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광역도지자체

2년차 다복동 패키지 사업 추진!

- 다함께 행복한 동네를 꿈꾼다 -
◈ 3. 30. 15:00 부산시민공원 다솜광장에서‘다복동 패키지 사업 설명
회’개최


 
◈ 3. 30.~6. 8. 주민(공동체)가 희망하는 다양한 다복동 패키지 사업 공모신청 접수 
◈ 작년 시범사업을 추진하면서 발견된 문제점은 사전에 개선해 나갈 예정

  부산시는 부산도시재생박람회가 개최되는 3월 30일 오후 3시 부산시민공원 다솜광장에서 ‘다복동 패키지 사업 설명회’를 시작으로 2년차 다복동 패키지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다복동 패키지 사업이란 주민이 주인되는 사업으로서 주민 스스로 내가 살고 있는 동네에 필요한 사업이 무엇인지 계획하고 기획하여 부산시에 사업추진을 요구하는 부산만의 통합 복지브랜드 사업이다.

  주민(공동체)이 제안할 수 있는 다복동 패키지 사업에는 ▲사회복지 ▲마을복지 ▲건강복지 ▲주거복지 ▲물 복지 ▲에너지복지 ▲문화복지 ▲교육복지의 8대 분야 36개 세부사업을 그 대상으로 주민들이 함께 모여서 살고 있는 동네에 필요한 사업을 신청할 수 있다.

  이번 ‘다복동 패키지 사업’에 참여를 원하는 주민(공동체)은 3월 30일부터 6월 8일까지 해당 구(군) 도시재생 부서에 제안서를 제출하면, 현장 확인 등 예산확보를 위한 행정절차를 거쳐 올해 12월 지원대상과 규모가 결정된다. 이런 과정을 거친 후 다복동 패키지 사업에 선정되고 나면, 2019년 1월부터 사업들이 본격 추진된다.

  한편, 시는 지난해 시범사업을 추진하면서 ▲주민들이 사업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상태에서 처음 스스로 계획한다는 것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사업임에도 한꺼번에 모든 계획을 부산시가 해결 해줄 것이라는 과도한 기대 ▲행정부서간 협업이 미진한 점 등의 문제점들이 발견되어 올해 사업을 준비하면서 사전에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2년차 다복동 패키지 사업으로 한꺼번에 도시재생이 완성되거나 시민의 삶의 질을 급격히 높일 수는 없겠지만, 주민 스스로도 삶의 질을 결정해 나가는 새로운 행정 패러다임에 적응할 필요가 있고 변화해 가는 다양한 사회변화와 더불어 우리 시민들의 삶의 질도 천천히 나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부산  제2회 다복동 패키지사업 
「다복동 패키지 사업」이란 
  ◇ 주민 스스로 동네에 필요한 사업계획을 수립‧제안하여 
    다함께 행복한 동네를 만드는“주민이 주인되는 사업” 




신청 안내
 ○ 단위사업 : 8대 분야 36개 사업 ▶ 뒷면 참조
 ○ 신청기간 : 2018. 3. 30. ∼ 6. 8. 
 ○ 제 출 처 : 구․군 도시재생 관련 부서(과)
 ○ 문 의 처 : 부산광역시 도시재생과(☎ 888-4201∼3)
 ○ 사업설명회 자료 게재 : 홈페이지 http://www.urcb.or.kr
    ※ 부산광역시도시재생지원센터 홈페이지_정보마당_자료실
 ○ 협조사항 : 단위사업 가이드라인 준수(사업 신청 예산 규모  등 )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