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14.8℃
  • 구름많음강릉 14.9℃
  • 맑음서울 16.1℃
  • 구름조금대전 17.8℃
  • 구름조금대구 18.0℃
  • 구름많음울산 14.8℃
  • 맑음광주 17.6℃
  • 맑음부산 14.4℃
  • 맑음고창 16.1℃
  • 흐림제주 12.6℃
  • 맑음강화 11.7℃
  • 구름조금보은 15.3℃
  • 구름조금금산 16.5℃
  • 구름조금강진군 15.6℃
  • 구름많음경주시 15.9℃
  • 구름조금거제 15.6℃
기상청 제공

10월부터 무안-라오스 하늘길 열린다

- 23일 전남도·무안군·한국공항공사·라오항공 업무협약 -
- 비엔티안 10월·루앙프라방 12월부터 주 2~4회 운항 -
- 무안국제공항 경쟁력·라오스와 교류 협력 강화 기대 -


(라오스 라오항공 무안국제공항 국제노선 개설 업무협약 사진 2장 첨부)
전라남도는 23일 무안국제공항 경쟁력 강화와 라오스와의 협력 등을 위해 무안군, 한국공항공사, 라오스 국영항공사인 라오항공과 국제노선 업무협약을 했다.

협약에 따라 라오스 비엔티안 노선은 오는 10월부터 2025년 3월까지 주 2~4회, 루앙프라방 노선은 오는 12월부터 2025년 2월까지 주 2~4회 운항한다. 

편당 공급 좌석 수의 20% 이상을 도민이 항공권 검색 포털 등을 통해 직접 발권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루앙프라방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무안국제공항에서만 직항으로 운영돼 타 공항 대비 큰 경쟁력을 갖춘 노선이다.

비엔티안은 라오스의 수도이자 약 500여 년 역사를 간직한 최대 도시로, 아름다운 불교사원으로 유명하다. 루앙프라방은 라오스 제2의 도시로 1995년 도시 전체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됐을 만큼 라오스 전통 양식, 수많은 불교 사원과 소수민족의 풍습 등 옛 모습이 잘 보전된 매력적 도시다. 

전남도는 무안-라오스 노선 개설로 관광 및 문화 협력도 크게 증진될 것으로 전망했다.

전남도는 지난해 7월 라오스 노동사회복지부 차관과의 회담에서 농업 분야 외국인 계절 근로자 파견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에 개설된 노선을 통해 무안국제공항으로 라오스 계절노동자들의 출입국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항공사 운항장려금 등 파격적 재정지원과 무안군, 한국공항공사와 긴밀한 협력으로 올해만 제주항공과 진에어에 이어 3번째로 라오항공과 국제노선 협약을 해 매우 뜻깊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상반기 무안국제공항 이용객이 21만 명을 넘어서 전년 같은 기간보다 실적이 크게 개선된 점은 매우 고무적”이라며 “올해 목표인 50만을 달성해 무안국제공항이 세계와 대한민국을 잇는 서남권 관문 공항으로 우뚝 서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라오항공은 1976년 설립돼 1989년부터 라오스 공공업무·교통부(Ministry of Public Works and Transports) 산하 국영항공사로 운영 중이다. 2024년 기준 한국을 비롯해 중국,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싱가포르 등 총 23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사진 설명                                                         
(라오스 라오항공 무안국제공항 국제노선 개설 업무협약)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23일 오전 도청 서재필실에서 무안군, 한국공항공사, 라오항공과 ‘라오스 라오항공 무안국제공항 국제노선 개설 업무협약’을 하고 있다.




                   (라오스 라오항공 무안국제공항 국제노선 개설 업무협약 사진 2장 첨부)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여수시, 도시재생 사후관리 방안 마련에 앞장
여수시(시장 정기명)가 도시재생 사후관리를 위해 적극 나선다. 도시재생은 쇠퇴한 도시를 재활성화시켜 경제적, 사회적, 물리적으로 부흥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사업 이후 해당 지역이 곧바로 방치되는 사례도 많다. 시는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 도시재생 본연의 취지를 이어가기 위해 주민과의 협력을 통해 극복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우선, 청년 창업가와 협업이다.청년의 마인드와 열정을 주민조직에 투입해 고령화된 주민조직 체계(협동조합 등)에 활력을 불어넣을 방침이다. 특히. 도시재생 거점시설과 연계한 창업환경을 조성해 양질의 일자리도 창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지자체의 협업을 통해 제7기 넥스트로컬 청년 창업가를 유치(2025년 5∼12월)한다. 넥스트로컬은 서울시에서 자체 검증 시스템을 통해 청년(19∼39세) 창업가 100팀(200명)을 선발해 초기 창업지원금 최고 7천만 원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서울시 넥스트로컬 사업 설명회 이들은 지역에 거주하면서 자원조사 활동과 사업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시는 이들에게 도시재생 거점시설(거주·창업 공간)과 지역자원 리스트업, 파트너십 구축, 시제품 제작(메이커 스페이스), 체험 투어 프로그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