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건설산업

도 건설본부, 올해 지방도로사업 1,521억 투자‥건설현장 안전 확보에도 주력

○ 경기도건설본부, 2022년도 지방도로 사업에 1,521억 원 투입
- 51개 도로건설사업 집중 투자해 연내 7개 사업 준공목표 사업추진
○ 건설노동자 안전한 작업 여건 확보 위한 점검 및 안전 전담 감리 투입
-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해빙기, 혹서기 등 별도 안점 점검 실시
- 안전분야 전담 전문 안전 건설기술인력 투입


경기도 건설본부는 지속적인 도로확충 및 관리를 통한 도민의 편의성 제고를 위해 올해 국지도 98호선 실촌~만선 등 총 51개 도로건설사업에 1,521억 원의 사업비를 집중 투입한다고 9일 밝혔다.
현재 도 건설본부에서 추진 중인 도로건설사업은 51개 사업으로, 총 연장은 208.3km 사업비는 3조 4,001억 원에 달한다.
지난해에는 2,836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부분 개통을 포함해 초지대교~인천 등 4개 사업을 준공했고, 천송~신남 등 4개 사업에 대한 신규 공사를 시작한 바 있다. 
올해는 도척~실촌(국지도 98호선) 등 국지도 16개 사업, 적성~두일(지방도371호선) 등 지방도 26개 사업, 양평 야밀고개 등 선형 개량 9개 사업에 1,52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할 방침이다. 
이중 공사 중인 오남~수동(국지도 98호선) 등 25개 사업(L=98.5km)에 1,150억 원, 보상 중인 일죽~대포(2공구) 등 9개 사업(L=26.9km)에 232억 원, 설계 중인 효촌~신산 등 17개 사업(L=82.9km)에 139억 원을 각각 투자할 계획이다. 
특히 문산~내포(1공구), 동신리 선형 개량 등 총 7개 도로 사업을 올해 내에 준공하는 것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신규사업으로 양근대교 건설공사, 고삼~삼죽(1공구)등 4개 사업을 발주할 예정이다.
한편, 도 건설본부는 최근 중대재해처벌법 시행과 관련, 도로건설사업 현장의 안전한 노동 여건 환경조성에도 주력하고 있다.
우선 1월 17일부터 21일까지 약 일주일간 각 공사 현장별 안전 점검을 실시해 자칫 발생할 수 있는 동절기 사고 예방에 주력한 바 있다. 앞으로도 해빙기, 혹서기 등 정기적 안전 점검은 물론, 공사관리관이 공사 현장을 수시로 점검하도록 할 방침이다.
2월부터는 안전을 전담으로 하는 전문 건설기술인력을 현장에 추가 투입해 안전에 대한 상시 점검과 함께 노동자 작업 여건을 향상해 견실하고 안전한 공사현장을 만드는 데 힘쓸 계획이다.
한대희 건설본부장은 “지난해에 비해 예산 규모는 줄었으나 주어진 범위 내에서 집중과 선택으로 당초 목표한 사업이 신속히 준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아울러 건설노동자의 안전에 중점을 두고 공사를 관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참고 1.

       지방도 확충계획(남부)                 (단위 : 백만원)

사 업 명

노선명

사업량

()

공사

기간

총사업비

연도별 투자계획

기투자

2022

향후

합 계(32개소)

 

127.44

 

1,954,909

886,614

80,501

987,794

준 공( 5개소)

 

9.74

 

80,856

66,932

7,382

6,542

공 사 중(10개소)

 

43.14

 

991,658

739,988

46,879

204,791

보 상 중(7개소)

 

19.75

 

296,775

48,056

18,354

230,365

설 계 중(10개소)

 

54.81

 

585,620

31,638

7,886

546,096

국지도(11개소)

63.87

 

