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칸두코 댄스 컴퍼니, 12월 3일~4일 내한 공연 가져

‘2017-18 한영 상호교류의 해’ 사전 행사로 개최
장애인과 비장애인 무용수들이 함께 선보이는 혁신적 공연 무대


칸두코 댄스 컴퍼니가 주한영국문화원의 초청으로 12월 3일(토), 4일(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멀티프로젝트홀에서 내한 공연을 갖는다.


칸두코 댄스 컴퍼니 내한 공연은 12월 1일부터 3일까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잉글랜드예술위원회가 함께 주최하는 ‘한영 문화예술 컨퍼런스’와의 연계 프로그램이자 주한영국문화원이 내년 2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진행하는 ‘2017-18 한영 상호교류의 해’의 사전 행사로 개최될 예정이다.


장애인 무용수와 비장애인 무용수로 이뤄진 칸두코 댄스 컴퍼니는 현대무용단으로서 세계를 무대로 20여년간 활동하며 획기적인 공연을 통해 예술과 장애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관객들에게 선사하였다.


주한영국문화원은 이번 공연과 함께 진행되는 컨퍼런스와의 연계를 통해 장애 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알리고 인식 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내한 공연에서 칸두코 댄스 컴퍼니는 안무가 알렉산더 휘틀리(Alexander Whitely)의 작품인 비헬드(Beheld)와 시각예술가 헤타인 파텔(Hetain Patel)의 렛츠 토크 어바웃 디스(Let’s Talk About Dis) 총 두 작품(double bill)을 선보일 예정이다.


비헬드(Beheld)는 시각적으로 훌륭한 무용 작품으로 우아한 동작과 표현력이 뛰어난 움직임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작품과 어우러지는 닐스 프람(Nils Frahm)의 매혹적인 음악은 깊은 울림을 선사한다.






렛츠 토크 어바웃 디스(Let’s Talk About Dis)는 장난스럽기도 하고 친밀한 무용수들의 몸과 성격이 질문을 통해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떤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는 작품이다. 이 공연은 보이는 것을 뛰어넘어 숨겨진 편견, 터무니없는 정치적 올바름 등 보이지 않는 영역을 관객들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칸두코 댄스 컴퍼니 내한 공연은 무료로 진행되며 사전공연 신청자(선착순 등록)에 한해 초대장을 제공할 예정이다. 공연 사전신청은 2016년 11월 21일(월)부터 주한영국문화원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다.


◇2017-18 한영 상호교류의 해


2017-18 한영 상호교류의 해는 2017년 2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서울, 부산, 청주, 전주, 통영 등 전국에서 ‘창의적 미래(Creative Futures)’이라는 슬로건 아래 ‘도시, 디지털기술을 통한 변화와 혁신, 다양성과 통합, 창의 기업가 정신 및 창의 교육’이라는 다섯 가지를 주제를 중심으로 양국의 신진 예술가 육성과 새로운 관객 개발을 위해 다양한 예술적 시도를 전시, 공연, 레지던시, 랩(LAB), 컨퍼런스, 워크숍, 디지털 콘텐츠 등의 형식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영국의 예술과 창조산업 분야를 한국에 소개하고, 한영 예술가들의 국제화 및 지속가능한 파트너쉽 구축, 더불어 양국의 비즈니스, 교육, 과학 분야의 교류 촉진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한다.


주한영국문화원은 1973년 8월 한국에서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어학원, 영국유학 안내, 아이엘츠(IELTS)와 앱티스(Aptis)와 같은 영국 시험 운영 등의 서비스 및 문화예술, 사회적 기업 육성, 국공립 영어교사·특성화 고교 교사 연수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젝트와 교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주한영국문화원의 다양한 행사와 뉴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으며 영국유학 홈페이지 및 소셜 미디어 채널을 통해서도 각종 소식과 이벤트 등이 정기적으로 업데이트 된다.


