인 기상이변과 기록적인 호우로 해마다 크고 작은 침수사고가 되풀이되고 있는 실정이다”라며, “순식간에 지하차도에 고립되는 상황에 대비하여 이번 지하차도 비상대피로 확보사업을 통해 시민 한 사람의 생명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도록 부산시 도로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참 고 | | 지하차도 비상대피로 확보사업 추진계획 |
□ 비상대피로 확보(안)
ㅇ (1안) 지하차도 내 비상출입문 등 기존 연결통로를 활용한 외부 대피
- 10개소(부산진시장, 범천, 당감, 개금, 센텀시티, 수영강변, 중동, 장평, 장전 등)
ㅇ (2안) 1안 불가 시, 비상대피시설* 신규 설치를 통한 출입구 양측 대피 유도
*비상대피시설 - (비상사다리) 구조 시까지 임시 대피 또는 외부 대피를 위한 사다리 - (대피유도핸드레일) 침수 시 출입구까지 안전한 대피를 유도하기 위한 핸드레일 - (인명구조함) 침수 시 인명구조를 위한 장비(구명조끼, 구명환, 로프 등) 보관함 - (비상표지판) 비상대피 유도 표지판 |
□ 사업개요
ㅇ 사업대상 : 관내 지하차도 34개소
ㅇ 사업기간 : 2024년 ~ 2026년(단계별 추진)
ㅇ 사업방식 : 관리주체 별 예산 확보 및 공사 시행
□ 관련사진 (비상대피로 설치 표준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