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험기간 중 하천과 바다 수위 >
< 평상시 수문 운영 > | < 상시개방 기간 수문 운영 > |
특히, 먼바다에서 부화한 뱀장어 치어가 하천으로 회귀하는 시기에 수문개방이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 관찰하고, 재첩과 같은 저서생물 등의 이동 여부도 살펴볼 예정이다.
붙임 1 | | 낙동강 하굿둑 현황 |
□ 하굿둑 시설 개요
❍ (취수장) 물금·매리·원동 등 주요 취수원이 상류 25∼30km에 위치 ❍ (양수장) 서낙동강 유역 양수장 19개소(상류 15km에 위치한 대저수문을 통해 낙동강 본류 담수가 유입) ※ 낙동강하굿둑 ∼ 창녕함안보 구간 취·양수장 총 81개소 |
붙임 2 | | 낙동강 하굿둑 개방 1·2차 실험결과 |
구 분 | 1차 실험(‘19.6.6) | 2차 실험(‘19.9.17) | |||||||||
개방시간 | 38분 (22:41 ∼ 23:19) | 51분 (09:50 ∼ 10:41) | |||||||||
개방수문 | 하굿둑 좌안 8번 수문 | 하굿둑 좌안 8번 수문 | |||||||||
해수유입 | 64만톤 | 101만톤 | |||||||||
염분침투 (예측/결과) | 3km / 7km (하천 최저층 기준) | 9.3km / 8.8km (하천 최저층 기준) | |||||||||
침투속도 | 상류 5km 도달 7시간 소요 | 상류 5km 도달 6시간 소요 | |||||||||
침투양상 | 하천의 표층과 중층의 염분 변화는 크지 않고, 최저층에 가라앉아 역경사 지형(하굿둑 상류로 갈수록 수심↑)을 따라 침투 | ||||||||||
| |||||||||||
수질 | · 온도, DO, pH, 퇴적상 등의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음 · 탁도는 크게 개선(14.7 FTU → 7.8 FTU, 47% 감소) | ||||||||||
지하수 | 단기 해수유입에 따른 염분농도는 평상시 변화 범위 이내 | ||||||||||
구조물 안전 | 역방향의 단기 해수유입시 진동 및 압력이 발생하였으나, 허용기준 이내 변화로 수문 안전성에 큰 영향은 나타나지 않음 |
붙임 3 | | 3차 실험 모니터링 계획 |
□ (하천·해양 염분) 고정식 염분도계(내측5, 외측3), 이동식 선박, 바지선, 실시간 관측장치(부산시, K-water) 이용
□ (지하수) 수문개방 전·후 207개소 관측정의 염분변화 관측, 염분변화가 큰 지하수 관정은 동위원소 분석 실시(해수유입 기인여부 확인)
□ (수생태) 어류포획, 수중카메라 촬영, e-DNA 분석
□ (기타) 하굿둑 상·하류 수질(수온, 밀도, pH, 용존가스), 퇴적물(탁도, 부유물질 농도), 유량계, 시설물 안전영향 파악을 위한 변위량계·가속도계 설치
[염분 및 수질 모니터링 정점] | [어류 모니터링 정점] |
붙임 4 | | 질의/응답 |
1. 1·2차 실험과 3차 실험의 차이점은? |
ㅇ 지난해 1·2차 실험은 수문 1기를 1시간 이내로 개방(일회성 해수유입)하여 해수가 유입되었을 때 그 거리를 예측하는 모델(염분침투 모델)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음
- 단기개방 실험이었기 때문에, 생태계 영향을 관찰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음
ㅇ 3차 실험은 해수가 여러 번 유입(불연속, 연속)되었을 때 염분침투 양상을 관찰·분석하고 염분침투 모델을 고도화하는 한편, 장시간 개방하였을 때 생태계 변화를 관찰해보고자 함
2. 지난 실험에 비해 개방시간도 길고 해수도 많이 유입되는데 상류 취수에 영향이 발생하지 않는 것인지?
|
ㅇ 전체 실험기간 29일(6.4∼7.2) 중에 실제 해수가 유입되는 기간은 두 번의 대조기*이며, 그 외 기간은 담수가 방류됨
* 6.4∼6.8 일평균 1시간 내외, 6.19∼6.25 일평균 3시간 내외 해수유입 예상
- 하굿둑 상류의 하천 수위를 유지하고, 대저수문*(상류 15km 위치)이하로 해수가 유입되도록 실험을 설계
ㅇ 하굿둑 상류 15km에 위치한 대저수문을 통해 낙동강 본류의 담수가 서낙동강으로 유입되어 부산시 강서구, 경남 김해시 등의 농업용수로 활용되고 있어 양수장에도 영향이 발생하지 않음
- 주요 취수원(물금, 매리, 원동 등) 또한 하굿둑 상류 25km 이상 위치 해있어 실험으로 인한 취수영향도 발생하지 않음
3. 상시개방 기간(6.9∼7.2) 동안 수문을 완전히 개방하지 않고 일부만 개방하는 이유는? |
ㅇ 수문 1기를 완전히 개방하여 상시개방할 경우, 다량의 해수가 유입되어 대저수문 이상(15km) 염분이 침투하여 서낙동강 유역 양수장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 담수가 장시간 방류(하굿둑 내측 → 외측)되어 하굿둑의 하천 수위 저하로 인해 하굿둑 상류 취수장의 취수영향이 우려됨
ㅇ 따라서, 수문개방은 일부만 개방하도록 조절하여 해수유입 거리는 대저수문 이하로 해수가 유입되도록 하고
- 하천 수위는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수문은 일부만 개방하였음
붙임 5 | | 전문용어 설명 |
ㅇ 기수역(Brackish water zone, 汽水域)
- 강물(담수)과 바닷물(해수)이 만나 염분의 농도가 강물보다는 높고 바닷물보다는 낮게 나타나는 강의 하구 일대
ㅇ 대조기·소조기(spring tide and neap tide, 大潮期·小潮期)
- 약 15일 마다 삭 또는 망일 때 일어나는 조차가 큰 조석을 대조기, 상현 또는 하현일 때 일어나는 조차가 작은 조석을 소조기라 함
ㅇ 수치해석(Numerical analysis, 數値解析)
- 어떠한 문제를 수학적 이론이나 기법 등으로 접근하여 수치적인 계산을 통해 그 해답을 찾는 연구 방법, 흔히 실제 모형이나 현상 등을 모델화(모형화)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 해석·분석하는 것
ㅇ 환경대응용수(環境對應用水)
- 하천의 수량이 풍부할 경우 댐의 하천유지용수 방류량을 줄여 비축한 후 녹조 등 하천의 수질문제가 발생할 경우 사용하기 위한 용수
ㅇ e-DNA(Enviornmental-DNA)
- 해양생물이 서식 공간에 남긴 다양한 형태의 유전적 흔적(배설물, 분비물, 비늘, 어란 등)을 분석하여 해양생물의 이동경로 등을 파악하는 연구 방법
ㅇ 치어(Juvenile fish, 稚魚)
- 알에서 깬지 얼마 안되는 어린 물고기로 물에 흐름의 정지 혹은 출입하는 힘을 가지는 크기의 어류
ㅇ 저서생물(Benthos, 底棲生物)
- 수층 바닥의 퇴적물 내부나 표면 혹은 그 근처에 서식하는 생물로 조개류, 갯지렁이류, 해조류 등이 이에 속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