영국문화원은 문화 관계와 교육기회를 위한 영국의 국제기관이며 영국 및 전 세계 사람들에게 우호적인 지식과 이해를 구축하고 있다. 영국이 보유한 문화적 자원을 활용하여 기회 창출을 통해 삶을 변화시키고 교류를 촉진하며 신뢰를 쌓아 협력하는 국가들에게 긍정적인 기여가 되기를 모색한다. 영국문화원은 전세계 100여개국에 주재하면서 문화예술, 영어교육, 교육 및 사회 분야에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매년 2천만 명 이상의 사람들과 직접 교류하며 5억 명 이상의 사람들을 온라인, 방송, 출판물 등을 통해 만나고 있다. 1934년에 설립된 영국문화원은 영국 왕실 인가 (Royal Charter)의 지배를 받는 자선기관이자 공공기관이다. 영국문화원의 수입 대부분은 프로젝트 수행과 어학원과 시험과 같은 서비스 이용에 따르는 수수료, 교육 및 개발 프로젝트 계약금, 공공 기관 및 일반기업과의 파트너십/스폰서십 지원금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총 기금의 18퍼센트는 영국정부로부터 나온다.


2017-18 한영 상호교류의 해: http://www.britishcouncil.kr/uk-korea-2017-18
영국유학 홈페이지: http://www.educationuk.org/korea
주한영국문화원 블로그: http://blog.britishcouncil.or.kr
주한영국문화원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britishcouncilkorea
주한영국문화원 아트 페이스북: http://https://www.facebook.com/arts.britishcou...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경기도, ‘전국 식품안전·노인영양 전문가 포럼’ 열고 식품정책 논의
경기도는 29일 식품안전과 노인영양 분야의 전문가와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명 테이크호텔에서 ‘전국 식품안전·노인영양 전문가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고령화로 인한 노인 영양 및 식생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해법을 모색하고, 동시에 관련 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경기도 홍보대사 설수진의 진행으로 ▲김도균 경기도식품안전정책지원단 단장의 ‘경기도 식품안전 현황 및 연구·사업’ 발표 ▲정희원 저속노화연구소 소장의 ‘저속노화 식습관과 식품산업의 미래’ 특강 ▲임희숙 경희대 교수(어르신 식생활 실태와 식품안전 및 영양 정책 방향), 김진현 ㈜오뚜기 연구소장(식품안전 및 영양정보 서비스 플랫폼 구축과 활용), 오승현 ㈜정식품 수석연구원(고령친화식품 시장의 성장 가능성과 식품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주제 발표 ▲고령친화식품의 현황과 법적 규제를 주제로 한 패널 토론 등으로 구성됐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안전한 식품과 균형 잡힌 영양 섭취는 건강한 노화를 위한 필수 요소”라며 “경기도는 노인 대상 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지원 확대 등 실질적인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지하철 보조배터리 발화, 승객과 역 직원의 침착한 대응으로 큰 피해 막아
서울 지하철 4호선 전동차 안에서 관광객이 소지한 보조배터리에서 갑작스러운 연기와 발화가 발생했으나, 승객과 역 직원의 침착한 대처 덕분에 인명피해 없이 마무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에 따르면, 지난 27일(수) 밤 10시 21분경 불암산역 방면으로 향하던 열차 안에서 일본인 관광객의 에코백 속 보조배터리에서 연기가 새어 나왔다. 순간적으로 위급한 상황이 벌어졌지만, 인근에 있던 한 남성 승객이 열차 내 비치된 소화기를 사용해 보조배터리에 1차 소화를 시도하고, 동시에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승무 직원에게 상황을 알렸다. 신고를 접수한 승무 직원은 즉시 종합관제센터에 보고했으며, 관제센터는 인접한 이촌역에 화재 대응을 지시했다. 이촌역에서는 김태기 부역장과 서동순 차장이 소화기를 들고 현장에 출동, 열차 내부로 진입했다. 이들은 관광객의 짐과 보조배터리를 열차 밖으로 신속히 옮겨 2차 진화를 진행하는 동시에 승객 100여 명을 안전하게 하차시켰다. 이후 김 부역장은 잔여 발화 위험을 막기 위해 보조배터리를 화장실로 옮겨 물에 담가 완전히 진화시킨 뒤 역사 밖으로 이동시켰다.이 과정에서 불길은 관광객의 에코백과 보조배터리에만 국한되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