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3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전북권 대기환경연구소 개소, 서해 중남부 대기질 파악

◇ 서해 중남부지역의 미세먼지 원인 규명 등 대기질 연구에 집중
◇ 시민들과 함께하는 지역 거점 연구기관으로 역할 기대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장윤석)은 11월 19일 오후 전북 익산시에 위치한 ’전북권 대기환경연구소‘에서 개소식을 개최한다.

  전북권 대기환경연구소는 총면적 약 831㎡, 지상 4층 규모로 건립됐으며, 서해중남부 지역의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을 상시감시하고 대기오염 원인을 규명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바로 알리미 교육‘을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대기질 개선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을 높이는 역할도 수행한다.

 전북권 대기환경연구소는 백령도, 수도권(서울), 호남권(광주), 중부권(대전), 제주도, 영남권(울산), 경기권(안산), 충남권(서산)에 이어 9번째로 구축됐으며, 예비운영 기간을 거쳐 내년 7월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한다. 

 보다 정확한 대기오염물질 감시를 위해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금속(납, 칼슘, 비소, 망간, 니켈 등), 이온(황산염, 질산염 등), 탄소(유기탄소, 무기탄소) 등의 측정용 장비 13종 19대를 운영할 예정이다.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지난해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전북 지역은 농업잔재물 소각 등 생물성 연소의 영향과 지형 및 기상영향(낮은 풍속, 적은 강수량)으로 고농도의 미세먼지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 전라북도 고농도 미세먼지 원인분석 예비연구(국립환경과학원, 2019)

  전북권 대기환경연구소는 농축산 활동이 활발한 전북지역에서 농업잔재물 소각 등의 생물성 연소의 영향을 분석하고, 농축산 활동에서 주로 발생하는 암모니아를 장기적으로 집중 측정할 계획이다.

 장윤석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전북권 대기환경연구소는 농업지역이 밀집한 서해 중남부지역의 대기오염물질 특성을 파악하고 고농도 초미세먼지 원인 규명을 위한 중요한 거점”이라며, “관련 지자체, 시민단체, 지역주민들과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지역 상생의 출발점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연구소 개요.
      2. 전국 대기환경연구소 현황.  
      3. 질의/응답.  

붙임 1

 

전북권 대기환경연구소 개요

               
□ 연구소 개요

  건축 부지 : 전라북도 익산시 모현동 2가 671-1번지(대지)

  건축규모 : 지상 4층, 건축연면적 886.86㎡

  건축물의 주요 구성

   - 지상 1층(280.98㎡) : 다목적실, 행정자료실 등

   - 지상 2층(288.90㎡) : 행정・자료 분석실

   - 지상 3층(280.98㎡) : 제1분석실, 제2분석실

   - 지상 4층(36.00㎡) : 시료채취기, 자동기상측정장비
                        

< 전북권 대기환경연구소 전경 >


              


  미세먼지(PM10, PM2.5), 금속(납, 칼슘, 비소, 망간, 니켈 등), 이온(황산염, 질산염 등), 탄소(유기탄소, 무기탄소) 등 13종류, 19대

구분

장 비 명

대수

측 정 항 목 및 특 성

1

입경별 개수농도 측정기

1

0.01~20 의 입경별 개수농도 측정

2

입경별 개수농도 측정기

1

10~500 nm의 입경별 개수농도 측정

3

PM10 질량농도 측정기

1

PM10의 질량 농도 연속 측정

4

PM2.5 질량농도 측정기

1

PM2.5의 질량 농도 연속 측정

5

중금속 측정기

1

PM2.5의 중금속 성분 측정

(Pb, Ca, As, Ni 25개 항목)

6

블랙카본 측정기

1

입자상물질 중 검댕(BC) 농도 측정

7

OC/EC 측정기

1

PM2.5의 유기탄소와 원소탄소 측정

8

암모니아 측정기

1

가스상 성분 중 암모니아 측정

9

실시간 이온성분 분석기

1

PM2.5의 이온(음이온, 양이온) 성분 분석(SO42-, NO3-8개 항목)

10

미세먼지 연속 시료 채취기

4

PM10/2.5의 연속 채취 장비

11

미량가스 성분 측정기

4

대기 중 가스상 물질 성분 측정

(SO2, NOy, O3, CO)

12

가시거리(시정) 측정기

1

미립자 산란계수 측정

13

자동기상측정기

1

풍향, 풍속, 온도, 습도, 기압 측정

    

붙임 2

 

