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14.3℃
  • 맑음강릉 15.0℃
  • 맑음서울 15.0℃
  • 맑음대전 17.5℃
  • 맑음대구 17.6℃
  • 맑음울산 13.5℃
  • 맑음광주 16.8℃
  • 맑음부산 12.9℃
  • 맑음고창 12.1℃
  • 흐림제주 12.7℃
  • 맑음강화 10.6℃
  • 맑음보은 16.2℃
  • 맑음금산 17.2℃
  • 맑음강진군 14.3℃
  • 구름조금경주시 15.4℃
  • 맑음거제 13.1℃
기상청 제공

4차 산업혁명 선도할 ‘제조로봇기술센터’ 준공

- 국내 최고의 로봇 기술 지원과 로봇산업 발전의 중추적 역할 기대

경남도는 창원 마산합포구 진북산업단지 내 로봇관련 대형 국책사업인 로봇비즈니스벨트 조성사업의 핵심 기능을 담당할 제조로봇기술센터가 5일 준공됐다고 밝혔다.

이날 준공식에는 한경호 도지사 권한대행을 비롯해 안상수 창원시장, 정광식 도의회 경제환경위원회 위원장 등 로봇산업 관계자 및 지역주민 250여 명이 참석하여 준공을 축하했다.

제조로봇기술센터는 총 건축비 71억 원이 투입되었으며, 2016년 12월 착공 이후 2017년 12월에 건축공사가 마무리되어 이날 준공됐다.

제조로봇기술센터는 지상 3층(건축연면적 4,346.86㎡, 부지 9,900㎡)의 규모로 1층은 성능평가실, 연구실, 시험생산동, 2층은 사무실, 회의실, 3층은 기업입주지원실을 갖췄으며, 제조로봇 분야 신뢰성 향상 및 성능평가를 위해 기존 장비 17종 37대와 총 111억 원이 투입된 신규 장비 19종 36대를 단계적으로 도입 설치한다.

이러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제조로봇기술센터는 앞으로 경남 로봇산업 진흥을 위해 로봇 전문기업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성능테스트 및 실증확산까지 원스톱으로 저가격, 고품질의 로봇이 제조․생산 될 수 있도록 본격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한경호 권한대행은 기념사에서 “제조로봇기술센터가 제조로봇 핵심기술을 성장시켜 국내 로봇산업을 이끌고 해외시장 진출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하면서, “내년에 다양한 로봇 기술제품과 콘텐츠가 전시되는 로봇랜드가 개장되고 이 곳 제조로봇기술센터가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지원하게 되면 우리 경남의 로봇산업이 국내 로봇산업의 발전을 견인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제조로봇기술센터는 국책사업인 로봇관련 기반구축, R&D, 기업지원 등으로 이루어지는 로봇비즈니스벨트 조성사업 총 사업비 1,283억 원 중 기반구축사업에 해당된다. 

로봇비즈니스벨트 조성사업은 기반구축 사업 외에 국가 로봇관련 기업의 경쟁력 향상과 제조로봇 신시장 창출을 위하여 고온/고중량, 밀폐/협소, 위생/청결, ICT물류 등 특수제조환경에 적용 가능한 제조로봇시스템 6개 과제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로봇을 필요로 하는 수요기업과 로봇전문 기업이 협력하여 로봇 제조공정 분석 및 실증적용을 강화할 수 있도록 공정연구지원 및 실증확산지원을 각각 매년 10건씩 지원하고 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여수시, 도시재생 사후관리 방안 마련에 앞장
여수시(시장 정기명)가 도시재생 사후관리를 위해 적극 나선다. 도시재생은 쇠퇴한 도시를 재활성화시켜 경제적, 사회적, 물리적으로 부흥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사업 이후 해당 지역이 곧바로 방치되는 사례도 많다. 시는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 도시재생 본연의 취지를 이어가기 위해 주민과의 협력을 통해 극복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우선, 청년 창업가와 협업이다.청년의 마인드와 열정을 주민조직에 투입해 고령화된 주민조직 체계(협동조합 등)에 활력을 불어넣을 방침이다. 특히. 도시재생 거점시설과 연계한 창업환경을 조성해 양질의 일자리도 창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지자체의 협업을 통해 제7기 넥스트로컬 청년 창업가를 유치(2025년 5∼12월)한다. 넥스트로컬은 서울시에서 자체 검증 시스템을 통해 청년(19∼39세) 창업가 100팀(200명)을 선발해 초기 창업지원금 최고 7천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서울시 넥스트로컬 사업 설명회 이들은 지역에 거주하면서 자원조사 활동과 사업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시는 이들에게 도시재생 거점시설(거주·창업 공간)과 지역자원 리스트업, 파트너십 구축, 시제품 제작(메이커 스페이스), 체험 투어 프로그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