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14.3℃
  • 맑음강릉 15.0℃
  • 맑음서울 15.0℃
  • 맑음대전 17.5℃
  • 맑음대구 17.6℃
  • 맑음울산 13.5℃
  • 맑음광주 16.8℃
  • 맑음부산 12.9℃
  • 맑음고창 12.1℃
  • 흐림제주 12.7℃
  • 맑음강화 10.6℃
  • 맑음보은 16.2℃
  • 맑음금산 17.2℃
  • 맑음강진군 14.3℃
  • 구름조금경주시 15.4℃
  • 맑음거제 13.1℃
기상청 제공

경남, 국내 최초 우주부품시험센터 첫 삽!

- 13일(금) 진주시 상평산단, ‘우주부품시험센터 착공식’ 개최...200
여명 참석
- 사업비 271억 원, 부지 5,940㎡, 총 22종의 전문 시험장비 구축


- 우주부품의 성능평가 · 상용화 지원을 통한 국산화 촉진 및 우주산업경쟁력 강화 기여

경남도는 13일 11시, 경남 진주시 상평산단(상대동 328-5)에서 ‘우주부품시험센터 착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착공식에는 한경호 경상남도 지사 권한대행,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김경수 국회의원, 김재경 국회의원, 최진덕 도의장 직무대리, 강민국 도의원, 이창희 진주시장을 비롯해 유관기관 임직원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경남은 국내 유일 완제기 제조업체인 KAI를 중심으로 74개 부품업체가 집적화 되어 있는 ‘국내 최대 항공산업 중심지’로서, 정부 우주항공정책을 선제적으로 실천하는 데 전력을 다하고 있다. 

대통령 지역공약에 ‘진주·사천을 우주항공산업의 메카로 육성’하는 내용이 포함 되었고, 지난해 진주․사천 항공국가산업단지, 항공MRO 사업이 정부로부터 지정받았으며, 오늘 착공하는 우주부품시험센터와 함께 항공전자기 기술센터를 진주에 동시에 유치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우주부품시험센터’는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을 사업추진기관으로 지정하여 총 사업비 271억 원(국비 100억 원, 진주시 56억 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105억 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10억 원)을 투입해 5,940m2부지에 연면적 4,149m2 규모로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건축된다.

미(美) 항공우주국(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과 유럽우주국(ESA: European Space Agency)의 우주시험규격을 충족할 수 있는 총 22종의 시험장비를 구축하여 궤도·발사·전자파환경 등 우주부품에 대한 원스톱 시험평가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한경호 경남도지사 권한대행은 착공식 축사를 통해 “도가 추진하고 있는 우주항공사업들을 차질없이 추진하여, 진주지역은 국가우주산업의 전초기지로서의 입지를 공고히하고, 사천지역은 KAI 주도의 항공산업 중심으로 발전시켜 서부경남지역을 세계적 수준의 국가 우주항공산업의 메카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여수시, 도시재생 사후관리 방안 마련에 앞장
여수시(시장 정기명)가 도시재생 사후관리를 위해 적극 나선다. 도시재생은 쇠퇴한 도시를 재활성화시켜 경제적, 사회적, 물리적으로 부흥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사업 이후 해당 지역이 곧바로 방치되는 사례도 많다. 시는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 도시재생 본연의 취지를 이어가기 위해 주민과의 협력을 통해 극복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우선, 청년 창업가와 협업이다.청년의 마인드와 열정을 주민조직에 투입해 고령화된 주민조직 체계(협동조합 등)에 활력을 불어넣을 방침이다. 특히. 도시재생 거점시설과 연계한 창업환경을 조성해 양질의 일자리도 창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지자체의 협업을 통해 제7기 넥스트로컬 청년 창업가를 유치(2025년 5∼12월)한다. 넥스트로컬은 서울시에서 자체 검증 시스템을 통해 청년(19∼39세) 창업가 100팀(200명)을 선발해 초기 창업지원금 최고 7천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서울시 넥스트로컬 사업 설명회 이들은 지역에 거주하면서 자원조사 활동과 사업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시는 이들에게 도시재생 거점시설(거주·창업 공간)과 지역자원 리스트업, 파트너십 구축, 시제품 제작(메이커 스페이스), 체험 투어 프로그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