1,123,541

545,248

42,924

535,369

1

초지대교인천

84호선

7.88

’15’22

229,883

219,061

-

10,822

2

실촌만선

98호선

3.86

’18’23

136,323

117,637

5,458

13,228

3

도척실촌

98호선

3.42

’19’24

89,397

71,407

10,106

7,884

4

갈천가수

82호선

8.49

’19’26

211,194

123,049

13,054

75,091

5

우정향남

82호선

7.20

설계중

100,734

3,835

4,334

92,565

6

양근대교

98호선

1.0

착공예정

48,858

1,006

6,920

40,932

7

건업상품

98호선

4.20

설계중

60,101

4,351

1,834

53,916

8

광주~양평

88호선

10.4

설계중

93,441

1,988

406

91,047

9

장지~남사

82호선

6.9

설계중

48,474

1,422

406

46,646

10

강하~강상

88호선

6.4

설계중

55,344

1,492

406

53,446

11

성환~입장

70호선

4.12

설계중

49,792

-

-

49,792

지방도(13개소)

53.41

 

747,292

285,102

22,405

439,785

1

불현신장

325호선

6.43

‘17’22

61,000

49,458

5,000

6,542

2

이화삼계(2)

302호선

6.27

‘20’25

119,635

79,754

3,205

36,676

3

진위역오산시계

(동서축1)

314호선

2.10

‘20’22

37,783

31,020

-

6,763

4

공도양성(1)

321호선

3.30

‘20’23

44,964

28,090

5,000

11,874

5

매산일산

321호선

2.32

‘20’24

52,335

27,770

3,000

21,565

6

천송신남

345호선

2.48

‘21’24

28,944

12,760

-

16,184

7

고삼삼죽(1)

306호선

3.02

착공예정

33,400

9,380

1,800

22,220

8

덕평매곡

325호선

3.30

보상중

61,904

18,270

1,500

42,134

9

일죽대포(2)

329호선

8.60

보상중

129,593

10,050

2,400

117,143

10

문호도장

352호선

2.90

설계중

33,842

450

-

33,392

11

안중조암(2)

313호선

5.52

설계중

93,100

15,200

-

77,900

12

자안분천(2)

322호선

2.50

설계중

18,100

2,900

-

15,200

13

무갑~광동

325호선

4.67

설계예정

32,692

-

500

32,192

선형개량(8개소)

10.16

 

84,076

56,264

15,172

12,640

1

야밀고개(양평)

306호선

3.02

‘18’23

41,200

29,440

7,056

4,704

2

동신리(안성)

302호선

1.28

‘20’22

7,882

7,300

582

-

3

서원리(여주)

88호선

0.58

‘20’22

3,708

2,708

1,000

-

4

수입리(양평)

86호선

0.16

‘20’22

2,766

2,766

-

-

5

성은리(안성)

23호선

1.29

‘20’22

5,500

4,700

800

-

6

정수리(용인)

98호선

1.13

착공예정

9,820

6,200

2,300

1,320

7

교평~세월(양평)

88호선

2.2

보상중

10,000

2,000

1,384

6,616

8

흑석고개(여주)

84호선

0.5

보상중

3,200

1,150

2,050

-


참고 2.

        지방도 확충계획(북부)                  (단위 : 백만원)

사 업 명

노선명

사업량

()

공사

기간

총사업비

연도별 투자계획

기투자

2022

향후

합 계(19개소)

 

80.85

 

1,445,186

597,591

71,579

776,016

준 공 ( 2개소)

 

4.7

 

51,262

37,645

4,800

8,817

공 사 중 ( 8개소)

 

41.02

 

763,321

442,106

55,939

265,276

보 상 중 ( 2개소)

 

7.04

 

184,392

68,000

4,840

111,552

설 계 중 ( 7개소)

 

28.09

 

446,211

49,840

6,000

390,371

국지도(5개소)

29.93

 

570,215

329,751

48,039

192,425

1

오남~수동

98호선

8.13

’17~’23

216,814

159,723

28,644

28,447

2

가납~상수

39호선

5.70

’16~’23

99,504

85,843

4,596

9,065

3

와부~화도

86호선

4.30

’20~’23 

71,676

52,368

3,179

16,129

4

장흥~광적

39호선

6.30

’20~’25 

80,230

26,400

6,123

47,707

5

군내~내촌

56호선

5.50

’21~’28 

101,991

5,417

5,497

91,077

지방도(13개소)

48.4

859,328

261,840

18,700

578,788

1

적성~두일

371호선

6.34

’18˜’23

104,449

78,590

5,000

20,859

2

문산~내포(1)

