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0 (목)

  • 맑음동두천 14.8℃
  • 맑음강릉 13.5℃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5.3℃
  • 구름조금대구 16.8℃
  • 구름많음울산 13.2℃
  • 맑음광주 13.8℃
  • 구름조금부산 14.5℃
  • 맑음고창 10.2℃
  • 맑음제주 12.7℃
  • 맑음강화 10.3℃
  • 맑음보은 15.2℃
  • 맑음금산 15.1℃
  • 맑음강진군 13.5℃
  • 맑음경주시 12.9℃
  • 구름조금거제 14.7℃
기상청 제공

산림청, 전국산불 일출과 동시에 산불진화헬기 104대 투입

- 주요 보호지역(원전, 가스저장소, 금강송, 민가 등) 중심으로 산불진회헬기 투입 -


□ 산림청 중앙산불방지 대책본부는 동해안 지역에 발생하고 있는 산불을 진화하기 위해 일출과 동시에 산불진화헬기 104대와 산불진화차 777대, 산불진화대원 14,835명을 투입해 산불진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 진화중(6) >

- 경북 울진군 북면 두천리 289(3.4. 11:17 발생)

- 강원 영월군 김삿갓면 외룡리 23-1(3.4. 12.45 발생)

- 강원 강릉시 옥계면 남양리 1491(3.5. 01:41 발생)

- 경기 안산시 상록구 장상동 산19-1(3.5. 13:50 발생)

- 부산 금정구 회동동 산 5-1(3.5 01:42 발생)

- 대구 달성군 가창면 오리 산 39-2(3.5 19:15 발생)

< 투입자원 >

산림헬기투입현황

- 경북 울진군·강원 삼척시 : 산불진화헬기 50(산림 31, 국방 13, 소방 3, 경찰 1, 국립공원 1)

- 강원 강릉시·동해시 : 산불진화헬기 29(산림 12, 국방 13, 소방 4)

- 강원 영월군 : 산불진화헬기 11(산림 10 경찰 1)

- 부산 금정구 : 산불진화헬기 3(산림 1 소방 2)

- 경기 안산시 : 산불진화헬기 6(산림 5 소방 1)

- 대구 달성군 : 산불진화헬기 5(산림 3 소방 2)

 

지상진화자원현황

- 울진군·삼척시 : 산불지화차 : 327 / 산불진화대원 : 4,101

- 강릉시·동해시 : 산불지화차 : 354/ 산불진화대원 : 9,030

- 강원 영월군 : 산불진화차 : 22/ 산불진화대원 : 766

- 경기 안산시 : 산불진화차 : 20/ 산불진화대원 : 297

- 부산 금정구 : 산불진화차 : 36/ 산불진화대원 : 276

- 대구 달성군 : 산불진화차 : 18/ 산불진화대원 : 365

               

□ 산림당국은 바람이 잦아드는 아침에 주요지역(원전, 가스저장소, 송전설비, 소광리 금강송, 울진읍 등)을 중심으로 진화할 계획이다.

 

□ 산림당국에 따르면 경북 울진군 6,324명, 강원 강릉시 95명, 강원 동해시 580명의 주민이 인근 대피시설로 대피중이고, 울진·삼척산불의 경우 산림 11,711ha가 소실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또 피해현황은 울진·삼척지역 463개소, 강릉·동해 87개소의 시설물피해를 보았다고 설명했다.

 

□ 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042-481-4119) 남태헌 차장은 산불진화를 위해 가용한 지상·공중진화자원을 총동원할 계획이며, 신속 정확한 상황 판단 아래 유관기관 합동·공조를 통해 안전하고 신속하게 진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 물 투하하는 대형헬기 >


< 연기속으로 들어가 물 투하하는 초대형헬기 >


< 지상주간진화사진 >


< 지상야간진화사진 >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포탄과 눈물이 멈춘 자리, 민초의 힘으로 평화를 되찾다… 매향리평화기념관, 21일 개관
54년의 상처를 딛고 피어난 평화…‘매향리평화기념관’ 21일 정식 개관화성시 우정읍 매향리, 한때 하늘에서 포탄이 쏟아지던 사격장이 ‘평화’를 기원하는 공간으로 다시 태어난다. 화성특례시는 지난 54년간 폭격의 아픔을 간직한 매향리에 ‘매향리평화기념관'을 조성하고 오는 21일 정식 개관한다고 밝혔다. 개관식은 21일 오후 1시 30분, 매향리평화기념관 1층 다목적홀에서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을 비롯해 도·시의원, 화성특례시민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될 예정이다. 매향리평화기념관은 미 공군사령부의 사격훈련장이었던 ‘쿠니사격장(Koon-Ni Range)’의 일부 시설을 보존하고 세계적인 건축가 마리오 보타(Mario Botta)의 손길을 더해 지하 1층, 지상 2층의 규모로 완성됐다. 매향리평화기념관은 ‘평화의 길, 희망의 바다’를 비전으로 하고 있다. 전시 구성에도 이를 반영해 쿠니사격장 존치 건물은 역사를 기억하는 공간(평화의 길)으로 기념관은 치유와 존중을 통한 평화를 약속하는 공간(희망의 바다)으로 조성했다. 기념관 외부는 회랑과 추모의 위령비, 물이 흐르는 수(水) 공간 등을 마련해 매향리 주민들의 아픔을 공감하고 치유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김영록 지사, “지역-대학 동반성장이 미래번영 해법”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10일 목포대학교에서 열린 ‘국가중심 국·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에 참석해 전남을 찾은 전국 회원교 국공립대 총장들을 환영하고,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을 통한 미래 번영을 강조했다. 국가중심 국·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가 주최하고, 2025년 회장교인 국립목포대학교(총장 송하철)가 주관한 이번 행사에는 전국 12개 국·공립대 총장과 교육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협의회에서는 2025년 제26대 협의회장으로 선출된 송하철 총장을 중심으로 국가장학금 Ⅱ유형의 효율적 집행과 불용액 최소화 방안을 주요 안건으로 심도있게 논의했다. 김영록 지사는 축사를 통해 “국·공립대 총장협의회가 지역과 상생하는 교육 생태계 구축에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며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이야말로 지방소멸위기를 극복하고 미래번영을 이룰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해상풍력, 신재생에너지, 우주항공, 이차전지, 애니메이션 등 도정 현안과제를 대학과 함께 동반 추진하고, 우수한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도 적극 나서는 등 대학의 성장을 돕고 있다”며 “또한 국가적 지원도 건의하는 등 지방대학을 살리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학이 지방소멸 극복의 한 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