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환경뉴스

경기도민 4명 중 1명만 토박이…

“기전문화제로 경기도민 정체성과 자긍심 높여야”


○ 최근 30년간 경기도 인구 700만 명 이상 증가… 토박이 비율은 크게 하락
○ 2019년 경기연구원 설문조사 결과 “경기도는 수도권/서울근교” 이미지 강해
○ 기전문화는 천년왕도인 경기도와 인천광역시를 대표하는 문화로 서울의 오백년 왕도 문화 능가… 10월 19일 경기도민의 날에 개막식, 거리행진, 체험행사 개최해야

경기도의 지역정체성 강화를 위해 ‘기전문화제’를 도입하여 도민의 일체감을 형성하고 자긍심을 고취하자는 의견이 나왔다. 
이는 경기연구원이 발간한 <경기도의 지역정체성 강화 해법 – 천년왕도의 기전문화제 도입으로 시작>에 담긴 내용으로, 경기도는 신도시 개발과 급격한 인구 유입으로 지역정체성이 약화되고 있다는 진단을 토대로 나왔다.
최근 30년 동안 경기도 인구는 제1기 신도시(1990년대), 제2기 신도시 개발(2000년 초)에 의해 약 700만 명 이상 인구가 증가했다. 1985년 479만 명에서 2015년 1,174만 명으로, 전국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1.9%에서 24.3%로 증가했다.
이로 인해, 경기도는 토박이 인구의 비중이 크게 하락하면서(1960년 97.2%에서 2015년 25.3%로 71.9% 포인트 하락) 도민 정체성은 약화되고 있다.
최근 20년간 경기도에서 서울로 통근하는 인구가 약 43만 명 증가(1995년 84만 명에서 2015년 127만 명)하면서 경기도는 급격히 베드타운화 및 서울의 위성도시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취약한 경기도 지역정체성이라는 결과로 나타나, 2019년 경기연구원이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경기도민이 느끼는 경기도 이미지로 ‘수도권/서울 근교’가 65.6%로 1위를 차지해 서울의 위성도시인 ‘주변성’ 이미지로 고착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성호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1세기 경기도는 최대 인구수와 GRDP 1위 등 대한민국 최다/최고로 부상하고 있는 만큼 이제는 서울의 위성도시라는 인식에서 탈피하고 경기도민의 소속감과 자긍심을 높여야 한다”며 그 방안으로 ‘기전문화제’ 도입을 제안했다.
기전문화(畿甸文化)는 천년왕도인 경기도와 인천광역시를 대표하는 문화로 평택농악, 양주별산대 놀이, 양주소놀이굿 등 무수히 많아 서울의 오백년 왕도 문화를 능가한다.
경기도 기전문화제의 주요 골자는 ‘경기도민의 날(10월 19일)’에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도민이 참여하는 개막식, 거리행진(퍼레이드), 기전문화 체험행사를 개최하는 방안이다. 
보고서는 기전문화제 도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기전문화제 기본구상 마련, ▲기본구상에 대해 전문가, 도민, 공무원 등이 참여하는 집단토의, ▲‘기전문화제 조례’ 제정, ▲‘기전문화제 조직위원회’ 구성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참고자료]
    

<수도권 인구변화>

                                                                                                                  (단위 : , %)

구분

1985

1990

1995

2000

총인구

비율

총인구

비율

총인구

비율

총인구

비율

전국

40,448,486

100

43,410,899

100

44,608,726

100

46,136,101

100

수도권

15,820,156

39.1

18,586,128

42.8

20,189,146

45.3

21,354,490

46.3

경기

4,794,135

11.9

6,155,632

14.2

7,649,741

17.1

8,984,134

19.5

서울

9,639,110

23.8

10,231,217

23.6

10,231,217

22.9

9,895,217

21.4

인천

1,386,911

3.4

1,817,919

4.2

2,308,188

5.2

2,475,139

5.4

 

구분

2005

2010

2015

증감율

총인구

비율

총인구

비율

총인구

비율

85~2015

95~2015

05~2015

전국

47,278,951

100

47,990,761

100

48,339,559

100

19.5

8.4

2.2

수도권

22,766,850

48.2

23,459,570

48.9

23,905,592

49.5

51.1

18.4

5.0

경기

10,415,399

22.0

11,196,053

23.3

11,744,210

24.3

145

53.5

12.8

서울

9,820,171

20.8

9,631,482

20.1

9,394,807

19.4

-2.5

-8.2

-4.3

인천

2,531,280

5.4

2,632,035

5.5

2,766,575

5.7

99.5

19.9

9.3

: 비율은 전국인구대비 비율임.

