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전북권 대기환경연구소 개소, 서해 중남부 대기질 파악

◇ 서해 중남부지역의 미세먼지 원인 규명 등 대기질 연구에 집중
◇ 시민들과 함께하는 지역 거점 연구기관으로 역할 기대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장윤석)은 11월 19일 오후 전북 익산시에 위치한 ’전북권 대기환경연구소‘에서 개소식을 개최한다.

  전북권 대기환경연구소는 총면적 약 831㎡, 지상 4층 규모로 건립됐으며, 서해중남부 지역의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을 상시감시하고 대기오염 원인을 규명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바로 알리미 교육‘을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대기질 개선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을 높이는 역할도 수행한다.

 전북권 대기환경연구소는 백령도, 수도권(서울), 호남권(광주), 중부권(대전), 제주도, 영남권(울산), 경기권(안산), 충남권(서산)에 이어 9번째로 구축됐으며, 예비운영 기간을 거쳐 내년 7월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한다. 

 보다 정확한 대기오염물질 감시를 위해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금속(납, 칼슘, 비소, 망간, 니켈 등), 이온(황산염, 질산염 등), 탄소(유기탄소, 무기탄소) 등의 측정용 장비 13종 19대를 운영할 예정이다.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지난해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전북 지역은 농업잔재물 소각 등 생물성 연소의 영향과 지형 및 기상영향(낮은 풍속, 적은 강수량)으로 고농도의 미세먼지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 전라북도 고농도 미세먼지 원인분석 예비연구(국립환경과학원, 2019)

  전북권 대기환경연구소는 농축산 활동이 활발한 전북지역에서 농업잔재물 소각 등의 생물성 연소의 영향을 분석하고, 농축산 활동에서 주로 발생하는 암모니아를 장기적으로 집중 측정할 계획이다.

 장윤석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전북권 대기환경연구소는 농업지역이 밀집한 서해 중남부지역의 대기오염물질 특성을 파악하고 고농도 초미세먼지 원인 규명을 위한 중요한 거점”이라며, “관련 지자체, 시민단체, 지역주민들과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지역 상생의 출발점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연구소 개요.
      2. 전국 대기환경연구소 현황.  
      3. 질의/응답.  

붙임 1

 

전북권 대기환경연구소 개요

               
□ 연구소 개요

  건축 부지 : 전라북도 익산시 모현동 2가 671-1번지(대지)

  건축규모 : 지상 4층, 건축연면적 886.86㎡

  건축물의 주요 구성

   - 지상 1층(280.98㎡) : 다목적실, 행정자료실 등

   - 지상 2층(288.90㎡) : 행정・자료 분석실

   - 지상 3층(280.98㎡) : 제1분석실, 제2분석실

   - 지상 4층(36.00㎡) : 시료채취기, 자동기상측정장비
                        

< 전북권 대기환경연구소 전경 >


              


  미세먼지(PM10, PM2.5), 금속(납, 칼슘, 비소, 망간, 니켈 등), 이온(황산염, 질산염 등), 탄소(유기탄소, 무기탄소) 등 13종류, 19대

구분

장 비 명

대수

측 정 항 목 및 특 성

1

입경별 개수농도 측정기

1

0.01~20 의 입경별 개수농도 측정

2

입경별 개수농도 측정기

1

10~500 nm의 입경별 개수농도 측정

3

PM10 질량농도 측정기

1

PM10의 질량 농도 연속 측정

4

PM2.5 질량농도 측정기

1

PM2.5의 질량 농도 연속 측정

5

중금속 측정기

1

PM2.5의 중금속 성분 측정

(Pb, Ca, As, Ni 25개 항목)

6

블랙카본 측정기

1

입자상물질 중 검댕(BC) 농도 측정

7

OC/EC 측정기

1

PM2.5의 유기탄소와 원소탄소 측정

8

암모니아 측정기

1

가스상 성분 중 암모니아 측정

9

실시간 이온성분 분석기

1

PM2.5의 이온(음이온, 양이온) 성분 분석(SO42-, NO3-8개 항목)

10

미세먼지 연속 시료 채취기

4

PM10/2.5의 연속 채취 장비

11

미량가스 성분 측정기

4

대기 중 가스상 물질 성분 측정

(SO2, NOy, O3, CO)

12

가시거리(시정) 측정기

1

미립자 산란계수 측정

13

자동기상측정기

1

풍향, 풍속, 온도, 습도, 기압 측정

    

붙임 2

 

전국 대기환경연구소 현황

           
□ 대기환경연구소 개요

  권역별 대기질 특성을 파악하고 고농도 대기오염 현상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11개 권역*에 대기환경연구소 구축․운영

    * 강원권・충북권 대기환경연구소 구축 중(‘21 준공 예정)

□ 대기환경연구소 현황

구 분

백령도

(‘08.12)

수도권

(‘09.7)

호남권

(‘09.4)

중부권

(‘10.10)

제주권

(‘12.2)

영남권

(‘13.2)

경기권

(‘19.5)

충청권

(‘19.11)

전북권

(‘20.11

개소)

강원권

(’20

예정)

충북권

(‘21

예정)

위 치

옹진군 백령도

서울시

불광동

광주시

오룡동

대전시

문화동

제주시

애월읍

울산시 성안동

안산시

고잔동

서산시 수석동

익산시

모현동

춘천시

만천리

청주시

규모

()

662

304

330

522

575

456

855

598

831

728

 


붙임 3

 

질의/응답

 

     1. 대기환경연구소는 어떤 곳인가요?

