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23 (화)

  • 맑음동두천 21.0℃
  • 구름많음강릉 22.7℃
  • 맑음서울 22.0℃
  • 맑음대전 17.9℃
  • 황사대구 19.8℃
  • 황사울산 19.5℃
  • 황사광주 20.2℃
  • 황사부산 21.6℃
  • 맑음고창 19.9℃
  • 황사제주 20.7℃
  • 맑음강화 20.4℃
  • 맑음보은 16.0℃
  • 맑음금산 16.3℃
  • 맑음강진군 22.0℃
  • 맑음경주시 20.7℃
  • 맑음거제 20.3℃
기상청 제공

국무총리실 산하 연구기관 연구원 1인당 수행 과제 연 평균 1.1건에 불과! 기관 50%는 1건도 안 돼!

국무조정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연구기관 연구원의 1인당 수행 출연금 연구과제(기관고유사업) 수가 연간 1건밖에 되지 않으며, 절반의 연구기관은 1건도 채 안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연구원 1인당 수행 연구과제 수 : 총 연구과제수 / 연구원수

∙연구원의 범위는 과제 책임을 맡을 수 있는 박사급 연구인력 기준

∙연구과제 수 : 출연금 과제(기관고유사업) 기준 (공동참여는 산정에서 제외)


국회 강민국 의원실(경남 진주시을)에서 경제인문사회연구회에 자료요청을 통해 받은 답변자료인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연구기관 연구원 1인당 수행 연구과제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 2017년~2021년까지 5년간 매년 26개 연구기관의 연구원 1인당 수행 연구과제 수는 1.1건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021년 기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연구기관들의 연구원 1인당 수행 연구과제수를 살펴보면, ①한국법제연구원이 3.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②한국교육개발원 2.3건, ③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건 등의 순이다.

또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26개 연구기관 중 연구원 1인당 연간 수행 연구과제 수가 단 1건이 채 안 되는 연구기관도 절반(13개)이나 되었다. 


2021년 기준, 연구기관별 연구원 1인당 연구과제 수를 살펴보면, ①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0.2건으로 가장 적었으며, 특히 교육과정평가원은 5년 내내 0.2건이었다. 다음으로 ②한국해양수산개발원 0.3건, KDI국제정책대학원 ③0.4건 등의 순이다.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연구기관들의 1인당 연구수행 과제 수가 적은 사유에 대해 대부분 기관들은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서 기본과제로 수행해야 하는 연구업무 외 연구원 인건비 충당을 위한 수탁사업으로 수행하는 연구업무 과중으로 인해 논문 게재를 장려하기 어려움」이라고 답변하였다.


연구기관의 답변처럼 연구기관의 출연금으로는 기관 운영 상 애로사항이 많은 것은 사실이나 그렇다면, 연구과제의 질적인 수준이라도 좋아야 할 것인데 그것마저도 아닌 것으로 조사되었다.


강민국 의원실에서 경제인문사회연구회에 자료 요청을 통해 받은 답변자료인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연구기관 연구원 국내외 학술지 논문게재 실적』을 살펴보면, 지난 5년간 전체 연구기관 연구원 1인당 평균 국내외 학술지 논문게재 건수는 0.94건에 불과하였다.


이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7년 0.94건⇨2018년 0.91건⇨2019년 0.91건⇨2020년 0.96건⇨2021년 0.97건으로 지난 5년간 단 한번도 국내외 학술지 논문 게재 건수가 1건 이상이 된 적이 없었다. 더욱이 지난 5년간 연구원 1인당 국제전문학술지 논문 게재 건수는 0.15건에 불과하였다.


강민국 의원은 “연구기관 출연금이 적어 수탁용역에 집중한다고 하여도 최소한 연구기관 존재의 이유와 그 가치를 증명하는 고유사업 출연금 과제에 대한 양적, 질적인 고려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강 의원은 “연구기관에서 개인평가 반영과 실비지원 이상은 한계가 있으므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차원의 연구기관 전체 적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논문 게재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 강구 방안 마련 등 적극적인 유인책 도입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개선책 마련을 주문했다.


< 첨부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연구기관 연구원 1인당 수행 연구과제 및 논문 게재 실적 >


첨부 :    첨부 : 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연구기관 연구원 1인당 수행 연구과제 및 논문 게재 실적


연구원 1인당 수행 연구과제수                                                                           (단위: )

