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29 (수)

  • 맑음동두천 -3.8℃
  • 맑음강릉 2.4℃
  • 구름많음서울 -2.5℃
  • 구름많음대전 0.9℃
  • 흐림대구 3.5℃
  • 구름많음울산 2.5℃
  • 맑음광주 3.8℃
  • 구름많음부산 5.9℃
  • 구름많음고창 2.8℃
  • 구름많음제주 11.1℃
  • 구름많음강화 -1.6℃
  • 흐림보은 -0.5℃
  • 구름많음금산 0.8℃
  • -강진군 3.4℃
  • 맑음경주시 0.6℃
  • 구름조금거제 6.6℃
기상청 제공

농축산식품

식량농업기구(FAO) 세계식량가격지수 0.6% 하락

- 곡물, 유지류 등 대부분 품목군 가격 하락, 설탕 가격은 상승 -


□ 2023년 2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29.8포인트로 전월(130.6) 대비 0.6% 하락하면서 2022년 3월 최고점 이후 11개월 연속 하락을 유지

□ 곡물 가격은 0.1% 하락(147.5→147.3), 유지류는 3.2% 하락(140.4→135.9), 육류는 0.1% 하락(112.1→112.0), 유제품은 3.6% 하락(135.0→131.3)하였으나 설탕 가격은 6.9%(116.8→124.9) 상승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3년 2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30.6포인트) 대비 0.6% 하락한 129.8포인트**를 기록하였다. 곡물을 비롯한 대부분 품목군의 가격이 하락하였으나 설탕 가격은 상승하였다.

   *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조사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작성, 발표(2014-2016년 평균=100)
  ** (’22.8월) 137.6 → (9월) 136.0 → (10월) 135.4 → (11월) 134.7 → (12월) 131.8 → (’23.1월) 130.6 → (2월) 129.8

  2023년 2월 곡물 가격지수는 1월(147.5포인트) 대비 0.1% 하락한 147.3포인트를 기록하였다. 밀의 경우 미국 주요 생산지의 가뭄과 호주산 밀의 수요 강세로 인해 가격이 소폭 상승하였다. 옥수수는 아르헨티나의 기후 여건 악화, 브라질의 2기작 옥수수 파종 지연으로 가격이 상승하였으나 미국산 옥수수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상승폭은 미미했다. 반면 쌀은 태국 등 주요 수출국에서 달러 대비 환율이 약화되면서 가격이 하락하였다.

  유지류 가격의 경우, 전월(140.4포인트) 대비 3.2% 하락한 135.9포인트를 기록하였다. 팜유는 동남아시아 등 주요 지역 생산량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국제 수요 둔화가 계속되며 가격이 하락하였다. 대두유는 주요 수입국의 구매 감소 및 남미의 생산량 증가 전망 영향으로 가격이 하락하였다. 유채씨유와 해바라기씨유는 수출용 물량이 전세계적으로 충분히 유지되면서 가격이 하락하였다.

  육류의 경우, 전월(112.1포인트) 대비 0.1% 하락한 112.0포인트를 기록하였다. 가금육의 경우, 주요 생산국의 조류인플루엔자 확산에도 불구하고 공급 물량이 충분하고 수요가 둔화하면서 가격이 하락하였다. 반면 돼지고기 가격은 상승하였는데, 유럽의 국내 수요 증가 및 도축용 돼지의 공급 부족이 주요 원인이었다. 소고기의 경우 국제적으로 수요가 공급과 균형을 이루며 가격에 큰 변동이 없었다.

  유제품의 경우, 전월(135.0포인트) 대비 3.6% 하락한 131.3포인트를 기록하였다. 특히 버터와 탈지분유를 중심으로 모든 유제품의 가격이 하락하였다. 최근 동북아시아 지역의 수입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세계적으로 수입 수요 약화가 지속되는 추세이고, 서유럽에서는 버터, 치즈, 탈지분유를 포함하여 유제품 수출 공급량이 증가한 것이 가격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설탕의 경우, 전월(116.8포인트) 대비 6.9% 상승한 124.9포인트를 기록하였다. 인도의 생산량 전망이 하향 조정되며 가격이 크게 상승하였다. 다만 태국의 양호한 수확 진행 상황, 브라질의 풍부한 강수량, 국제 원유 가격 및 브라질 에탄올 가격 하락 등은 상승폭을 다소 완화시키는 요인이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2022/23년도 세계 곡물수급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망하였다.

