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재)부산디자인진흥원, 디자인주도 소셜벤처 활성화를 위한「B-소셜임팩트 스케일업 사업」추진


중소벤처기업부 주최, 기술보증기금,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주관“2022년 소셜벤처 육성사업 운영기관 선정

소셜임팩트, 소셜디자인 분야의 경쟁력 있는 우수 스타트업 및 소셜벤처 발굴, 성장 지원과 투자유치

 

()부산디자인진흥원(원장 강필현)은 오는 523()부터 619()까지 ‘2022년도 B-소셜임팩트 스케일업 사업참여기업 10개사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 주최, 기술보증기금,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주관의 ‘2022년 소셜벤처 육성사업은 사회적가치 실현을 위해 도전하며, 혁신적인 기술과 지속가능한 사업모델을 활용하는 소셜벤처의 인프라, 창업성장 지원체계 구축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업이다.

 

부산디자인진흥원에서는 “2022년도 소셜벤처 육성사업운영기관으로 선정되어 소셜임팩트 분야의 경쟁력 있는 우수 스타트업, 소셜벤처 기업을 발굴하여2022년 소셜임팩트 스케일업 사업참여기업을 선정하여 성장 지원 및 투자유치, 네트워킹 프로그램을 지원하고자 한다.

 

지원대상은 사업장 소재지(지사포함)가 부산인 7년 미만의 소셜벤처 기업으로 디자인·제조·IT·해양·도시재생·영화·게임·태양광(에너지선박·Tech기반 등 다양한 창의성을 가진 소셜벤처 및 소셜벤처 판별 희망 기업이다.

 

선정된 소셜벤처 기업 대상으로 성장지원(맞춤형 1:1엑셀러레이팅, 전문가매칭 임팩트 프로그램, 기업가치평가보고서제작)과 투자유치(임팩트 투자사 연계, IR데모데이 개최), 소셜벤처기업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네트워킹(소셜벤처 워크숍, 소셜벤처 박람회) 지원을 할 예정이다.

 

한편, 부산디자인진흥원은 소셜벤처 활성화 정책에 부응하기 위해 2019년부터 부산시와 소셜벤처HUB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부산 지역 내 소셜벤처 성장지원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다.

 

2014년부터 사회적경제기업 활성화를 위해 218개의 창업팀을 인큐베이팅하여 106개의 예비사회적기업 및 사회적기업을 배출 하였으며, 우수한 소셜벤처 아이디어 발굴을 위한 소셜벤처 경연대회지원도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2020년부터 부산 지역 내 소셜벤처 130여개 기업을 대상으로 청년일자리창출을 위한 인건비 지원”,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사업화 자금 지원 및 투자유치 프로그램 운영등을 통해 9.2억원 투자유치, 신규일자리창출 30여개 등 우수한 사업 성과를 창출하였다.

 

()부산디자인진흥원 강필현 원장은 사회적 변화에 따른 디자인 가치의 변화로 인해 새로운 특징을 가진 다양한 소셜디자인 분야들이 형성되어 미래가치창출과 융합디자인 클러스터가 형성되어야 한다.”디자인주도 소셜임팩트 분야 기업가의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모집 관련 세부내용은 기술보증기금(소셜벤처스퀘어),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부산디자인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가능하며, 619() 24시까지 참여신청서 및 사업화 계획서를 작성하여 온라인으로(jiu1028@dcb.or.kr)로 접수하면 된다. 신청을 위한 사업안내 및 사업계획서 작성을 위한 상시 멘토링 서비스도 지원하고 있으므로 담당자에게 문의하면 된다.

 

문의 ()부산디자인진흥원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051-950-1231 / jiu1028@dcb.or.kr(부산디자인진흥원 4408)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경기도, ‘전국 식품안전·노인영양 전문가 포럼’ 열고 식품정책 논의
경기도는 29일 식품안전과 노인영양 분야의 전문가와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명 테이크호텔에서 ‘전국 식품안전·노인영양 전문가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고령화로 인한 노인 영양 및 식생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해법을 모색하고, 동시에 관련 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경기도 홍보대사 설수진의 진행으로 ▲김도균 경기도식품안전정책지원단 단장의 ‘경기도 식품안전 현황 및 연구·사업’ 발표 ▲정희원 저속노화연구소 소장의 ‘저속노화 식습관과 식품산업의 미래’ 특강 ▲임희숙 경희대 교수(어르신 식생활 실태와 식품안전 및 영양 정책 방향), 김진현 ㈜오뚜기 연구소장(식품안전 및 영양정보 서비스 플랫폼 구축과 활용), 오승현 ㈜정식품 수석연구원(고령친화식품 시장의 성장 가능성과 식품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주제 발표 ▲고령친화식품의 현황과 법적 규제를 주제로 한 패널 토론 등으로 구성됐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안전한 식품과 균형 잡힌 영양 섭취는 건강한 노화를 위한 필수 요소”라며 “경기도는 노인 대상 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지원 확대 등 실질적인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지하철 보조배터리 발화, 승객과 역 직원의 침착한 대응으로 큰 피해 막아
서울 지하철 4호선 전동차 안에서 관광객이 소지한 보조배터리에서 갑작스러운 연기와 발화가 발생했으나, 승객과 역 직원의 침착한 대처 덕분에 인명피해 없이 마무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에 따르면, 지난 27일(수) 밤 10시 21분경 불암산역 방면으로 향하던 열차 안에서 일본인 관광객의 에코백 속 보조배터리에서 연기가 새어 나왔다. 순간적으로 위급한 상황이 벌어졌지만, 인근에 있던 한 남성 승객이 열차 내 비치된 소화기를 사용해 보조배터리에 1차 소화를 시도하고, 동시에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승무 직원에게 상황을 알렸다. 신고를 접수한 승무 직원은 즉시 종합관제센터에 보고했으며, 관제센터는 인접한 이촌역에 화재 대응을 지시했다. 이촌역에서는 김태기 부역장과 서동순 차장이 소화기를 들고 현장에 출동, 열차 내부로 진입했다. 이들은 관광객의 짐과 보조배터리를 열차 밖으로 신속히 옮겨 2차 진화를 진행하는 동시에 승객 100여 명을 안전하게 하차시켰다. 이후 김 부역장은 잔여 발화 위험을 막기 위해 보조배터리를 화장실로 옮겨 물에 담가 완전히 진화시킨 뒤 역사 밖으로 이동시켰다.이 과정에서 불길은 관광객의 에코백과 보조배터리에만 국한되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