순번

기관명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7

1

법제

2.5

2.4

2.4

3.1

3.1

2.0

2

교육

1.6

1.9

2.2

2.5

2.3

2.1

3

보건

1.7

2.0

2.1

1.9

2.0

1.2

4

노동

1.8

2

1.9

2

1.9

1.7

5

환경

2.0

2.2

2.1

2

1.9

1.6

6

대외

1.6

1.3

1.7

1.4

1.7

1.3

7

육아

1.4

1.5

1.5

1.1

1.5

0.9

8

조세

1.2

1.2

1.2

1.3

1.5

1.2

9

여성

1.6

1.4

1.3

1.3

1.3

1.2

10

직능

1.7

1.3

1.6

1.1

1.2

1.0

11

통일

1.0

1.0

1.0

0.9

1.2

1.2

12

KDI

1.2

1.2

1.2

1.0

1.0

0.8

13

산업

1.6

1.1

1.2

0.9

1.0

0.6

14

농촌

0.6

0.6

0.6

0.7

0.7

0.6

15

형사

0.9

0.8

0.9

0.8

0.7

0.8

16

과학

0.6

0.6

0.6

0.6

0.6

0.6

17

에너지

0.6

0.6

0.5

0.6

0.6

0.5

18

행정

0.7

0.7

0.7

0.5

0.6

0.5

19

청소년

0.6

0.5

0.5

0.5

0.6

0.6

20

교통

0.6

0.5

0.5

0.6

0.5

0.4

21

국토

0.5

0.5

0.5

0.5

0.5

0.4

22

건축

1.2

0.7

0.6

0.7

0.5

0.6

23

대학원

0.3

0.3

0.3

0.4

0.4

0.4

24

해양

0.4

0.3

0.4

0.4

0.3

0.4

25

정보

0.4

0.3

0.3

0.3

0.2

0.3

26

평가원

0.2

0.2

0.2

0.2

0.2

0.2

합계 평균

1.1

1.1

1.1

1.1

1.1

0.9


  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연구기관별 연구원 연구과제 현황

    - 연구원 수 : 단순 연구지원인력(석사급 연구원 등)은 제외

    - 연구과제 수 : 출연금 과제(기관고유사업) 기준으로 작성 (공동참여는 산정에서 제외)

                                                                                                                                        (단위: , )