  2022/23년도 세계 곡물 생산량은 2,773.8백만톤으로 2021/22년도 대비 1.3%(37.3백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생산량 전망치(전년 대비): 쌀 516.6백만톤(1.5%↓) / 잡곡 1,462.5(3.1%↓) / 밀 794.6(2.1%↑)

  2022/23년도 세계 곡물 소비량은 2,780.0백만톤으로 2021/22년도 대비 0.6%(17.9백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소비량 전망치(전년 대비): 쌀 520.0백만톤(0.3%↓) / 잡곡 1,480.5(1.5%↓) / 밀 779.5(0.8%↑)

  2022/23년도 세계 곡물 기말 재고량은 844.3백만톤으로 2021/22년도 대비 1.2%(9.9백만톤)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재고량 전망치(전년 대비): 쌀 194.4백만톤(0.8%↓) / 잡곡 344.3(5.5%↓) / 밀 305.4(4.1%↑)

붙임 1. 식량가격지수 그래프(연도별, 품목별)2. 식량가격지수(2014~2023)

본 자료는 보도 편의를 위해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발표자료를 요약·정리한 내용이므로 상세 내용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누리집(www.fao.org/worldfoodsituation/foodpricesindex/en) 참조


붙임1

 

    식량가격지수 그래프(연도별 품목별)



 


<연도별 식량가격지수>

 

<품목별 가격지수>

 


<명목 및 실질 식량가격지수


붙임2

 

         식량가격지수(2014~2023)


연도

식량가격지수

육류

유제품

곡물

유지류

설탕

2014

115.0

112.2

130.2

115.8

110.6

105.2

2015

93.0

96.7

87.1

95.9

89.9

83.2

2016

91.9

91.0

82.6

88.3

99.4

111.6

2017

98.0

97.7

108.0

91.0

101.9

99.1

2018

95.9

94.9

107.3

100.8

87.8

77.4

2019

95.1

100.0

102.8

96.6

83.2

78.6

2020

1

102.5

103.6

103.8

100.7

108.7

87.5

2

99.4

100.5

102.9

99.6

97.6

91.4

3

95.2

99.4

101.5

98.0

85.4

73.9

4

92.5

96.9

95.8

99.6

81.2

63.2

5

91.1

95.4

94.4

98.0

77.8

67.8

6

93.3

94.8

98.3

97.3

86.6

74.9

7

94.0

92.2

101.8

97.3

93.2

76.0

8

95.9

92.2

102.1

99.2

98.7

81.1

9

98.0

91.5

102.3

104.3

104.6

79.0

10

101.4

91.8

104.5

112.1

106.5

84.7

11

105.6

93.3

105.4

114.8

121.9

87.5

12

108.6

94.8

109.2

116.4

131.2

87.1

(평균)

98.1

95.5

101.8

103.1

99.4

79.5

2021

1

113.5

96.0

111.2

125.0

138.9

94.2

2

116.6

97.8

113.1

126.1

147.5

100.2

3

119.2

100.8

117.5

123.9

159.3

96.2

4

122.1

104.3

119.1

126.2

162.2

100.0

5

128.1

107.4

121.1

133.7

174.9

106.8

6

125.3

110.7

119.9

130.3

157.7

107.7

7

124.6

114.1

116.7

126.3

155.5

109.6

8

128.0

113.4

116.2

130.4

165.9

120.5

9

129.2

112.7

118.1

132.8

168.6

121.2

10

133.2

112.0

121.5

137.1

184.8

119.1

11

135.3

112.5

126.0

141.4

184.6

120.2

12

133.7

111.0

129.0

140.5

178.5

116.4

(평균)