359호선

0.82

’19˜’22

21,342

14,945

3,000

3,397

3

은현~봉암

375호선

3.88

’20˜’22 

29,920

22,700

1,800

5,420

4

문산~내포(2)

359호선

1.16

’21˜’23 

14,467

5,965

500

8,002

5

하송우~마산

360호선

3.59

’21˜’28 

74,190

27,800

2,400

43,990

6

화도~운수

387호선

4.52

보상중

168,749

62,000

-

106,749

7

월롱~광탄(1)

360호선

4.60

설계중

106,463

9,400

-

97,063

8

효촌~신산

364호선

5.08

설계중

44,049

4,000

2,000

38,049

9

진건~오남

383호선

4.95

설계중

104,601

11,120

-

93,481

10

신평~심곡

368호선

2.86

설계중

41,879

5,320

3,000

33,559

11

갈현~축현

359호선

5.10

설계중

54,716

20,000

-

34,716

12

내방~연하

387호선

2.60

설계예정

48,132

-

500

47,632

13

덕둔~계류

386호선

2.90

설계예정

46,371

-

500

45,871

선형개량(1개소)

2.52

 

15,643

6,000

4,840

4,803

1

고문리(연천)

78호선

2.52

착공예정

15,643

6,000

4,840

4,803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경기도, ‘전국 식품안전·노인영양 전문가 포럼’ 열고 식품정책 논의
경기도는 29일 식품안전과 노인영양 분야의 전문가와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명 테이크호텔에서 ‘전국 식품안전·노인영양 전문가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고령화로 인한 노인 영양 및 식생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해법을 모색하고, 동시에 관련 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경기도 홍보대사 설수진의 진행으로 ▲김도균 경기도식품안전정책지원단 단장의 ‘경기도 식품안전 현황 및 연구·사업’ 발표 ▲정희원 저속노화연구소 소장의 ‘저속노화 식습관과 식품산업의 미래’ 특강 ▲임희숙 경희대 교수(어르신 식생활 실태와 식품안전 및 영양 정책 방향), 김진현 ㈜오뚜기 연구소장(식품안전 및 영양정보 서비스 플랫폼 구축과 활용), 오승현 ㈜정식품 수석연구원(고령친화식품 시장의 성장 가능성과 식품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주제 발표 ▲고령친화식품의 현황과 법적 규제를 주제로 한 패널 토론 등으로 구성됐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안전한 식품과 균형 잡힌 영양 섭취는 건강한 노화를 위한 필수 요소”라며 “경기도는 노인 대상 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지원 확대 등 실질적인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지하철 보조배터리 발화, 승객과 역 직원의 침착한 대응으로 큰 피해 막아
서울 지하철 4호선 전동차 안에서 관광객이 소지한 보조배터리에서 갑작스러운 연기와 발화가 발생했으나, 승객과 역 직원의 침착한 대처 덕분에 인명피해 없이 마무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에 따르면, 지난 27일(수) 밤 10시 21분경 불암산역 방면으로 향하던 열차 안에서 일본인 관광객의 에코백 속 보조배터리에서 연기가 새어 나왔다. 순간적으로 위급한 상황이 벌어졌지만, 인근에 있던 한 남성 승객이 열차 내 비치된 소화기를 사용해 보조배터리에 1차 소화를 시도하고, 동시에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승무 직원에게 상황을 알렸다. 신고를 접수한 승무 직원은 즉시 종합관제센터에 보고했으며, 관제센터는 인접한 이촌역에 화재 대응을 지시했다. 이촌역에서는 김태기 부역장과 서동순 차장이 소화기를 들고 현장에 출동, 열차 내부로 진입했다. 이들은 관광객의 짐과 보조배터리를 열차 밖으로 신속히 옮겨 2차 진화를 진행하는 동시에 승객 100여 명을 안전하게 하차시켰다. 이후 김 부역장은 잔여 발화 위험을 막기 위해 보조배터리를 화장실로 옮겨 물에 담가 완전히 진화시킨 뒤 역사 밖으로 이동시켰다.이 과정에서 불길은 관광객의 에코백과 보조배터리에만 국한되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