순번

기관명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7

1

한국

법제

연구원

연구원수

51

53

49

49

51

50

총수행연구과제수

126

127

119

152

158

100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2.5

2.4

2.4

3.1

3.1

2.0

2

한국교육

개발원

연구원수

81

84

86

85

81

82

총수행연구과제수

128

160

187

214

186

172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1.6

1.9

2.2

2.5

2.3

2.1

3

한국보건

사회연구원

연구원수

93

94

99

105

108

113

총수행연구과제수

154

186

205

202

212

137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1.7

2.0

2.1

1.9

2.0

1.2

4

한국노동

연구원

연구원수

41

42

45

47

49

46

총수행연구과제수

72

83

87

92

94

77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1.8

2.0

1.9

2.0

1.9

1.7

5

한국환경

연구원

연구원수

101

108

96

111

117

115

총수행연구과제수

202

233

207

223

218

174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2

2.2

2.1

2

1.9

1.6

6

대외경제

정책연구원

연구원수

51

51

53

58

61

61

총수행연구과제수

80

64

92

79

103

79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1.6

1.3

1.7

1.4

1.7

1.3

7

육아정책

연구소

연구원수

26

24

23

27

26

26

총수행연구과제수

37

35

34

31

30

24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1.4

1.5

1.5

1.1

1.2

0.9

8

한국조세
재정

연구원

연구원수

33

30

27

31

31

31

총수행연구과제수

40

37

32

40

47

36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1.2

1.2

1.2

1.3

1.5

1.2

9

한국여성
정책연구원

연구원수

71

88

93

92

90

91

총수행연구과제수

115

129

129

120

120

112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1.6

1.4

1.3

1.3

1.3

1.2

10

한국

직업능력

연구원

연구원수

109

107

126

129

130

130

총수행연구과제수

188

140

204

147

156

139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1.7

1.3

1.6

1.1

1.2

1.0

11

통일
연구원

연구원수

33

35

35

36

33

30

총수행연구과제수

34

35

38

35

41

36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1.03

1.00

1.09

0.97

1.24

1.20

12

한국개발
연구원

연구원수

50

51

52

50

53

48

총수행연구과제수

62

59

60

50

52

39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1.2

1.2

1.2

1.0

1.0

0.8

13

산업
연구원

연구원수

76

87

84

104

98

104

총수행연구과제수

123

96

105

98

101

65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1.62

1.10

1.25

0.94

1.03

0.63

14

한국농촌

경제연구원

연구원수

72

61

66

64

59

55

총수행연구과제수

160

134

145

156

139

113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2.2

2.2

2.2

2.4

2.4

2.1

순번

기관명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7

15

한국형사

법무정책

연구원

연구원수

38

39

40

38

43

43

총수행연구과제수

37

34

37

33

31

37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0.97

0.87

0.92

0.86

0.72

0.86

16

과학기술

정책

연구원

연구원수

68

66

70

73

72

71

총수행연구과제수

41

39

39

43

45

40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0.6

0.6

0.6

0.6

0.6

0.6

17

에너지

경제

연구원

연구원수

75

68

64

65

70

67

총수행연구과제수

48

41

33

39

42

34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0.6

0.6

0.5

0.6

0.6

0.5

18

한국행정

연구원

연구원수

53

38

42

46

45

46

총수행연구과제수

39

28

29

23

26

24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0.7

0.7

0.7

0.5

0.6

0.5

19

한국청소년

정책

연구원

연구원수

36

42

40

41

41

39

총수행연구과제수

24

25

23

23

25

24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0.6

0.5

0.5

0.5

0.6

0.6

20

한국교통

연구원

연구원수

93

91

99

97

109

109

총수행연구과제수

59

51

53

60

61

45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0.6

0.5

0.5

0.6

0.5

0.4

21

국토
연구원

연구원수

102

103

113

113

120

121

총수행연구과제수

60

57

58

58

63

57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0.59

0.55

0.51

0.51

0.53

0.47

22

건축공간
연구원

연구원수

26

45

51

56

62

61

총수행연구과제수

34

31

31

39

35

38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1.3

0.7

0.6

0.7

0.6

0.6

23

KDI

국제정책

대학원

연구원수

40

40

41

40

42

42

총수행연구과제수

14

12

14

16

18

17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0.3

0.3

0.3

0.4

0.4

0.4

24

한국해양

수산

개발원

연구원수

115

155

158

163

163

168

총수행연구과제수

40

60

65

65

64

69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0.4

0.38

0.41

0.4

0.39

0.41

25

정보통신

정책

연구원

연구원수

62

59

60

63

61

60

총수행연구과제수

24

16

16

18

15

19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0.4

0.3

0.3

0.3

0.2

0.3

26

한국교육
과정

평가원

연구원수

164

161

159

160

160

166

총수행연구과제수

47

48

34

39

42

40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0.2

0.2

0.2

0.2

0.2

0.2

합계

연구원수

1,760

1,822

1,871

1,943

1,975

1,975

총수행연구과제수

1,988

1,960

2,076

2,095

2,124

1,747

연구원1인당수행연구과제수

1.1

1.1

1.1

1.1

1.1

0.9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 연구기관 국내외 학술지 논문게재 실적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소계

2022.7

국내정책전문지(비등재포함)

237

202

175

220

211

1,045

93

한국연구재단등재(후보)

879

873

893

967

1,006

4,618

384

국외전문학술지

40

50

49

31

31

201

13

국제전문학술지

195

204

210

238

258

1,105

81

기타

2

4

8

3

-

17

9

소계 (A)

1,353

1,333

1,335

1,459

1,506

6,986

580

박사급 인력() (B)

1,433

1,468

1,474

1,520

1,558

7,453

1,524

연구원1인당 게재 편수(건수/) (A/B)

0.94

0.91

0.91

0.96

0.97

0.94

0.38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하동세계차엑스포 성대한 개막…31일 대장정
자연의 향기, 건강한 미래, 차(茶)! 하동 차(茶)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차 산업의 저변 확대를 위한 2023 하동세계차엑스포가 개막식을 갖고 31일간의 대장정에 올랐다. 하동세계차엑스포조직위원회는 4일 오후 엑스포 제1행사장인 하동스포츠파크 주무대에서 박완수 경남도지사, 하승철 하동군수, 강병중 민간조직위원장,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김진부 도의회 의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막식을 치렀다. 이날 개막한 엑스포는 ‘자연의 향기, 건강한 미래, 차!’라는 주제로 내달 3일까지 하동스포츠파크(제1행사장)와 하동야생차문화축제장(제2행사장) 일원에서 열린다. 엑스포 조직위원장 자격으로 개회사를 맡은 박완수 도지사는 “이번 엑스포를 통해 하동 차의 진수를 알리며, 미래 차 산업의 중심으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며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하동 야생차가 세계인들의 사랑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정황근 농림부장관은 “하동 차는 신라 시대부터 왕실 진상품으로 우수한 맛과 품질을 이어오며, 세계중요농업유산에 등재돼 차에 대한 지역민의 자긍심도 높아졌다”며 “이번 엑스포가 차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어 하동 차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진주시, 봄철 농번기 농촌일손돕기 전개
진주시는 본격적인 영농철을 맞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농촌일손돕기 추진기간으로 정하고, 일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가를 대상으로 봄철 농촌 일손돕기를 실시하고 있다. 봄철 농촌일손돕기는 농촌지역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농촌 내 자체 노동력 확보가 곤란해 일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농가를 찾아 집중 지원함으로써 적기영농 실현과 함께 농촌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추진된다. 전 읍면동에 ‘농촌일손돕기 창구’를 개설·운영하고 있으며, 지원 대상은 진주시 내 농업인으로 고령농·장애·부녀자·독거 농가 등 소외계층 농가이다. 특히 과수·밭작물 등 수작업 인력을 많이 필요로 하는 농가를 우선 선정해 지원한다. 주요 일손 돕기 작업은 단감 솎기, 밭작물 수확 등 기계로 대체할 수 없고 노동력을 많이 필요로 하는 농작업이다. 시는 농가 자체적으로 해결 가능한 인력을 제외하더라도 일손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범시민적인 농촌일손돕기 운동 전개와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공무원을 비롯한 군부대,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여러 봉사단체 등이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농촌일손돕기 참여 분위기 조성을 위해 진주시청 공무원들이 일손 부족 농가를 찾아 일손 돕기에 참여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