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조선해양수산

울산시-울산정보산업진흥원-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조선해양 중소기업 시험인증 비용 및 기술 지원
‘조선․해양기자재 한국인정기구 인증 지원사업’ 시행


  울산시가 수출 규제와 코로나19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조선해양 분야 기업들의 재무적 부담 경감을 위해 시험인증 비용과 기술 지원에 나선다. 
  울산시는 울산정보산업진흥원,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과 공동으로 조선․해양기자재 중소,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조선·해양 기자재 한국인정기구(KOLAS) 인증 지원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 KOLAS(Korea Laboratory Accreditation Scheme): 제조자와 구매자의 효과적인 교역을 위해 검사․시험․교정 등에 대한 신뢰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상호 인증하는 제도로 KOLAS 인정기관의 인증 결과는 국제적으로 수용 가능함.  
  지원 범위는 소프트웨어 분야 품질 컨설팅, 수출용 한국인정기구(KOLAS) 공인시험성적서 발행, 해외기업 입회시험, 해외수요처 특수용역 보고서 발급, 특수 소재 성능 인증, 현장 시험평가, 손상 및 부식원인평가 등 총 9개 분야이다.
  기업당 시험비용의 최소 40%, 최대 3,000만 원까지 지원된다. 
  지난 2017년 시작된 이 사업을 통해 울산시는 지난해에만 지역 내 44개 기업에 2,064건, 2억 4,000만 원의 시험․인증 비용을 지원했다. 
  특히, 조선기자재 제조 기업인 ㈜현대알비(RB)는 중동지역 조선기자재에 대한 극한 환경 부식시험 인증 지원으로 82억 원대 해외 수주를 성과를 거뒀다.
  또 플랜트 전문기업인 ㈜한텍은 뱁코(BAPCO) 등 1,500억 원대 해외수주에 성공해 지원사업의 우수 사례로 꼽혔다. 
    * BAPCO : 바레인 국영 정유회사
  신청 대상은 울산에 사업자등록이 돼 있는 중소․중견기업으로, 연중 수시 지원할 수 있다. 단, 사업비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있다. 
  지원 대상 기업은 접수 후 2주 내에 사업선정평가를 통해 선정하며 국내외 매출 또는 고용 창출 가능 기업이 우선 지원된다.
  신청․접수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누리집(www.ktr.or.kr)에서 사업신청서를 작성한 후,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울산청사 방문 및 우편, 전자우편을 통해 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울산시, 울산정보산업진흥원 및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끝.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