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06 (수)

  • 구름조금동두천 7.0℃
  • 흐림강릉 9.7℃
  • 맑음서울 8.7℃
  • 구름많음대전 10.3℃
  • 구름많음대구 8.1℃
  • 맑음울산 12.5℃
  • 맑음광주 12.0℃
  • 연무부산 14.0℃
  • 흐림고창 10.5℃
  • 구름조금제주 14.8℃
  • 구름많음강화 8.0℃
  • 구름많음보은 7.4℃
  • 맑음금산 10.9℃
  • -강진군 13.3℃
  • 맑음경주시 7.0℃
  • 구름많음거제 11.8℃
기상청 제공

남양주시, 2024년 본예산 ‘2조 2,278억 원’ 편성

- 강도 높은 세출 구조조정 추진...지역 경제활성화 및 복지 안정망 강화에 방점
- 주광덕 시장, “74만 시민 시장의 삶의 질과 행복도를 높일 수 있는 꼭 필요한 정책 중심으로 예산 편성”


남양주시(시장 주광덕)는 2024년 본예산을 2조 2,278억 원 규모로 편성해 20일 시의회에 제출했다. 올해 본예산과 비교해 2.6% 증가한 규모다.

시는 지속적인 고물가·고금리로 인한 경기 침체로 내년도 세입 감소를 예상하지만, 강도 높은 세출 구조조정으로 가용예산을 최대한 확보했다. 주민자치협의회 및 이통장연합회 등 사회단체가 자발적으로 예산 절감에 참여했으며, 시 내부적으로 업무추진비·연가보상비·국내외 연수 관련 예산을 줄였다. 

또한, 지역경제 활성화 및 복지 안전망 강화와 같이 써야 할 곳에 제대로 예산을 쓸 수 있도록 전략적인 재정 운용에 힘썼다. 특히,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생활 SOC 시설 투자, 사회 안전망 확충 등 민선 8기 핵심 공약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에 중점을 두고 예산을 편성했다.

2024년 본예산 세입은 일반회계 기준 ▲지방세 4,724억 원 ▲세외 수입 1,059억 원 ▲지방 교부세 2,737억 원 ▲조정 교부금 1,971억 원 ▲국·도비 보조금 8,914억 원 등이다. 

세출은 일반회계의 경우 전년도 대비 880억 원 증가한 1조 9,955억 원, 특별회계는 316억 원 감소한 2,323억 원이다. 일반회계 세출 예산은 도로·교통 분야에 1,824억 원, 경제·도시 분야에 839억 원, 복지·교육 분야에 1조651억 원, 문화·환경 분야에 2,326억 원이 편성됐다.

도로·교통 분야에는 ▲별내선 및 진접선 복선 전철 사업비 501억 원 ▲도로 개설 사업 72억 원 등이 편성됐으며, 경제·도시 분야에는 ▲남양주사랑상품권 발행 지원 137억 원 ▲도시재생뉴딜사업 142억 원 ▲소상공인특례보증금 출연금 20억 원 등이 편성됐다.

복지·교육 분야에는 ▲기초연금 3,040억원 ▲장애인 활동급여 지원 339억원 ▲영유아보육료 지원 646억 원 ▲보훈·참전명예수당 지급 86억 원 등이 편성됐으며, 문화·환경 분야에는 ▲생활폐기물 처리 667억 원 ▲생활도로 미세먼지 저감사업 21억 원 ▲별내 복합커뮤니티센터 건립 20억 원 ▲궁집 지하주차장 조성 50억 원 등이 편성됐다.

주광덕 시장은 “경기 침체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선택과 집중을 통해 74만 시민시장의 삶의 질과 행복도를 높일 수 있는 꼭 필요한 정책들을 중심으로 예산을 편성했다.”라며“전례 없는 재정 위기를 극복하고‘남양주 슈퍼성장시대’를 이끌 수 있도록 2,500여 명의 공직자와 함께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2024년 본예산은 제299회 남양주시의회 제2차 정례회에서 상임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오는 12월 14일 의결·확정될 예정이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대전시, 규제혁신 우수사례 빛났다
□ 대전시는 17일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행정안전부 주최‘2023년 지방규제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10개 지자체와의 경합 끝에 우수상을 받았다. ㅇ 대전시가 발표한 사례는 “물류단지개발 인허가 절차 간소화”로 물류단지개발 시 산단절차간소화법을 준용한 「대전광역시 물류단지 개발 및 활성화 지원 조례」를 제정함으로써 평균 2~4년이 소요되던 인허가 기간을 최대 1년까지 단축한 사례이다. ㅇ 기존에는 물류단지 개발을 하려면 개발계획을 수립해 도시·교통·환경·재해 등 관련 위원회 심의를 받은 후 실시계획 인허가를 각각 이행해야 했으나, 앞으로는 제정된 조례에 따라 새롭게 설치되는 대전시 물류단지개발지원센터에서 기업이 물류단지 계획 승인과 도시계획 등에 관한 통합심의를 받을 수 있게 된다. ㅇ 시는 이로 인해 물류단지 개발과 물류시설용지 공급이 증가하여 지역 일자리 창출과 경제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한편, 지난해 행안부 주관 규제혁신 기관평가에서 3관왕을 달성한 대전시는 올해도 지역경제 활력 제고를 목표로 실․국별 규제혁신 특별전담조직 운영하고 찾아가는 지방규제신고센터 기업 규제 애로 청취 등을 활발히 이어가고 있다. ㅇ 이를 통해 발굴한 규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