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4 (월)

  • 흐림동두천 4.5℃
기상청 제공

행복나눔재단, 광주시-광주장애인종합지원센터와 휠체어 사용 장애 아동·청소년 지원 협약

장애 아동 이동권 증진을 위한 ‘휠체어 사용 아동 이동성 향상 프로젝트’ 협약 체결광주 지역 6~18세 휠체어 사용 아동·청소년 대상 맞춤형 이동보조기기 지원 예정




2022년 2월 22일 (뉴스와이어) -- SK 사회공헌재단인 행복나눔재단(이사장 최기원)은 2월 21일 광주시(시장 이용섭), 광주장애인종합지원센터(상임이사 유현섭)와 ‘휠체어 사용 아동 이동성 향상 프로젝트’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광주시청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이상현 행복나눔재단 세상파일 팀장, 이용섭 광주시장·이달주 복지건강국장, 유현섭 광주장애인종합지원센터 상임이사 등이 참석했다. 

세상파일은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사회문제 해결 솔루션을 개발하는 행복나눔재단 사업이다.

휠체어 사용 아동 이동성 향상 프로젝트는 이동에 제약이 있는 6~18세 뇌 병변·지체 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이동성 향상을 위해 맞춤형 이동보조기기와 안전 사용 교육을 제공하는 행복나눔재단의 사회변화 프로젝트다. 

2019년부터 현재까지 전국 약 1900명의 아동이 참여했다.행복나눔재단과 광주시, 광주장애인종합지원센터는 이번 협약을 통해 광주 지역 내 6~18세 휠체어 사용 아동·청소년을 발굴하고 맞춤형 수동 휠체어와 전동키트 장착 휠체어 200대(5억원 상당)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상현 행복나눔재단 세상파일 팀장은 “광주시와 광주장애인종합지원센터의 긴밀한 협력에 감사드린다”며 “휠체어 사용 아동 및 청소년이 더 자유롭고 행복하게 이동하며 성장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 운영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휠체어 사용 아동 이동성 향상 프로젝트는 상상인그룹(대표 유준원)이 프로젝트 파트너로 함께하고 있다. 상상인그룹은 2018년 세상파일과 업무 협약을 맺고 프로젝트 지원 기금 후원은 물론 홍보 캠페인 등 더 많은 아동 및 청소년이 지원받게 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6~18세 아동 및 청소년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휠체어 지원이 필요한 아동 및 가족은 프로젝트 전용 웹사이트를 방문해 신청할 수 있다. 

웹사이트에서는 △프로젝트 지원 현황 △참여 아동 및 청소년의 생생한 후기 △프로젝트 참가자 대상 추가 지원 프로그램 등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포토뉴스

1 / 9

기획이슈

더보기
‘양평읍에 관광 세포 이식’… 양평군, 구도심 일으키는 ‘도시재생’ 집도한다
양평군의 최대 생활권인 양평읍이 남한강과 용문산을 잇는 관광허브로 거듭난다. 남한강을 끼고 있는 기존 거주구역을 친수공간으로 재정비하고 원도심의 관광콘텐츠를 확장시켜 정주여건이 한층 개선된 양평읍 인구 4만 시대를 맞이한다는 구상이다. 양평군은 양평읍을 정주형 관광자원으로 변모시키는 ‘양평읍 관광자원화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2025년 3월말 기준 양평읍 인구는 3만7천782명으로, 인구 4만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양평군은 물안개공원 Y자형 출렁다리 조성, 127 테라스에 그린 양평다운타운 사업, 남한강 야간 경관조명 사업, 양근천 청계천화 사업 등을 통한 도시재생으로 ‘양강문화벨트’를 만들고 이를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킨다는 계획이다. 먼저 양평읍 친수공간의 랜드마크 역할을 할 ‘Y자형 출렁다리’는 양강섬·떠드렁섬·물안개공원을 강 위에 떠 있는 출렁다리로 연결하고 기존에 출입이 불가헀던 떠드렁섬 내 산책로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경기도 지역균형발전 사업 선정으로 68억원의 도비를 확보해 사업추진의 부담을 일찍이 덜었다. 민선8기 출범 이후 남한강 친수공간 구상을 추진해 지난해 7월 군 대표단을 꾸려 경상남도 거창군을 방문, 항노화 힐링랜드의 Y자형 출렁

포토뉴스

1 / 9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함평군, 2025년 하계 전략작물 직불금 등 놓치지 말고 신청하세요!
전남 함평군(군수 이상익)이 벼 재배면적 714.9ha 감축을 목표로 쌀 수급 안정과 농가 소득 증대를 위한 다양한 지원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함평군은 11일 “전략 작물 직불제(하계작물), 논 타작물 재배 지원사업, 벼 재배면적 조정제도 등 각종 지원을 희망하는 농업인은 오는 5월 30일까지 농지 소재지 관할 읍·면사무소에서 신청할 수 있다”고 밝혔다. 군은 ▲전략작물 직불제(하계작물) ▲논 타작물 재배 지원사업 ▲벼 재배면적 조정제도 ▲총체벼 생산단지 조성 시범사업 등 다각적인 정책을 통해 구조적 공급 과잉 문제를 해소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전략작물 직불제’는 벼 재배면적 축소 및 타작물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벼를 재배하던 논에 두류, 가루쌀, 조사료 등 하계 전략 작물을 1,000㎡ 이상 재배하는 농업인에게 직불금을 지원하는 제도다. 품목별 지원 단가는 ▲하계 조사료(총체벼, 수단그라스 등) 500만원/㏊ ▲가루쌀·두류 200만원/㏊ ▲옥수수·깨 100만원/㏊ ▲동계 밀·조사료를 재배하였던 필지에 하계 두류·가루쌀을 이모작하는 경우 100만원/㏊을 추가 지급한다. ‘논 타작물 재배 지원사업’은 벼 대신 식용 옥수수, 깨,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