             
ㅇ 대기환경연구소는 환경부에서 직접 운영 중인 집중측정망으로서 현재 백령도, 수도권 등 총 8곳이 운영 중에 있습니다.

ㅇ 대기환경연구소는 연구자들이 상주하는 유인측정소로서 대기오염물질의 물리, 화학적 성상을 측정·분석하고 오염원별 특성을 파악하여 고농도 초미세먼지 원인 규명, 주요권역별 대기질 현황과 유입, 유출되는 오염물질 파악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ㅇ 측정대상은 미세먼지(PM10, PM2.5) 질량농도, 기상인자(풍향, 풍속, 온도, 습도 등), 가스상 오염물질(이산화황,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오존), 탄소성분(유기탄소, 무기탄소), 이온성분(황산염, 질산염, 암모늄염 등), 중금속성분(납, 칼슘, 망간, 니켈, 아연 등)입니다.

ㅇ 환경부와 지자체는 대기오염물질 모니터링 및 오염원 특성 파악 등을 수행하고자 일반대기오염측정망(도시대기, 교외대기, 국가배경농도, 도로변대기), 특수대기오염측정망(유해대기물질, 대기중금속, 광화학대기오염물질, 산성강하물, 지구대기, PM2.5) 및 대기환경연구소(백령도, 수도권 등 8곳) 등 총 11종의 측정망을 운영 중에 있습니다.

붙임 4

 

전문용어 설명

            

ㅇ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 대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입자상물질. 미세먼지(PM10)는 입자의 크기가 10㎛ 이하, 초미세먼지(PM2.5)는 2.5㎛ 이하로 구분한다. 

ㅇ 황산염(SO42-) : 대기 중으로 배출된 황산화물(SOx)이 물리․화학적 반응을 거쳐서 입자상으로 전환된 형태

ㅇ 질산염(NO3-) : 대기 중으로 배출된 질소산화물(NOx)이 물리․화학적 반응을 거쳐서 입자상으로 전환된 형태

ㅇ 생물성 연소 : 농업잔재물 및 생활폐기물 노천소각, 목재를 연료로 쓰는 화목난로와 보일러 등의 연소과정에 의해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일련의 행위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LH, 산업연구원과 산업․공간 융복합 연구협력 추진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9일 대전 토지주택연구원에서 산업연구원(KIET)과 「산업․공간 융복합 전략 및 국가균형발전」 연구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정부 핵심 공약*으로 제시된 ‘공간과 연계한 지역 전략산업 육성’과 ‘5극, 3특(5대 초광역권, 3대 특별자치도) 중심 균형발전’을 뒷받침하고자 마련됐다. * 정부는 10대 공약 중 하나로 국토균형발전을 제시하고, 이행 방법으로 산단, 혁신도시, 경제자유구역과 연계한 지역전략산업 육성 및 지역투자 촉진 등을 제시 협약을 통해 LH 토지주택연구원(LHRI)과 산업연구원은 △ 지역산업과 도시·지역의 융복합 정책 개발 △ 기업유치 및 산업단지 활성화를 통한 국가균형발전 지원 등을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협약식에는 정창무 LH 토지주택연구원 원장, 권남훈 산업연구원 원장 등이 참석했다. 한편, 업무협약식에 이어 ‘산업·공간 융복합 전략’을 주제로 한 정책 포럼이 개최됐다. 포럼은 △산업입지 △지역전략산업 △기업생태계 등과 관련된 다양한 현안을 논의하고, 지역 산업과 공간 정책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주제 발표는 배진원 박사(산업연구원)가 ‘국내 산업 특구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순천시, ‘새 용산전망대’ 11일 개방… 생태치유관광의 거점 기대
순천시(시장 노관규)가 순천만의 원형 생태와 자연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용산전망대’를 새롭게 단장해 오는 11일 개방한다고 밝혔다. 용산전망대는 단순한 조망을 넘어 원시적인 자연생태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을 위해 노력한 역사를 한 눈으로 응축해 볼 수 있는 상징적인 공간이다. 이번에 새롭게 건립된 용산전망대는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2층 목재 구조물로 지어졌으며, 건축면적은 124.88㎡이다. 또한 고령자, 장애인, 영유아 동반 가족 등 이동약자를 위해 용산전망대 진입 구간 약 908m에 경사형 무장애 데크길을 2026년까지 단계적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전망대에서는 S자 수로를 따라 펼쳐지는 갈대밭과 칠면초 군락, 낙조, 흑두루미 도래지 등 순천만의 대표 생태 경관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시는 이곳에서 생태해설, 철새 탐조, 명상 등 다양한 생태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람사르길·갈대숲·흑두루미 도래지 등과의 연계를 강화해 자연 기반 생태치유관광과 생태교육의 중심지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노관규 순천시장은 “용산전망대는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가치를 체감할 수 있는 상징적 공간”이라며, “순천만국가정원 및 향후 조성될 순천갯벌치유관광플랫폼과 연계해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