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내년도 산림·임업분야 연구개발 추진에 1,493억 원 투입

- 올해보다 15.8% 증가해 역대 최대폭 증액, 8개 신규 사업에 240억 원 반영 -


 산림청(박종호 청장)은 2021년도 산림·임업분야 연구개발(R&D) 예산을 올해보다 15.8% 늘어난 1,493억 원으로 확보했다. 개청 이래 최대 예산 증가액으로, 최근 10년간 약 2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최근 변화하는 국제 정세와 산림·임업분야의 혁신을 위해 중·장기적 투자전략 마련과 예산 구조조정을 통한 재원 마련으로 적극적인 신규 사업을 발굴·추진한 까닭이다.

 내년도 신규 사업은 케이(K)-포레스트 4대 새 일상 추진전략을 안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기획·추진하였다. ▲디지털·비대면 기술의 산림분야 도입, ▲산림산업 활력 촉진, ▲임업인 소득 안전망 구축 ▲기후위기 시대 지속가능한 산림관리

   내년 신규 연구개발 사업으로 ▴지능형(스마트) 산림경영 혁신성장 기술개발, ▴농림해양기반 지능형 건강관리(스마트 헬스케어) 기술개발, ▴산림분야 재난·재해의 현안 해결형 연구개발 등 총 8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신규 사업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낙후된 전통 임업을 탈피하고자 ‘산림작업 혁신 및 지능형(스마트) 소득 창출 기술’에 56억 원을 편성했다. 노동집약적인 벌채와 숲가꾸기, 조림 등과 같은 산림작업을 첨단화하고, 임산물 최적 유통·소비 체계 등을 구축하여 임가 소득을 증가시키는 것이 목적이며,

   전통적 기술의 산림산업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무인기(드론) 등과 같은 4차 산업 기술을 접목하여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스마트 양묘, 산악용 입는 로봇 장비, 인공지능(AI) 기반 임산물 수급·가격 예측 시스템 등과 같은 기술개발로 새롭게 산림산업의 활력과 임업인의 소득안전망을 구축할 예정이다.

   생명 건강(바이오헬스) 분야에는 ‘농림해양기반 지능형 건강관리(스마트 헬스케어) 기술개발’ 사업에 53억 원을 편성했다.

   건강 수명시대를 맞아 질환 예방 중심의 보건·의료 건강관리 서비스를 연계·확산하기 위해 산림치유 물질 개발과 효능 규명과 빅데이터 공유·활용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본 사업의 주요 내용이며, 다부처 협업사업*으로 추진될 계획이다. 향후 건강관리 특전(인센티브) 제도와 연계하여 의료비 절감이 본 사업의 최종 목표이다.
      * (주관) 산림청  (협동) 해양수산부, 농촌진흥청
   다음으로 기후변화와 산림생태계 파괴로 인한 산불·산사태·산림병해충을 예방하고 재난·재해 발생 시 신속한 대응과 복구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산림 분야 재난·재해 대응’ 사업에 38억 원을 편성하였다.

   최근 대형 산불과 돌발 홍수, 매미나방 창궐 등 이상기후와 산림생태계 파괴 등으로 피해 규모가 점점 확산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재난·재해 요인에 대한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사전예측을 통해 과학적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등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본 사업의 목적이다.

   그 밖에도 기후변화 대응 산림생물 반응 시설,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 활용 등 5개 역점 사업을 포함한 총 240억 원 규모의 신규 사업을 편성하여 추진한다.

   한편, 국회에 제출된 정부안 예산은 정기국회에서 상임위 예비심사, 예결위 본심사와 본회의 의결을 통해 12월 최종 수정·확정될 예정이다.
   향후 추진일정으로 ’21년도 신규과제 공고·접수(9.28∼10.27, 1개월간)*하여 12월 말까지 서면·대면 평가를 거쳐 협약대상 과제를 선정할 계획이다. 
      * (온라인접수) http://ftis.forest.go.kr(산림과학기술정보시스템, FTIS)(우편 접수) 서울시 강서구 화곡로 66길 58 한국임업진흥원 연구개발 관리·실용화센터
 산림청 이미라 산림산업정책국장은 “코로나19로 어려운 경제 여건 속에서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 확대로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하려 한다”라고 말하며, “임업인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산림·임업 분야 연구개발을 위해 지속해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2020년 산림분야 연구개발(R&D) 사업 소개 자료

