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축제를 앞둔 회산백련지 연꽃 만발

무안 연꽃 축제가 열리는 회산백련지에 만개한 백련 -


오는 8월 12일부터 4일간 제20회 무안 연꽃 축제가 열리는 회산백련지에 만발한 하얀 연꽃이 장관이다.
무안군(군수 김철주)이 최대 백련 자생지인 회산백련지를 찾는 관광객에게 한 송이의 연꽃이라도 더 감상할 수 있도록 봄부터 준비한 성과가 축제를 앞두고 8월이 시작되자 초록이 출렁이는 드넓은 연잎의 바다 위에 순백의 연꽃이 수많은 학이 내려앉은 모습으로 흐드러지게 피어나고 있는 것이다.
부여의 궁남지 등 인공으로 조성(인근 논에 연을 심어 조성)한 연지와는 다르게 무안의 회산백련지는 수심 편차가 최대 1.7m고 연꽃과 연잎이 전국에서 가장 큰 품종이며 만생종의 무안백련이 자생하고 있어 매년 7월 말부터 8월 말까지 꽃이 피고 지기를 반복하고 수심의 영향에 따라 일시적으로 개화하지 않는 환경과 특성이 있다.

이러한 환경과 특성을 극복하며 축제에 맞춰 연꽃을 피우기 위해 올해에도 계속해서 수변을 고르고 수위를 낮게 관리하며 적절한 시기에 물을 떼고 대는 세밀한 관리와 무인헬기를 이용해 몇 차례 엽면시비를 하는 등 연꽃이 피기 좋은 조건을 만들어주며 축제 기간에 연꽃이 만발하도록 준비해 왔다고 한다.
또한, 축제가 열리는 시기가 한여름인 점을 고려해 생태관찰데크 다리와 생태탐방로 파고라, 수상유리온실 수상데크 전체 구간, 그늘터널과 우산길 등에 안개분수를 설치해서 시원하게 회산백련지를 둘러볼 수 있도록 배려했다.

무안군 회산백련지시설사업소 관계자는 “회산백련지는 지금 축제를 앞두었던 지난 20년간의 시간 중 가장 꽃이 많이 피는 해를 맞고 있다.”며 “이른 아침에 걸으면 연잎 사이로 핀 수많은 연꽃을 감상할 수 있고 수련공원에 전시한 열두 마리의 학과 각종 수련이 어우러져 핀 광경, 자줏빛 신비한 가시연꽃, 밤의 여왕 빅토리아수련을 더불어 감상할 수 있다. 바람개비동산과 우산길, 수만 송이의 해바라기, 시원하게 조성한 수상유리온실, 신비로운 야간조명 등 지난해 보다 더 다채롭게 축제를 준비했다.”고 말했다.
한편, 불볕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피어나는 무안백련은 꽃잎이 처음에는 가장자리가 연한 분홍빛을 띠다가 점차 순백이 되는 연꽃으로 꽃대를 세워 꽃잎을 펼치는 순간에는 액포(液胞, vacuole)의 색 발현으로 가장자리가 연한 분홍색을 띠다가 점점 꽃을 활짝 피우면서 액포가 작아지고 색소가 분해되어 화청소(化淸素, anthocyan)가 감소하며 순백의 연꽃이 된다고 한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경기도, ‘전국 식품안전·노인영양 전문가 포럼’ 열고 식품정책 논의
경기도는 29일 식품안전과 노인영양 분야의 전문가와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명 테이크호텔에서 ‘전국 식품안전·노인영양 전문가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고령화로 인한 노인 영양 및 식생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해법을 모색하고, 동시에 관련 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경기도 홍보대사 설수진의 진행으로 ▲김도균 경기도식품안전정책지원단 단장의 ‘경기도 식품안전 현황 및 연구·사업’ 발표 ▲정희원 저속노화연구소 소장의 ‘저속노화 식습관과 식품산업의 미래’ 특강 ▲임희숙 경희대 교수(어르신 식생활 실태와 식품안전 및 영양 정책 방향), 김진현 ㈜오뚜기 연구소장(식품안전 및 영양정보 서비스 플랫폼 구축과 활용), 오승현 ㈜정식품 수석연구원(고령친화식품 시장의 성장 가능성과 식품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주제 발표 ▲고령친화식품의 현황과 법적 규제를 주제로 한 패널 토론 등으로 구성됐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안전한 식품과 균형 잡힌 영양 섭취는 건강한 노화를 위한 필수 요소”라며 “경기도는 노인 대상 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지원 확대 등 실질적인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지하철 보조배터리 발화, 승객과 역 직원의 침착한 대응으로 큰 피해 막아
서울 지하철 4호선 전동차 안에서 관광객이 소지한 보조배터리에서 갑작스러운 연기와 발화가 발생했으나, 승객과 역 직원의 침착한 대처 덕분에 인명피해 없이 마무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에 따르면, 지난 27일(수) 밤 10시 21분경 불암산역 방면으로 향하던 열차 안에서 일본인 관광객의 에코백 속 보조배터리에서 연기가 새어 나왔다. 순간적으로 위급한 상황이 벌어졌지만, 인근에 있던 한 남성 승객이 열차 내 비치된 소화기를 사용해 보조배터리에 1차 소화를 시도하고, 동시에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승무 직원에게 상황을 알렸다. 신고를 접수한 승무 직원은 즉시 종합관제센터에 보고했으며, 관제센터는 인접한 이촌역에 화재 대응을 지시했다. 이촌역에서는 김태기 부역장과 서동순 차장이 소화기를 들고 현장에 출동, 열차 내부로 진입했다. 이들은 관광객의 짐과 보조배터리를 열차 밖으로 신속히 옮겨 2차 진화를 진행하는 동시에 승객 100여 명을 안전하게 하차시켰다. 이후 김 부역장은 잔여 발화 위험을 막기 위해 보조배터리를 화장실로 옮겨 물에 담가 완전히 진화시킨 뒤 역사 밖으로 이동시켰다.이 과정에서 불길은 관광객의 에코백과 보조배터리에만 국한되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