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産銀, 한국 제조업의 중장기적 성장 방향성을 도출하는 CEO 초청 『2018 KDB BLF 성장 Forum』개최

IT기반 제조업 혁신과 남북 경협을 통한 새로운 시장 및 생산기지 개척
가능성 모색



산업은행(회장 이동걸)은 27일 중소·중견기업 CEO 및 민병두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장, 정세현 前통일부장관, 황규연 산단공 이사장, 최철안  중소기업기술진흥원 원장 등 2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신규시장 개척 및 기술혁신을 통한 지속성장」을 주제로 『2018 KDB BLF 성장 Forum』을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AI를 활용한 스마트팩토리의 필요성과 현실적인 적용 사례를 살펴보고 남북 경제협력과 북한 경제개발을 통한 새로운 시장 및 생산기지 개척 가능성에 대한 이해도 제고를 통해 중소중견기업의 중장기적 성장 방향을 모색하였다.

 민병두 국회정무위 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정부의 최대 화두인 일자리 창출과 혁신성장의 주력인 중소중견기업은 남북경협을 통한 신규시장 개척과 기술혁신으로 새로운 먹거리와 성장동력 창출이 필요하며, 정치권도 이를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산업은행 이동걸 회장은 기조연설에서 “4차 산업혁명의 대전환기를 맞아 창의력과 기술력을 갖춘 중소중견기업들이 여러 분야에서 유기적으로 경쟁하고 협력하여 새로운 힘을 키워야 하며, 산업은행은 기업 성장  단계에 따른 다양한 Full-Service 체제를 구축하고 잠재력을 보유한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여 한국 경제의 새로운 동력이 될 수 있도록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제발표에서는 최근 제조기업 혁신Trend와 IT를 기반으로 고객접촉 및 생산체계를 지능화한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고 스마트팩토리 구축의 현실적 방안과 유의사항을 논의하였다. 또한 남북 경제협력으로 북한 생산기지 구축과 관련하여 한반도 신경제지도 및 북한 경제특구에 대한 이해도 제고 시간을 가졌다.

 산업은행은 이번 행사에서 논의, 도출된 IT기반의 혁신전략과 기업 의견을 바탕으로 우수 중소중견기업들의 스마트팩토리 구축 등 혁신성장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금융 지원을 적기에 실행해 나갈 예정이다.

   산업은행은 ‘18년 자금공급 목표 63.5조원 중 43조원을 중소중견기업에 배정하여 ’18.9월말 기준 33.6조원을 공급하였으며, 성장잠재력을 보유한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여 한국 경제의 새로운 동력이 될 수 있도록 정책성 대출상품과 기술금융, 기업의 투자를 위한 KDB-Tech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 문의처 : 산업은행 중소중견금융실 박병수 팀장(☏02-787-5603)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보이지 않는 살인자 ‘대기오염’ 해결 머리맞대
충남도가 인류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보이지 않는 살인자 ‘대기오염’ 해결을 위해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댔다. 도는 5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제6회 세계 푸른하늘의 날을 기념해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정책적 관리 강화와 저감 전략’을 주제로 대기환경개선 정책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포럼은 전형식 도 정무부지사와 송민영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김정훈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단체, 기업, 도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유공자 표창 △발제 △종합토론 등 순으로 진행됐다.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은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을 통해 오존을 생성하기도 하며, 대표적인 물질로는 벤젠, 톨루엔, 프로판, 부탄 및 헥산 등이 있다. 가정이나 세탁소, 주유소, 인쇄업 등 생활 속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만큼 감축 속도는 더디고, 관리 사각지대도 존재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송민영 연구위원은 ‘서울시 휘발성유기화합물 관리 분석과 대응 방안’을 주제로,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현황과 서울시의 배출 관리 정책 및 분석, 관리를 위한 향후 방안에 대해 소개했다. 송 연구위원은 “2022년 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