전국 대기환경연구소 현황

           
□ 대기환경연구소 개요

  권역별 대기질 특성을 파악하고 고농도 대기오염 현상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11개 권역*에 대기환경연구소 구축․운영

    * 강원권・충북권 대기환경연구소 구축 중(‘21 준공 예정)

□ 대기환경연구소 현황

구 분

백령도

(‘08.12)

수도권

(‘09.7)

호남권

(‘09.4)

중부권

(‘10.10)

제주권

(‘12.2)

영남권

(‘13.2)

경기권

(‘19.5)

충청권

(‘19.11)

전북권

(‘20.11

개소)

강원권

(’20

예정)

충북권

(‘21

예정)

위 치

옹진군 백령도

서울시

불광동

광주시

오룡동

대전시

문화동

제주시

애월읍

울산시 성안동

안산시

고잔동

서산시 수석동

익산시

모현동

춘천시

만천리

청주시

규모

()

662

304

330

522

575

456

855

598

831

728

 


붙임 3

 

질의/응답

 

     1. 대기환경연구소는 어떤 곳인가요?

             
ㅇ 대기환경연구소는 환경부에서 직접 운영 중인 집중측정망으로서 현재 백령도, 수도권 등 총 8곳이 운영 중에 있습니다.

ㅇ 대기환경연구소는 연구자들이 상주하는 유인측정소로서 대기오염물질의 물리, 화학적 성상을 측정·분석하고 오염원별 특성을 파악하여 고농도 초미세먼지 원인 규명, 주요권역별 대기질 현황과 유입, 유출되는 오염물질 파악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ㅇ 측정대상은 미세먼지(PM10, PM2.5) 질량농도, 기상인자(풍향, 풍속, 온도, 습도 등), 가스상 오염물질(이산화황,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오존), 탄소성분(유기탄소, 무기탄소), 이온성분(황산염, 질산염, 암모늄염 등), 중금속성분(납, 칼슘, 망간, 니켈, 아연 등)입니다.

ㅇ 환경부와 지자체는 대기오염물질 모니터링 및 오염원 특성 파악 등을 수행하고자 일반대기오염측정망(도시대기, 교외대기, 국가배경농도, 도로변대기), 특수대기오염측정망(유해대기물질, 대기중금속, 광화학대기오염물질, 산성강하물, 지구대기, PM2.5) 및 대기환경연구소(백령도, 수도권 등 8곳) 등 총 11종의 측정망을 운영 중에 있습니다.

붙임 4

 

전문용어 설명

            

ㅇ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 대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입자상물질. 미세먼지(PM10)는 입자의 크기가 10㎛ 이하, 초미세먼지(PM2.5)는 2.5㎛ 이하로 구분한다. 

ㅇ 황산염(SO42-) : 대기 중으로 배출된 황산화물(SOx)이 물리․화학적 반응을 거쳐서 입자상으로 전환된 형태

ㅇ 질산염(NO3-) : 대기 중으로 배출된 질소산화물(NOx)이 물리․화학적 반응을 거쳐서 입자상으로 전환된 형태

ㅇ 생물성 연소 : 농업잔재물 및 생활폐기물 노천소각, 목재를 연료로 쓰는 화목난로와 보일러 등의 연소과정에 의해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일련의 행위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초고령사회, 살던 곳에서 돌봄을... 의정부시,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본격 추진
의정부시(시장 김동근)는 9월부터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정부의 지역 통합돌봄 정책에 따라 시가 조직 개편과 협력망 구축, 자원 조사 등을 진행해 온 과제다. 우리나라 노인 인구는 지난해 이미 1천만 명을 넘어섰으며, 의정부시 역시 7월 말 기준 노인 인구가 9만594명으로 전체의 19.6%를 차지한다. 연말에는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되는 만큼, 노인이 병원이나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존엄하게 생활할 수 있는 새로운 돌봄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 신청에서 지원까지, 통합돌봄의 전 과정이번 시범사업은 일상생활 유지가 어려운 65세 이상 노인이 병원이나 시설에 의존하지 않고, 살던 곳에서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통합판정을 통해 개인별 건강‧요양‧돌봄 필요도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보건의료‧장기요양‧일상생활 지원‧주거 지원 서비스를 맞춤 연계한다. 사업 주요 절차는 ▲통합지원 신청 ▲통합판정 조사 ▲통합판정회의 ▲서비스 제공 ▲모니터링의 단계로 운영된다. 먼저 동 주민센터에 설치된 통합지원창구에서 대상자 또는 보호자가 신청을 하면, 국민건강보험공단 의정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