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LH, 올해 첫 행복주택 2,670호 입주자 모집

구리수택 등 수도권 1,894호, 대전상서 등 지방권 776호 총 2,670호 공급
5월 7일(목)~18일(월) LH 청약센터를 통해 신청 접수, 8월중 당첨자 발표

 
LH(사장 변창흠)는 전국 6개 단지 총 2,670호에 대해 올해 첫 행복주택 입주자 모집을 시작한다고 7일 밝혔다.

  행복주택은 청년·신혼부부 등 젊은 계층과 주거취약계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으로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60~80% 수준이다. 대학생과 청년은 최대 6년, 신혼부부는 최대 10년, 고령자·주거급여수급자는 최대 20년까지 거주가 가능하다.

  이번 모집은 수도권의 구리수택지구 등 3곳 1,894호와 지방권의 대전상서지구 등 3곳 776호로 총 6곳 2,670호가 대상이다.
                                                                       

< ’201차 행복주택 입주자모집 지구 및 호수 >


지역

모집지구

호수

모집지구

호수

모집지구

호수

수도권

구리수택

394

파주운정

1,000

김포마송

500

지방권

부산모라

390

대전상서

296

봉화해저

90


  이번에 공급하는 행복주택 중 구리수택(394호)은 지하철 8호선 토평역(‘23년 개통 예정)과 인접 및 30분 이내 서울권 접근이 가능해 교통이 편리하고, 단지 근처에 다수의 편의시설과 기반시설이 있어 입주자의 생활 편의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단지형 행복주택인 대전상서(296호)는 대덕 제3‧4일반 산업단지 및 대덕 테크노밸리, 대덕연구단지 인근에 공급되는 행복주택으로 무주택세대구성원(미혼인 경우 무주택자)인 산업단지 근로자에게 우선 공급해 근로자들의 주거불안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올해 실수요자 주거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입주자격이 완화됐다. 맞벌이 신혼부부의 경우, 소득요건이 기존 월평균소득의 100%에서 120%로 확대됐고, 고령자·주거급여수급자에 대한 거주지 요건과 무주택기간 요건이 삭제됐다.

  또한 작년 말 관련법이 개정됨에 따라, 소득기준이 기존에는 1~3인이하 가구에서 동일하게 적용됐으나 올해 3월부터는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이 적용돼 1·2인 저소득 가구의 입주기회를 확대했다.

   * 1인가구 2,645,147원, 2인가구 4,379,809원, 3인가구 5,626,897원
  
  행복주택 청약 전 ‘LH 청약센터(apply.lh.or.kr)’ 또는 ‘마이홈포털(www.myhome.go.kr)’의 ’행복주택 자가진단‘을 활용하면 행복주택 계층별 소득‧자산 등을 기준으로 입주 가능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청약접수는 5월 7일부터 18일까지 LH 청약센터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앱을 통해 가능하며, 8월 중 당첨자 발표 예정이다.

  LH는 고령자 등 인터넷 취약계층을 위해 현장접수도 병행한다. 다만 방문고객 분산을 위해 청약접수기간을 12일로 늘렸으며, 마스크 착용 필수 안내 및 손소독제 비치, 거리간격 유지 등 코로나19 방역 지침을 준수할 예정이다.

  행복주택 모집 관련 기타 자세한 사항은 LH 청약센터에 게시된 공고나 마이홈포털을 참고하거나 마이홈 콜센터(1600-1004)에 문의하면 된다.

  LH 관계자는 “이번 모집을 시작으로 올해 행복주택 1.9만호에 대한 입주자 모집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향후 신혼희망타운 행복주택(위례, 서울 양원 등 1,753호), 일자리연계형 행복주택(고양삼송, 동대구벤처 등 4,997호) 등 주거비 부담을 겪고 있는 청년·신혼부부 등을 위한 행복주택 공급을 적극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LH 행복주택 입주자 모집 계획


붙임 1

 

LH '201분기 행복주택 입주자 모집공고 단지


                                                                       

모집지구

위치

입지여건

입주

(예정)

구리수택

(394)

경기도 구리시 수택동 852

기존 구리 구도심 내 위치하여 정주요건 우수

구리-포천고속도로 및 토평IC를 통한 서울접근성 양호

부양초, 구리중고등학교를 비롯하여 우체국, 행정복지센터 등 다수의 공공편의시설이 단지 500m이내에 입지

‘21.08

파주운정3

A25BL

(1,000)

