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데이터허브 구축을 통해 데이터 장벽을 허문다.
인천광역시는 행정내부에서만 활용되던 데이터를 민간에게도 개방해서 활용할 수 있도록 2024년까지‘인천데이터허브’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시와 군·구, 산하기관에서 각각 생산·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중 공유·개방이 가능한 원천데이터를 한데 모아 대학, 기업, 연구소 등 민간에서도 활용 할 수 있도록 공유·개방하는 사업이다.
지금까지는 행정에서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공공데이터포털을(http://www.data.go.kr) 통해 민간에 제공해 왔지만, 대부분 통계성 데이터로 실시간 업데이트가 불가해 수요자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으며, 여러 가지 제약사항으로 지역 대학과 연구기관의 원천 데이터의 공유요청에도 부응할 수 없었다.
인천시는 이같은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공유플랫폼, ‘인천데이터허브’를 구축해 행정, 복지, 교통, 문화, 도시 분야 등 시와 산하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한곳에 모아 개방한다는 방침이다.
수집한 데이터는 수요에 맞게 가공, 분석해 민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시는 올해 정보시스템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2023년에서 2024까지 2년에 걸쳐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노연석 시 데이터혁신담당관은 “데이터가 경쟁력이 되는 시대에 대학, 기업, 연구기관, 시민 등 민간에게 고품질의 데이터를 제공해 데이터를 통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참고> 1. 인천데이터허브 사업개요
2. 인천데이터허브 체계도
참고1 | | 인천데이터허브 사업개요 |
○ (사업기간) 2022년~2024년(3개년)
○ (사업내용)
- 데이터 저장소 구축(시, 군·구, 산하기관 데이터 수집)
- 빅데이터 통합플랫폼 고도화(수집 데이터 활용·분석)
- 인천데이터포털 고도화(데이터 개방·공유)
○ (연차별 추진계획)
구분 | | 1차년도(2022년) | ➜ | 2차년도(2023년) | ➜ | 3차년도(2024년) |
| | | | | | |
목표 | | 계획수립 및 설계 | | 1단계 구축사업 | | 2단계 구축사업 |
세부 사업 | | 데이터허브구축 설계용역(ISMP) 수집대상 데이터 조사 | | 데이터 저장소 구축(1차) 빅데이터 통합플랫폼 구축(1차) 인천데이터포털 구축(1차) | | 데이터 저장소 구축(2차) 빅데이터 통합플랫폼 구축(2차) 인천데이터포털 구축(2차) |
※ 정보시스템 마스터플랜(ISMP ISMP(Information System Master Plan) SW 개발사업에 대한 상세분석과 RFP를 마련하기 위해 업무 및 정보기술에 대한 현황과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기능점수 도출이 가능한 수준까지 상세하게 기능적 · 기술적 요건을 기술하며, 구축전략과 이행계획을 수립
) 결과에 따라 세부사업내용 및 일정은 변경될 수 있음
○ (2022년 사업개요)
- 사 업 명: 인천데이터허브 구축 정보시스템 마스터플랜(ISMP) 수립용역
- 사업기간: 2022. 5월 ~ 10월
- 사업내용
· 인천데이터허브 발전 방향성 수립
· 인천데이터허브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 설계
· 인천데이터허브 목표 시스템 설계
· 인천데이터허브 구축 설계 및 실행 계획 수립
1)ISMP(Information System Master Plan) SW 개발사업에 대한 상세분석과 RFP를 마련하기 위해 업무 및 정보기술에 대한 현황과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기능점수 도출이 가능한 수준까지 상세하게 기능적 · 기술적 요건을 기술하며, 구축전략과 이행계획을 수립
참고2 | | 인천데이터허브 체계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