자료 : 통계청(www.kosis.kr), 인구주택 총조사 각년도.


<수도권 출생지 거주인구 및 비율>

                                                                                                                 (단위 : , %)

구분

경기도

서울

인천

인구

출생지

거주인구

비율

인구

출생지

거주인구

비율

인구

출생지

거주인구

비율

1960

2,748,765

2,671,202

97.2

2,445,402

1,194,008

48.8

-

-

-

1970

3,296,950

3,223,644

97.8

5,433,198

2,653,620

48.8

-

-

-

1980

4,933,862

3,874,555

78.5

8,364,379

4,142,640

49.5

-

-

-

1990

6,155,632

4,220,045

68.6

10,612,577

6,035,335

56.9

1,817,919

867,455

47.7

2000

8,984,134

4,954,200

55.1

9,895,217

7,070,235

71.5

2,475,139

1,385,661

56

2010

11,379,459

2,781,841

24.4

9,794,304

3,335,053

34.1

2,662,509

957,674

36

2015

12,479,061

3,161,831

25.3

9,904,312

3,415,109

34.5

2,890,451

1,003,406

34.7

: 비율은 전국인구대비 비율임.

자료 : 통계청(www.kosis.kr), 인구주택 총조사.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경기도, ‘전국 식품안전·노인영양 전문가 포럼’ 열고 식품정책 논의
경기도는 29일 식품안전과 노인영양 분야의 전문가와 관계자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광명 테이크호텔에서 ‘전국 식품안전·노인영양 전문가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고령화로 인한 노인 영양 및 식생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해법을 모색하고, 동시에 관련 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는 경기도 홍보대사 설수진의 진행으로 ▲김도균 경기도식품안전정책지원단 단장의 ‘경기도 식품안전 현황 및 연구·사업’ 발표 ▲정희원 저속노화연구소 소장의 ‘저속노화 식습관과 식품산업의 미래’ 특강 ▲임희숙 경희대 교수(어르신 식생활 실태와 식품안전 및 영양 정책 방향), 김진현 ㈜오뚜기 연구소장(식품안전 및 영양정보 서비스 플랫폼 구축과 활용), 오승현 ㈜정식품 수석연구원(고령친화식품 시장의 성장 가능성과 식품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주제 발표 ▲고령친화식품의 현황과 법적 규제를 주제로 한 패널 토론 등으로 구성됐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안전한 식품과 균형 잡힌 영양 섭취는 건강한 노화를 위한 필수 요소”라며 “경기도는 노인 대상 식품산업 육성을 위해 지원 확대 등 실질적인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지하철 보조배터리 발화, 승객과 역 직원의 침착한 대응으로 큰 피해 막아
서울 지하철 4호선 전동차 안에서 관광객이 소지한 보조배터리에서 갑작스러운 연기와 발화가 발생했으나, 승객과 역 직원의 침착한 대처 덕분에 인명피해 없이 마무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에 따르면, 지난 27일(수) 밤 10시 21분경 불암산역 방면으로 향하던 열차 안에서 일본인 관광객의 에코백 속 보조배터리에서 연기가 새어 나왔다. 순간적으로 위급한 상황이 벌어졌지만, 인근에 있던 한 남성 승객이 열차 내 비치된 소화기를 사용해 보조배터리에 1차 소화를 시도하고, 동시에 비상통화장치를 통해 승무 직원에게 상황을 알렸다. 신고를 접수한 승무 직원은 즉시 종합관제센터에 보고했으며, 관제센터는 인접한 이촌역에 화재 대응을 지시했다. 이촌역에서는 김태기 부역장과 서동순 차장이 소화기를 들고 현장에 출동, 열차 내부로 진입했다. 이들은 관광객의 짐과 보조배터리를 열차 밖으로 신속히 옮겨 2차 진화를 진행하는 동시에 승객 100여 명을 안전하게 하차시켰다. 이후 김 부역장은 잔여 발화 위험을 막기 위해 보조배터리를 화장실로 옮겨 물에 담가 완전히 진화시킨 뒤 역사 밖으로 이동시켰다.이 과정에서 불길은 관광객의 에코백과 보조배터리에만 국한되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