경기도

파주시

동패동

1218 일원

수도권 2기신도시 파주운정 공공주택사업지구 내 위치

3.6거리에 야당역(경의·중앙선)이 있고, 자유로, 2자유로, 지방도 56호선 및 M-Bus 등 광역 교통수단을 활용한 서울 도심접근성 양호하며, 향후 GTX-A노선 운정역 개통 예정

200m거리에는 제2자유로(삽다리 IC)가 위치

1Km 내 공원, 학교, 도서관, 주민센터, 소방파출소, 우체국 등이 입지하고 있어 생활환경 우수

’21.03

김포마송 B-5BL

(500)

경기도 김포시 통진읍

마송리 579번지 일원

통진IC를 통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진입이 용이하고 48번국도를 통해 서울시 진입이 가능

지구 내 광역버스노선 및, 김포도시철도(구래역) 30분거리(버스)

소방서, 우체국, 도서관, 행정복지센터 및 등 공공시설과 통진시장, 은행, 마트 등 생활편의시설이 1km이내에 입지

’21.04

부산모라

A-1BL

(390)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 1366-2

부산2호선 모덕역(0.4km), 버스정류장(500m이내 23개소 입지)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고 부산서부터미널, 남해고속도로등 인접하여 지역간 접근성 양호

모라도시첨단산단, 사상공업단지, 부산과기대, 신라대등 인접

단지 앞 모덕초, 기 조성된 주거중심지로 생활편의시설

’21.05

대전상서

(296)

대전광역시 대덕구 상서동 146-11번지

경부고속도로 신탄진IC(1.8km), 회덕JC(2.1km), 신탄진역(경부선, 3km)이 인접하여 교통편리, 대중교통 다소 불편

2km 권역내에 하나로마트, 현대프리미엄아울렛(20.6월 예정), 3km 권역내에 행정복지센터, 병원, 전통시장 등 공공편의시설이 갖추어져 있음.

‘20.11

봉화해저

1블록

(90)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해저리 104-2

봉화읍에 위치하고 있으며, 군청과 도보 10분 거리에 위치

단지 바로 앞에 버스정류장이 위치, 도보 10분 거리에 봉화공용터미널 위치

반경 300m내에 봉화역이 위치, 반경 600m내에 봉화시외 버스터미널이 위치해 대중교통 양호

반경 600m내외로 봉화시장, 우체국, 마트, 병원 등의 편의시설이 위치해 있어 생활환경 양호

‘21.11


                  

붙임 2

 

LH '201분기 행복주택 단지별 공급일정

    

입주자모집공고 : 4.27()

                                                                 

본부

지구

블록

공급

호수

청약접수

당첨자발표

계약일

입주월

 

6개 지구

 

2,670

 

 

 

 

서울

구리수택

1

394

5.7~5.18

8.14

8.258.27

‘21.08

인천

파주운정3

A25

1000

5.7~5.18

8.14

8.248.28

‘21.03

인천

김포마송

B-5BL

500

5.7~5.18

8.14

8.269.1

‘21.04

부산

울산

부산모라

A1

390

5.7~5.15

8.12

8.248.27

‘21.05

대전

충남

대전상서

1

296

5.8~5.18(일반)

5.8~5.29(우선)

8.5

8.178.21

‘20.11

대구

경북

봉화해저

1

90

5.14~5.21

8.12

8.268.28

‘21.11

   

* 코로나19 추이 및 지역본부 상황에 따라 지구별 일정 상이할 수 있습니다.

   

붙임 3

 

LH '201분기 행복주택 단지별 위치도

                                                                구리수택(394)

                                                  

                                              파주운정3 A25(1,000)



                                                          김포마송 B-5(500)


부산모라(390)


대전상서(296)


봉화해저(90)



붙임 4

 

행복주택 입주자 선정기준 요약(공공주택특별법 시행규칙 별표5)


행복주택 입주자 선정기준


                                                          

계층

입주 자격 (모집공고일 기준)

일반 사항

소득 및 자산

대학생

미혼인 무주택자로서 대학교 재학(입학, 복학 예정)중 이거나, 대학고등학교를 졸업중퇴 후 2년 이내의 취업준비생

(소득)본인부모합계 소득이 평균소득1)100% 이하

(자산)본인 총 자산 0.78억원, 자동차 미소유

청년

미혼인 무주택자로서 만 1939이거나 소득활동 기간이 5년 이내인 사람 또는 퇴직 후 1년 이내의 자 중 구직급여 수급 자격이 있는 자

(소득)본인 소득이 평균 소득 80% 이하(세대 100%이하)

