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청(청장 최병암)과 충청북도(행정부지사 서승우)는 생명자원(바이오)산업과 임산업이 상생하고 산림생명자원(천연물질)의 안정적·체계적인 공급거점인 ‘충북「산림바이오센터」’을 개청하였다.
○ 국내 생명자원(바이오)산업계에서는 의약품, 화장품 등의 생산을 위한 생명자원(바이오) 원료에 대한 수요가 많지만, 국내 생산·공급체계가 미약하여 천연원료물질의 67% 이상을 해외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 이에 천연물질 수요에 맞춰 임가에서 안정적으로 원료물질을 공급할 수 있는 지역 기반(플랫폼)을 2019년부터 조성하고 있다.
□ 충청북도 옥천에 위치한「산림바이오센터」는 옥천묘목특구산업단지와 연계하여 산림생명자원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목표로 추진한 <스마트 산림바이오 혁신성장거점> 사업 중 산업화 지원을 담당하는 핵심 기반시설이다.
○ 산림바이오센터①를 주축으로 종자공급 및 양묘기술 센터②, 대량생산을 위한 생산단지③ 등의 주요시설이 거점 역할을 수행한다.
* 선정 지자체 1차기(중부권 / 조성지역 : 충북 옥천 / 사업기간 : 2019년~2021년)
2차기(서부권 / 조성지역 : 전남 나주 / 사업기간 : 2020년∼2022년)
3차기(남부권 / 조성지역 : 경남 진주 / 사업기간 : 2021년∼2023년)
4차기(북부권 / 조성지역 : 강원 춘천 / 사업기간 : 2022년∼2024년)
□ 또한, 국제적으로 생물자원 이용에 관한 국제협약으로서 생물다양성협약(CBD,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의 부속 의정서인 나고야의정서가 2014년 발효(2017년 국내 발효)되면서 국가 간 생물자원 주권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 나고야의정서 : 생물다양성협약(CBD)의 목적인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과 유전자원의 이용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익의 공정하고 공평한 공유를 실현’하기 위한 국제적 약속
○ 국내에서도 코로나 이후 시대의 전략산업으로서 생명자원(바이오)산업과 관련 소재산업의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어 국가 차원의 투자도 확대하고 있다.
○ 특히 산림청에서「산림바이오센터」와 함께 추진하고 있는 산림 생명자원 소재 발굴 연구개발(R&D) 사업이 유용성분의 개발과 산업화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는 산림 생명자원을 기반으로 한 생명자원(바이오)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 3월 24일에 치러진 개청식에는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최병암 산림청장, 서승우 충청북도 행정부지사 등 최소한의 인원이 참석했으며, 행사는 건립 경과보고, 유공자 표창 및 감사패 수여, 기념사 및 축사, 기념식수, 테이프 자르기(커팅), 청사시설 관람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 개청식에 참석한 최병암 산림청장은 “세계 생명자원(바이오)산업의 급성장과 함께 매년 생명자원(바이오) 원료의 수요는 증가하고, 나고야 의정서 발효에 따라 생물자원의 주권 확보에 대한 각국의 움직임이 첨예한 상황이다”라면서, “「산림바이오센터」가 우리나라 산림생명자원의 고부가가치 창출과 더불어 생명자원(바이오)산업계와 임업인의 상생 협력체계를 공고히 하여 활기찬 지역사회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해주길 기대한다.”라고 축사를 전하였다.
붙임 | | 2022년 스마트 산림바이오 혁신성장거점 조성사업 참고자료 |
사업개요
❍ (사업목적) 바이오산업계의 천연물질 수요와 임가의 안정적 공급을 연계하고, 연구기관 참여를 통한 품종개량·재배기술 개발 체계 구축
❍ (사업연도) 2019년∼2024년(개소별 3년간, 1∼4차기)
❍ (사 업 비) 총 800억원(국비 520억원) / 개소당 200억원(국비 130억원)
사업내용
❍ (산림바이오 비즈니스센터) 바이오산업계의 천연물질 수요를 파악, 공급 가능한 산림ㆍ임가를 연계하고 연구 지원하는 등 산업화 지원*
* 주요 산림바이오자원 생산현황 파악 및 산림바이오 수요처 발굴 등 정보 구축, 산림바이오 관련 기업․농가 기술 지원, 품종별 유용성분 검사․안전성 평가 등 지원
❍ (종자공급 및 양묘기술 센터) 노지ㆍ온실 재배장, 종자 저장고 등을 구축, 유망 품종의 우량 종자ㆍ묘목 보급 및 재배기술 교육
❍ (생산단지) 주변 산림ㆍ임가에 재배기반 구축을 통해 원료식물 대량 생산단지(포지 조성, 관정ㆍ관수, 울타리 및 저장창고 등) 조성
산업화 지원 | | 기술개발ㆍ보급 | | 공급체계 구축 |
| | | | |
산림바이오 비즈니스 센터 | | 종자공급 및 양묘기술 센터 | | 종자ㆍ묘목 생산단지 |
| | | | |
ㅇ 산림바이오 수요-공급 정보체계 구축 ㅇ 임가 지원ㆍ판로 개척 유통지원 → 정보수집, 연구지원 등 | | ㅇ 바이오산업 원료식물 우량 종자ㆍ묘목 공급 ㅇ 재배기술 개발ㆍ보급 → 노지ㆍ온실 재배장, 종자저장소 등 | | ㅇ 임가 공급이 가능하도록 종자ㆍ묘목 대량 증식 → 주변 산림ㆍ임가에 묘목ㆍ 채종 기반시설 구축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