125.7

107.7

119.1

131.2

164.9

109.3

2022

1

135.6

112.1

132.6

140.6

185.9

112.7

2

141.2

113.9

141.5

145.3

201.7

110.5

3

159.7

119.3

145.8

170.1

251.8

117.9

4

158.4

121.9

146.7

169.7

237.5

121.5

5

158.1

122.9

144.2

173.5

229.2

120.4

6

154.7

125.9

150.2

166.3

211.8

117.3

7

140.6

124.1

146.5

147.3

168.8

112.8

8

137.6

121.1

143.4

145.6

163.3

110.5

9

136.0

120.3

142.7

147.9

152.6

109.7

10

135.4

116.8

139.3

152.3

151.3

108.6

11

134.7

114.6

137.4

150.1

154.7

114.4

12

131.8

112.4

138.2

147.3

144.6

117.2

(평균)

143.7

118.8

142.4

154.7

187.8

114.5

2023

1

130.6

112.1

135.0

147.5

140.4

116.8

2

129.8

112.0

131.3

147.3

135.9

124.9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대전시, 규제혁신 우수사례 빛났다
□ 대전시는 17일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행정안전부 주최‘2023년 지방규제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10개 지자체와의 경합 끝에 우수상을 받았다. ㅇ 대전시가 발표한 사례는 “물류단지개발 인허가 절차 간소화”로 물류단지개발 시 산단절차간소화법을 준용한 「대전광역시 물류단지 개발 및 활성화 지원 조례」를 제정함으로써 평균 2~4년이 소요되던 인허가 기간을 최대 1년까지 단축한 사례이다. ㅇ 기존에는 물류단지 개발을 하려면 개발계획을 수립해 도시·교통·환경·재해 등 관련 위원회 심의를 받은 후 실시계획 인허가를 각각 이행해야 했으나, 앞으로는 제정된 조례에 따라 새롭게 설치되는 대전시 물류단지개발지원센터에서 기업이 물류단지 계획 승인과 도시계획 등에 관한 통합심의를 받을 수 있게 된다. ㅇ 시는 이로 인해 물류단지 개발과 물류시설용지 공급이 증가하여 지역 일자리 창출과 경제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한편, 지난해 행안부 주관 규제혁신 기관평가에서 3관왕을 달성한 대전시는 올해도 지역경제 활력 제고를 목표로 실․국별 규제혁신 특별전담조직 운영하고 찾아가는 지방규제신고센터 기업 규제 애로 청취 등을 활발히 이어가고 있다. ㅇ 이를 통해 발굴한 규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의정부시평생학습원, 의정부 지역학 활성화를 위한 세미나 개최
(재)의정부시평생학습원은 지난 24일, 학습원 대강당에서 그동안 축적해온 의정부 지역학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의정부 지역학 활성화를 위한 방향성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세미나를 개최했다. 의정부 시 승격 60주년을 맞아 개최한 이번 세미나는 강진갑 한국향토사연구회장의 ‘의정부 지역학 현황과 향후 과제’라는 기조발제를 시작으로 지역학 전문가들이 모여 ‘경기도 지역 교육의 현황과 전망’,‘의정부 지역문화 유산의 문화 콘텐츠 활용’등 다양한 주제 발표와 토론의 시간을 가졌다. 특히 학습원은 현실성있는 지역학 발전의 대안을 도출하기 위해 형식적인 학술발표회를 지양하고, 발표자와 참석자가 자유롭게 참여하여 폭넓은 의견 공유의 장을 마련하여 관계자들의 호평을 받았다. 주요내용으로는 ▲의정부학 전담 지역학 전문가 양성 ▲시민의 학술연구 분야 주체적 활동 토대 마련 ▲문화원, 문화재단, 평생학습원을 중심으로 지역문화자원 적극 활용 및 문화콘텐츠 개발 ▲전통문화 외 근현대사 프로그램으로의 확대 ▲인근 시군 지역학 연구자와의 교류 및 공동연구 등이다. 유상진 원장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의정부 지역학의 방법론이 정립되는데 큰 밑걸음이 되었고, 지역학 활성화의 마중물 역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