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평창군 대화면 도시재생 포럼 2회차 ‘로컬 한입의 대화’


평창군과 평창군 도시재생지원센터는 1119일까지 진행하는 대화면 도시재생 포럼 중 1회차를 지난 15일에 성황리에 마치고 222회차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대화면 도시재생 포럼은 매주 화요일 저녁 630분에 총 6회에 걸쳐 진행되며, 1회차에서는 로컬 식탁의 대화라는 주제로 김은영 팜파티아 대표와 장민영 아워플래닛 대표와 함께 팜파티, 미식 여행, 푸드 액티비티 등 지역 식재료를 활용한 음식과 여행·체험을 접목한 성공 사례를 예시로 지역 식재료에 대한 다각화된 기획에 관한 대화를 나누었다.

 

오는 22일에는 로컬 한입의 대화라는 주제 2차 포럼이 진행되며, 인구소멸 위기 지역인 경북 영양군에서 숙박시설과 카페를 운영하는 허진수 연당림 대표와 주민조직단체가 운영하는 인천 뫼골문화회관의 이충현 매니저를 초빙하여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를 갖는다.

 

자세한 일정과 회차별 참여 전문가는 평창군청 홈페이지 평창 소식 게시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정의 군 도시과장은 “1회차 포럼이 군민의 관심과 격려로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라며 남은 포럼도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양질의 강의를 할 예정이오니 군민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포럼 관련 문의 사항 : 평창군 도시재생지원센터(033-334-4420)

일시 : 매주 화요일 18:30 ~ 20:30 / 장소 : 대화중앙로 99 꿈의대화톡톡

2회차(1022) 로컬 한입의 대화(지역 산물을 활용한 디저트 개발 및 판매)

- 허진수 연당림 대표, 이충현 뫼골문화회관 총괄 매니저

3회차(1029) : 로컬 단잠의 대화(지역과 상생하는 숙박시설)

- 조미화 원주상회 대표이사, 구자원 스테이고결 대표

4회차(1105) : 로컬 여행의 대화(지역 자원을 활용한 관광·여행상품 개발 및 운영)

- 이영동 소도시트래블 실장, 강성애 인제군 하추리마을 사무국장

5회차(1112) : 로컬 체험의 대화(지역 자원을 활용한 체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황명수 하이그림드로우스튜디오 대표, 정헌영 그린임팩트 대표

6회차(1119) : 대화의 대화(지속 가능한 대화면 발전을 위한 방안)

- 남진삼 평창군의장, 박용호 대화면장, 김흥선 대화면 도시재생주민협의회장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초고령사회, 살던 곳에서 돌봄을... 의정부시,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본격 추진
의정부시(시장 김동근)는 9월부터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정부의 지역 통합돌봄 정책에 따라 시가 조직 개편과 협력망 구축, 자원 조사 등을 진행해 온 과제다. 우리나라 노인 인구는 지난해 이미 1천만 명을 넘어섰으며, 의정부시 역시 7월 말 기준 노인 인구가 9만594명으로 전체의 19.6%를 차지한다. 연말에는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되는 만큼, 노인이 병원이나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존엄하게 생활할 수 있는 새로운 돌봄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 신청에서 지원까지, 통합돌봄의 전 과정이번 시범사업은 일상생활 유지가 어려운 65세 이상 노인이 병원이나 시설에 의존하지 않고, 살던 곳에서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통합판정을 통해 개인별 건강‧요양‧돌봄 필요도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보건의료‧장기요양‧일상생활 지원‧주거 지원 서비스를 맞춤 연계한다. 사업 주요 절차는 ▲통합지원 신청 ▲통합판정 조사 ▲통합판정회의 ▲서비스 제공 ▲모니터링의 단계로 운영된다. 먼저 동 주민센터에 설치된 통합지원창구에서 대상자 또는 보호자가 신청을 하면, 국민건강보험공단 의정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