      
개 요
  ❍ (근거) 「산림기본법」 제24조(임업기술의 진흥),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34조 및 시행령 제32조(산림과학기술 기본계획의 수립ㆍ시행 등)

  ❍ (역할) 산림자원의 조성ㆍ육성, 산림자원의 이용, 산림자원의 공익기능 증진 등과 관련된 산림과학기술의 연구개발을 촉진

  ❍ (예산) 1,289억원(연구과제비 1,049억원)

 R&D 사업의 종류

  1. 주요 R&D (1,049억원)
   (1) (본청 - 출연 연구개발사업) 공모절차를 통해 대학, 중소기업 등 민간에 출연 연구개발비를 지원하는 사업(150과제/374억원/ ’20년)

     ◦ (지정공모) 특정 목표를 위행 연구주제 및 내용을 정하여 공모
     ◦ (자유공모) 연구기관(또는 연구자)이 자유롭게 연구개발 계획 응모

구 분

지정공모

자유공모

과제수

금액(억원)

과제수

금액(억원)

과제수

금액(억원)

신규과제

52

131.6

61

91.5

113

223.1

계속과제

22

98.4

15

43.5

37

141.9

74

230.0

76

135.0

150

365.0

* 2020년도 사업 기준 // 기평비(8.9억원) 미포함

 (2) (소속연구기관 - 고유 연구개발사업) 국립산림과학원, 국립수목원이 자체 연구비로 직접 연구를 수행하는 R&D 사업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과학연구 등 5개 사업 (105과제, 509억원)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종연구사업 등 2개 사업 (32과제, 166억원)
  2. 일반 R&D (240억원)
   ◦(국립산림과학원 인건비) 산림과학 기술개발을 위한 산림과학 연구인력 확보 지원 및 연구서비스 제공(207억원)

   ◦(국립산림과학원 기본경비) 산림과학 기술개발을 위한 산림과학연구 등 연구사업 수행지원 경비(31억원)

   ◦(산림과학연구 공적개발원조) 국제임업연구센터(CIFOR) 부담금 지원 및 연구협력을 위한 ODA 사업(2억원)


 산림청 연구개발(R&D)의 구성

 

본청

출연 연구개발사업

소속 연구기관

고유 연구개발사업

정의

민간의 역량을 활용하여 과제를
지정하거나 자유 공모를 통해 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출연하는 사업

소속연구기관(국립산림과학원, 국립수목원)이 소관 시험연구비로 직접 수행하는 사업

연구영역

응용 / 개발 연구

기초(원천) / 응용 연구

예산 비목

출연금

시험연구비

수행 주체

대학, 출연연, 산업계 등 민간

국립산림과학원, 국립수목원

성과물

논문, 특허, 매출액, 신기술 등

논문, 특허, 정책제안 보고서 등

성과 소유

연구수행기관

(과학기술기본법 제11조의3)

국가 소유

  

참고 1

 

산림청 R&D 예산 현황

 
최근 10년간 R&D예산 추이
                                                                                            (단위 : 억원, %)

연도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산림청
R&D예산

800

844

909

958

1,077

1,040

1,038

1,093

1,187

1,289

1,493

전년대비 증가율(%)

4.0%

5.5%

7.7%

5.4%

12.4%

3.4%

0.2%

5.3%

8.6%

8.6%

15.8%

     

2021년 신규사업 반영 현황(정부안 기준)                              (단위 : 백만원)

구 분

’21년 신규사업

주요내용

합 계

24,035

 

스마트 산림경영
혁신성장 기술개발

5,615

K-Forest 전략 지원을 위한 산림산업 활력 촉진 및
임업인 소득안전망 구축 지원

농림해양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개발 및 확산

5,284

건강관리 인센티브 제도와 연계가능한 농림해양 치유자원(물질) 헬스케어 기술개발

산림분야 재난·재해의 현안
해결형 연구개발

3,677

산사태 방안 등 재난·재해에 대한 전략적 대응과
현안해결을 위한 R&D 지원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의 고효율 활용