(자산)본인 총자산 2.37억원, 자동차 0.247억원

신혼부부

·

한부모가족

무주택 세대구성원(예비신혼부부는 무주택자) 으로서 결혼 7년 이내인 사람(예비신혼부부 포함)

 

무주택 세대구성원으로서 6세 이하 자녀(태아포함)를 둔 한부모가족

(소득)세대소득이 평균소득의 100% 이하, 맞벌이 120%이하

(자산)세대내 총자산 2.88억원, 자동차 0.247억원

고령자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서 65세 이상인 사람

(소득)세대 소득이 평균소득의 100% 이하

(자산)세대내 총자산 2.88억원, 자동차 0.247억원

주거급여

수급자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서 주거급여수급대상자인 사람

(소득)세대소득이 중위소득의 44% 이하

(자산)소득인정액 평가 시 반영

산단

근로자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서 인근(연접 시군 포함) 산업단지의 입주기업 등에 재직중인 사람

(소득)세대소득이 평균소득의 100% 이하

(자산)세대내 총자산 2.88억원, 자동차 0.247억원

 

 주1) 도시근로자가구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 (3인 기준 예시) : 100% 562만원, 120% 675만원


 주2) 청년, 신혼부부․산단근로자(부부 중 1인), 한부모가족은 입주 전까지 청약통장 가입 필요하며 예비신혼부부는 입주 전까지 혼인사실을 증명하여야 함

      

□ 거주 기간 : 대학생, 청년, 산단근로자6, 신혼부부·한부모가족610, 주거안정지원 계층(취약노인계층)20


  * 대학생․청년이 거주 중 취업․결혼 시 최대 10년까지 허용,신혼부부·한부모가족은 자녀가 없는 경우 6년, 1명 이상인 경우 10년

 

붙임 5

 

LH '201분기 행복주택 단지별 공급호수 및 임대조건

                                                                             

지구

(호수)

평형

()

계층

공급호수

()

임대조건

(천원)

최대전환

임대조건(천원)

우선

일반

보증금

임대료

전환

보증금

임대료

구리수택

(394)

16

청년(소득)

116

116

-

28,220

125

(+)

40,220

65

(-)

5,220

182

청년(소득)

-

29,880

132

(+)

43,880

62

(-)

4,880

194

주거급여

수급자

30

30

-

24,900

110

(+)

33,900

65

(-)

3,900

162

26

청년(소득)

20

20

-

43,180

191

(+)

65,180

81

(-)

7,180

281

청년(소득)

-

45,720

202

(+)

69,720

82

(-)

7,720

297

주거급여

수급자

22

22

-

38,100

168

(+)

58,100

68

(-)

6,100

248

고령자

36

36

-

48,260

213

(+)

73,260

88

(-)

8,260

313

36

신혼부부·

한부모

140

140

-

68,400

302

(+)

104,400

122

(-)

11,400

445

고령자

20

20

-

64,980

287

(+)

98,980

117

(-)

10,980

422

주거급여

수급자

10

10

-

51,300

227

(+)

78,300

92

(-)

8,300

334

김포마송

B-5

(500)

16

대학생

160

-

80

11,135

55

(+)

11,135

55

(-)

3,135

75

청년

80

11,790

58

(+)

11,790

58

(-)

2,790

80

36

대학생

64

-

32

25,204

124

(+)

37,204

64

(-)

5,204

174

청년

32

26,686

131

(+)

40,686

61

(-)

5,686

184

신혼부부·

한부모

122

61

61

29,652

146

(+)

45,620

61

(-)

6,652

203

고령자

36

18

18

28,169

138

(+)

43,169

63

(-)

6,169

193

주거급여

수급자

50

25

25

22,239

109

(+)

31,239

64

(-)

5,239

152

44

신혼부부·

한부모

55

27

28

37,228

183

(+)

58,228

78

(-)

8,188

255

기존거주자

1

1

37,228

183

(+)

58,228

78

(-)

8,188

255

고령자

12

6

6

35,366

174

(+)

55,366

74

(-)

7,366

244

파주

운정3

A25

(1,000)

14

A·B

대학생,

274

-

137

13,600

62

(+)