2,250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 활용 신재생에너지 개발로 그린뉴딜정책 지원

농림위성 융합 지능형 산림특화정보 기반연구

2,400

농림위성 활용 산림빅데이터(산악기상망, NFI )융합을 통한 산림특화정보(Forest IR : Forest Information Innovation Renaissance) 응용 생산기술로 신산업 생태계 조성

다부처 국가생명연구자원
선진화 사업

1,400

산림종자 특화 거점은행 운영 및 소재맞춤형 R&D 지원

기후변화 대응 산림생물반응 연구시설

3,109

인위적 조절을 통한 산림생태계 반응 측정·분석이 가능한 챔버구축(유리온실)으로 미래 기후변화 대비 맞춤형 산림자원 개량 및 산림관리 지표 개발

열대·아열대 임업기술개발
공적개발원조

300

이탄지 복원을 통해 국가 온실가스 감축 기여

신남방 지역 바이오에너지 활용모델 개발로 지역사회 발전 기여


참고 2

 

2020년 산림과학기술분야 주요 R&D 연구비 및 과제수

(단위 : 백만원)

구 분

세 부 사 업

’20년 예산

(백만원)

과제 수

합계

신규

계속

종료

합 계

104,880

287

152

89

46

본청

소계

37,408

150

113

20

17

Golden Seed 프로젝트

1,000

1

-

1

-

산림생명자원 소재 발굴연구

3,901

22

22

-

-

신기후체제 대응 연구

2,090

8

4

-

4

산림융복합 전문인력 양성

4,534

7

4

3

-

- 대학()생 창의도전 아이디어 연구지원

 

30

30

-

-

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관리 기술개발

300

1

-

1

-

미세먼지 국민 아이디어 R&D 사업

1,600

6

-

6

-

차세대중형위성개발(농림위성)

7,995

-

-

-

-

임업기술연구개발('16일몰)

1,270

2

-

1

1

융복합기반 임산업의 신산업화 기술개발

4,644

20

-

8

12

목재 자원의 고부가가치 첨단화 기술개발

4,894

23

23

-

-

산림과학기술 실용화 지원 사업

5,180

30

30

-

-

국립산림

과학원

소계

30,845

105

22

57

26

산림과학연구

39,175

89

22

43

24

산림분야 기후변화 대응연구

360

2

-

2

-

기후영향 적응연구

6,193

7

-

5

2

자연재해 대응 영향예보 생산기술 개발

1,283

3

-

3

-

미세먼지 대응 도시숲 연구

3,850

4

-

4

-

국립

수목원

소계

16,611

32

17

12

3

산림생물종연구

13,448

25

17

5

3

정원산업 기반 구축연구

3,163

7

-

7

-


참고 3

 

K-포레스트 비전 및 4대 뉴노멀 전략

  

 

비 전

 

 

 

 

 

 

숲에서 찾는 새로운 일상

숲으로 나아지는 살림살이! 숲과 함께 쓰는 새로운 미래!”

   

연평균 28천명 고용효과


 

4차 산업혁명+임업


 

생활권 산림교육치유 참여 : (25) 연간30만명, (30) 연간50만명



< 4대 뉴노멀 전략, 16대 중점과제 >

4대 뉴노멀 전략

 

중 점 과 제

 

 

 

디지털비대면 기술의 산림분야 도입

 

산림데이터 활용을 위한 디지털 산림경영 기반구축

첨단기술을 접목한 산림복지서비스 접근성 향상

지능형 산림재해 관리로 촘촘한 안전망 구축

비대면 산림행정 및 산림서비스 확대

 

 

 

저성장 시대, 산림산업 활력 촉진

 

친환경 시장 개척으로 임산업 활성화

도심권 숲을 활용한 생활 속 면역력 증진

숲을 활용한 바이오 생명산업관광 등 신산업 지원

소외계층을 품는 공공일자리 및 산림형 사회적경제일자리 확대

 

 

 

임업인의 소득안전망 구축

 

경제림육성단지 재편으로 경영구조 선진화

산림소득정책 발굴로 임업인 소득 보전

산림임업분야 세제개편으로 산림경영 활성화

임업경영 임지의 적정 규모화 등 경영구조 개선

 

 

 

기후위기 시대의 지속가능한 산림관리

 

산림의 탄소 흡수감축 기능 증진으로 기후변화 대응

국제사회와 그린연대로 K-포레스트 확산

(New)산림재해 대책으로 기후재난 피해 최소화

자연과 공존을 위한 산림생태 및 평화체계 구축



참고 4

 

스마트 산림경영 혁신성장 기술개발사업 추진배경 및 전략

     

추진 배경

 ❍ ’70년대 치산녹화 이후 산림관리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 심는 정책에서 출발하여 가꾸고 누리는 정책으로 발전

’73’87

’88’97

’98’07

’08’17

’18’37

(null)

치산녹화

임업활성화

숲가꾸기

산림복지

사람중심일자리

심는 정책

소득증진 정책

가꾸는 정책

누리는 정책

자원순환 정책 

   

❍ ‘산림자원 순환경제’의 관점에서 지역사회의 발전과 산림관리를 동시에 이루어내야 할 시점

 * 산림자원 순환경제 : 산림자원의 ‘조성→육성→생산→유통→소비’의 선순환체계 구축을 기반으로 산림과 지역사회의 지속성을 추구하는 경제구조


 추진 전략

 ❍ (목적) 4차 산업혁명 견인기술 융복합을 통해 전통임업의 혁신 성장동력 창출 및 임가소득 향상

 ❍ (주요내용) 

   ① 산림 빅데이터 활용 조성·육성 및 디지털 산림경영 기반 구축 

   ② 숲가꾸기, 벌채 등 노동집약적 산림작업의 첨단화 기반 구축

   ③ 친환경 소재이자 먹거리인 목재·임산물의 유통·소비 촉진

사업 추진 체계

 

 

비전

 

KOREA FORESTRY 4.0

스마트 산림융합 기술개발을 통한 산림분야 경영혁신 도약기반 구축

 

 

 

 

 

 

 

사업

목적

 

산림자원의 조성육성생산관리 고도화를 위한 지능화정밀화 구현

원격조작자율주행형 임업기계 개발과 시스템 구성을 통한 자동화효율화 구현

임가소득 향상을 위한 임산물의 품질관리 및 최적 유통·소비 체계 구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3f0224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77pixel, 세로 36pixel

 

 

추진

단계

 

1단계(2021~2022)

2단계(2023~2025)

 

스마트 산림경영 응용기술

개발 및 확보

스마트 산림경영 응용기술의

고도화 및 산업화 기반조성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3f0224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77pixel, 세로 36pixel

 

 

핵심

분야

세부

기술

 

중점분야

세부개발기술

 

산림경영 혁신

기술 개발

산림자원의 조성·육성의 스마트화 및 산림경영 현대화

산림자원 육성을 위한 숲가꾸기 및 생산기술 첨단화

스마트산림 소득창출 기술 개발

임산물의 품질관리 및 최적 유통·소비 체계 구축

 


○ (산림경영) 산림자원의 조성·육성의 스마트화 및 산림관리 현대화

  - ICT·AI 기반 생육환경 최적제어 스마트팜·스마트양묘 운영기술 개발

  - 모바일 및 ICT 기술을 접목한 정밀 산림데이터 수집・관리 기술 개발

  - 드론 및 3D 스캐닝 기술을 활용한 산림자원 해석기술의 고도화


○ (산림작업) 빅데이터, IoT 등을 활용한 숲가꾸기 및 자원생산 시스템 첨단화

  - 임업기계의 자동화·무인화 및 원격제어 시스템 개발

  - 빅데이터를 활용한 작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 3D 스캐닝, VR/AR 기반 임목생산 및 수확 예측기술 개발


○ (소득창출) 스마트산림 소득창출 기술 개발

  - 임업인 소득향상을 위해 임산물 이력관리, 품질인증 시스템 개발


참고 5-1

 