13,600

62

(-)

3,600

87

청년

137

14,400

66

(+)

15,400

61

(-)

3,400

94

29

A1·A2

고령자

24

12

12

30,400

139

(+)

45,400

64

(-)

6,400

199

29

B1·B2

대학생

88

-

44

27,200

125

(+)

39,200

65

(-)

6,200

177

청년

44

28,800

132

(+)

42,800

62

(-)

5,800

190

주거급여

수급자

80

40

40

24,000

110

(+)

34,000

60

(-)

5,000

158

36

A1·A2

고령자

40

20

20

38,000

174

(+)

58,000

74

(-)

8,000

249

36

B1·B2

청년(소득)

112

56

56

34,000

156

(+)

52,000

66

(-)

7,000

223

청년(소득)

36,000

165

(+)

55,000

70

(-)

8,000

235

신혼부부·

한부모

130

65

65

40,000

183

(+)

61,000

78

(-)

9,000

261

주거급여

수급자

20

10

10

30,000

138

(+)

45,000

63

(-)

7,000

195

44A

고령자

36

18

18

47,880

219

(+)

73,880

89

(-)

9,880

314

44B

신혼부부·

한부모

196

98

98

50,400

231

(+)

77,400

96

(-)

10,400

331

부산모라

A-1

(390)

16

대학생

207

-

54

14,681

78

(+)

17,681

63

(-)

2,681

108

청년

153

15,544

83

(+)

19,544

63

(-)

3,544

113

기존거주자

13

13

-

17,272

92

(+)

23,272

62

(-)

3,272

127

26A

대학생

27

-

27

23,035

123

(+)

35,035

63

(-)

5,035

168

청년

-

24,390

130

(+)

38,390

60

(-)

4,390

180

주거급여

수급자

31

-

31

20,325

108

(+)

29,325

63

(-)

4,325

148

고령자

9

-

9

25,745

137

(+)

40,745

62

(-)

4,745

190

기존거주자

29

29

-

27,100

145

(+)

43,100

65

(-)

5,100

200

26B

고령자

22

-

22

25,745

137

(+)

40,745

62

(-)

4,745

190

44

신혼부부·

한부모

10

-

10

46,476

248

(+)

75,476

103

(-)

8,476

343

기존거주자

42

42

-

46,476

248

(+)

75,476

103

(-)

8,476

343

대전상서

(296)

16A

대학생·청년(소득)

92

-

46

13,566

70

(+)

15,566

60

(-)

3,566

95

청년(소득)

-

14,364

74

(+)

16,364

64

(-)

3,364

101

산업단지

근로자

46

15,960

82

(+)

19,960

62

(-)

3,960

112

26A

청년(소득)

49

-

24

20,128

103

(+)

28,128

63

(-)

4,128

143

청년(소득)

-

21,312

110

(+)

31,312

60

(-)

4,312

152

산업단지

근로자

25

23,680

122

(+)

35,680

62

(-)

5,680

167

신혼부부·

한부모

-

23,680

122

(+)

35,680

62

(-)

5,680

167

26B

고령자

15

-

15

22,496

116

(+)

33,496

61

(-)

5,496

158

36A

청년(소득)

140

-

55

27,574

142

(+)

43,574

62

(-)

5,574

197

청년(소득)

-

29,196

150

(+)

47,196

60

(-)

6,196

208

산업단지

근로자

70

32,440

167

(+)

52,440

67

(-)

7,440

230

신혼부부·

한부모

-

32,440

167

(+)

52,440

67

(-)

7,440

230

고령자

-

15

30,818

159

(+)

49,818

64

(-)

6,818

219

봉화해저

(90)

16

청년(소득)

38

19

19

5,780

41

(+)

5,780

41

(-)

1,780

51

청년(소득)

6,120

43

(+)

6,120

43

(-)

2,120

53

27

청년(소득)

8

4

4

9,180

65

(+)

10,180

60

(-)

2,180

83

청년(소득)

9,720

69

(+)

10,720

64

(-)

2,720

86

고령자

6

3

3

10,260

73

(+)

11,260

68

(-)

3,260

90

37

신혼부부·

한부모

26

13

13

14,800

105

(+)

21,800

70

(-)

4,800

130

주거급여

수급자

6

3

3

11,100

79

(+)

14,100

64

(-)

3,100

99

고령자

6

3

3

14,060

100

(+)

20,060

70

(-)

4,060

125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