농림해양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개발 및 확산(R&D)’사업 기술·내역별 연계도



참고 5-2

 

다부처특위 선정사업과 부처협의체 공동사업과의 연계


참고 6

 

산림분야 재난·재해의 현안해결형 연구개발사업 추진전략


 추진 배경

 ❍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온난화 및 이상기후가 심화되는 가운데 산림 재난재해로 인한 국가적 피해 증가

   * 산불 : (최근 10년) 440건, 857ha → (’18년) 496건, 894ha → (’19년) 653건, 3,255ha

   * 산사태 : 연평균 강수량은 20세기 초반과 비교하여 약 19%(220㎜) 증가

   * 산림병해충(소나무재선충병 발생 시·군(개소)) : (’16.4) 98 → (’17.4) 109 → (‘18.4) 117


 ❍ 산림 재난재해의 예방·대응 기술 개발 및 실증을 통해 국민의 쾌적하고 안전한 삶 도모를 위한 연구개발 시급

   * 사업범위 : 산림분야 3대재해(산불·산사태·산림병해충) 및 산림동물 서식지관리


 추진 내용

 ❍ 산림분야 3대 재해(산불, 산사태, 산림병해충)를 예방·대비하고 재난의 발생 시 신속 대응 및 사후 복구, 종합관리를 위한 단계별 4차산업혁명 견인기술 융복합 연구개발 추진


  ① (산불·산사태) 

     산불·산사태의 감시·모니터링[예방] / 예측 및 예·경보 시스템 구축[대비] / 신속 대응체계 구축[대응] / 복구·관리 의사결정 지원[복구]

  ② (산림병해충, 산림동물 서식지 관리)

     고사목 탐지·모니터링[예찰] / 현장· 신속 확진기술 개발[진단] /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방제] / 산림동물 유형별 서식지 관리·조성 기술[서식지관리]


 기대효과

 ❍ 국민이 체감하는 산림 재난·재해 예방·대비·대응·복구 체계 마련을 통해,


   * 국민의 안전기본권 확보 및 삶의 질 개선의 공익가치 실현

   * 국가 중요자산인 산림 생태계의 보전 및 사회경제적 비용 경감


사업 추진 체계

비전

 

산림 재난재해 예방·대응 기술개발 및 실증을 통한
산림생태계 보전과 공익가치 실현

목표

 

산림 자연재해(산불·산사태)의 예방·대비·대응·복구 기술 개발

산림병해충의 예찰·진단·방제 및 산림동물 서식지 관리 기술 개발

추진
전략

 

(전략방향 1) 산림재해 현안해결을 위한 실천지향적 사업기획

(전략방향 2) 산림 이해관계자 참여방식의 과제 발굴 및 추진

(전략방향 3) 기후변화 및 국내 산림특성 반영 맞춤형 기술개발

(전략방향 4) 목표지향형 추진방식 및 연구성과 활용도 제고

 

 

중점 추진분야

 

 

 

중점연구분야

 

세부과제

 

 

 

산불, 산사태의 예방·신속대응 및 관리

 

(예방) 산불·산사태의 감시·모니터링 기술 개발

(대비) 산불·산사태의 예측 및 신속대응을 위한 예·경보 시스템 구축

(대응) 산불·산사태의 피해 최소화를 위한 신속 대응 체계 구축

(복구) 피해 평가기술 및 복구·관리를 위한 의사결정 지원 기술 개발

 

 

 

산림병해충의 예찰·진단·방제 및 산림동물 서식지 관리

 

(예찰) 영상 기반의 소나무류 고사목 탐지 및 모니터링 기술 개발

(진단) 산림병해충의 현장진단이 가능한 신속 확진기술 개발

(방제) 소나무재선충병 등 수목 병해충의 친환경 방제기술 개발

(서식지관리) 산림동물의 유형별 서식지 관리·조성 기술 개발

 

 

 

기대효과

 

국민이 체감하는 산림 재난·재해 대비체계 마련

문제해결·대응 수준 향상

사회문제 해결을 통해 국민 삶의 질 향상 및 재산 피해 저감

재해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경감


참고 7

 

2021년도 신규과제 선정 공고문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